언미사지 [1402630] · MS 2025 · 쪽지

2025-10-31 11:29:45
조회수 205

국어황분들 도와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300879

약소국의 경우에 더 높다라고 설명한 게 강대국의 경우에 낮다라는 말이 될 수 있는 건가요? 더 높다면 강대국의 경우에도 높은데 약소국이 더 높은지 강대국의 경우에 낮은데 약소국이 더 높은 건지 어떻게 아는 건가요?


+위에 유빈 pdf아니고 시대인재 서프 구매자에 한해서 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해설지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능장아찌 · 1298237 · 18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강대국이랑 약소국은
    대비되는 개념이고
    이분법적인 개념이니

    약소국에서 높다면
    강대국에선 상대적으로 낮죠

    낮다, 높다를 상대적으로 가늠하는데
    제시된 문제에서 비교군이
    강대국, 약소국 둘밖에 없다면

    약소국이 높으면
    강대국은 (상대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습니다

    둘만 비교하는데

    약소국이 많이 높고
    강대국이 높지만 살짝 높든 / 아예 낮든 뭔 상관인가요

    둘이 비교하면 강대국이 낮은 거지

  • 수능장아찌 · 1298237 · 18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또 다른 조건이 있다면 달라지겠지만

    국력이
    약하다 vs 강하다

    방기할 확률이
    높다 vs 낮다

    의 상관관계만 주어진다면

    일대일로 대응시켜서 볼 수 있습니다

  • 언미사지 · 1402630 · 17시간 전 · MS 2025

    평가원에서도 이런식으로 취급하는 건지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 언미사지 · 1402630 · 17시간 전 · MS 2025

    저기에 상대적으로라는 말이 없어도 비교군이 둘이니 상대적이라는 말이 있는 거나 다름 없다는 뜻인거죠?

  • 화이팅해보자 · 1318822 · 18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방기는 '**상대적으로** 국력이 약한 국가가 행할 확률이 더 높다'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세력 균형론에 따르면 동맹 관계 내에서 (**상대적으로**) 국력이 강한 국가의 경우 ~할 가능성이 높다는 진술은 적절하다.

    해설이 상대적으로 국력이 강한 국가라는걸 생략한 것 같아요.
    P->Q라고 해서 ~P->~Q가 참인건 아니지만 이 경우는 상대적인 개념이라
    (국력의 강함∝1/동맹파기 가능성)의 관계라 성립하는듯

  • 흑얄 · 811467 · 18시간 전 · MS 2018

    강대국이 높고 약소국이 더높으면 강대국은 낮은게맞죠. 뒤에말씀하신것도 똑같고. 기준이 둘인데.

  • 언미사지 · 1402630 · 17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상대적 가능성은 낮고 절대적 가능성은 높을 수 있지 않나요? 그렇게까지 생각하는 게 아닌가요? 굳이 약소국보다 낮다라고 말을 안 해도 비교 대상이 둘 뿐이니 그렇게 받아들여야 한다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