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르도스몽염 · 1406901 · 6시간 전 · MS 2025

    낙인은 말 그대로 용인을 떠나서 본인의 그릇된 행동에 대한 외부적 시선때문에 범죌 저지르는 거지
    지문엔 그런걸로 범죄 저질렀다가 없자나요

  • 오르도스몽염 · 1406901 · 6시간 전 · MS 2025

    낙인은 이미 잘못된 행동 저지름->그에 대한 외부의 부정적 시선~>으로 인한 단념 및 추가 범죄 저지름

  • 낑낑ㅇㅇ이이 · 1324388 · 6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그 잘못된 행동자체도 의미부여입니다
    긍까 같은 행동인데 어떤집단에선 잘못된 행동이고
    또 다른 집단에선 아니라는거죠

  • 오르도스몽염 · 1406901 · 6시간 전 · MS 2025

    ….? 째든 저 문제 자체는 오류가 없어보이는데요
    낙인이론 주장할거면 외부적 비판으로 인한 범죄 행위가 나타나야죠

  • 낑낑ㅇㅇ이이 · 1324388 · 6시간 전 · MS 2024

    차교론으로 인한 범죄행위도 나타나진 않는것갗아여

  • 오르도스몽염 · 1406901 · 6시간 전 · MS 2025

    저기서 말하는걸 대충 예시들자면
    카르텔이 있는데 국가에선 범죄행위로 지정하지만
    카르탤 내부 애들끼린 뭐 문제 없는 행위로 인식한다는 말 같은데요

  • 낑낑ㅇㅇ이이 · 1324388 · 6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그렇게 해석하면 말이 되기는 하네요
    그래도 말을 되게 애매하게 써놓은건 맞습니다
    그리고 낙인이론이 같은 행동인데
    다르게 의미부여함에 따라 잘못된행동이 될수도잇고
    안될수도 잇슴니다 객관적기준이 없다가 저런의미고여

  • 이하오민 · 1319682 · 2시간 전 · MS 2024

    외부적으로는 일탈인데 내부적으로는 괜찮다라는 말은 ‘일탈에 우호적인 가치관을 학습’했기 때문에 사실은 일탈인 행위도 본인들끼리는 일탈인 줄 모른다는 전형적인 차교론의 주장인데 이게 어디가 애매하며 이게 왜 의미부여->낙인이론으로 연결되는거죠?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