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mwjtjals [1306345] · MS 2024 · 쪽지

2025-10-29 18:47:51
조회수 725

2026 수능 대비 지구과학1 모의평가 배포(자작)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279037

(944.3K) [310]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문제지 1회 (1).pdf

(29.4K) [182]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문제지 정답.pdf

이전의 문항들에서 오류가 발견되어 오류를 수정한 뒤 다시 재배포합니다.


난이도: 2026 9월 모평과 비슷함


극도로 높은 해석을 요구하는 문항을 출제하는 것은 지양하였고, 퀄리티 하나는 제가 전에 제작한 6월 대비 모고, 9월 대비 모고보다 확실히 좋습니다. 또한 제가 제작한 6월과 9월 대비 모의고사의 4페이지는 지나치게 어려웠고, 앞 페이지의 문항들은 지나치게 쉬워서 실제 기출 문항들의 구성과는 조금 거리감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4페이지의 난이도를 조금 낮추고, 앞 페이지의 난도는 살짝 올려서 학생들이 기출 문제를 풀 때와 비슷한 느낌을 받도록 하였습니다.


<예상 등급컷>

1컷: 43~44

2컷: 38~39

3컷: 32~33

이하 생략


문항의 오류가 있다고 의심되거나 질문이 있는 경우 댓글을 달아주시면 성심성의껏 답변하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파이논 · 1411069 · 10/29 20:24 · MS 2025

  • 팥송편 · 1289237 · 11/09 20:47 · MS 2024

    감사합니다, 잘 풀었습니다.
    문제 관련해 질문 있어서 두 개만 물어보고 싶습니다..

    19번에서, 편이를 관측하는건 행성이 아니라 항성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ㄴ만 맞다고 생각하는데, 혹시 적색, 청색 구분하는 게 의도였는지 아니면 제가 잘못 알고있는건지 궁금합니다.

    20번에서, "단위 시간당 방사성 동위원소 X 의 평균 감소율(%) 은 Y의 평균 감소율(%) 의 두 배" 는 '같은 시간당 Y가 0.5배된다면 X는 0.75배 된다' 고 해석했습니다.
    "t°때 X의 함량비(%)는 2T이후 함량비의 4배" 에서, t°에서 T씩 두번 경과하면 X는 0.5×0.5 되므로 T가 X의 반감기라 해석했습니다.
    그렇다면, Y의 반감기는 0.5T보다 조금 작습니다.

    B의 Y자료에서 t°+T 때 Y가 15%이니 t° 때 Y는 60%보다 조금 크므로 미지수 x는 40 미만이라 보았습니다.
    T가 X의 반감기이므로 t°+2T의 ㄱ값은 (100-x)/4, x가 40 미만이므로 ㄱ값은 15보다 크다고 보았습니다.

    근데 답이 아니어서.. 혼자 많이 생각해봐도 이상한걸 못 찾겠어서 질문드립니다!

  • rmwjtjals · 1306345 · 11/11 22:04 · MS 2024 (수정됨)

    19번의 경우, 주로 중심별의 파장 변화량을 물어봅니다. 행성의 파장 변화량을 물어보진 않아서, 실제로도 헷갈리실 수도 있기도 하고, 출제를 할 때 중심별을 물어봤어야 했는데, 좀 부족했던 거 같습니다.
    20번의 경우, 단위 시간당 평균 감소율(%)에 대해서 감소 속도랑 같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둘은 다릅니다. 저 문제에 제시되어있는 "단위 시간당 평균 감소율(%)"은 같은 시간 동안 이전의 함량비(%)에 대한 이후 시기에서의 함량비(%)의 값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감소"량"이 아닌 감소"율"인 것이죠. 예를 들어, 모원소의 함량비가 특정 시간 동안 50%에서 40%로 줄었다면 단위 시간당 평균 감소율(%)은 40%/50%이므로, 0.8이 되겠습니다. 혹시 이해가 안되신다면 언제든지 여쭈어보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