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금 올린 퀴즈 해설(?) 및 수능 문학에 대한 주저리주저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262713
우선 답부터 말하면
<보기>를 통해 따로 종이에 대해 설명하지 않았다면
종이에서 생명력을 느낄 수 없어서 답은 X고요
이 문제가 좀 사설틱하다고 느껴질 수 있는 게
평가원에서 꽃,나무는 시들어가는 게 아닌 이상
+적인 요소로 활용돼서
나무나 꽃이 나오면 거의 반사적으로 +인 느낌을 받을 수 밖에 없음
심지어 형형색색? 이건 무조건 +일 수 밖에....
이와 반대로 종이는 평가원에서 딱히 사용하는
상징적 소재가 아님( 종이를 만들려면 나무를
벌목해야 되니까 굳이 따지자면 -일 듯)
기출 학습을 통해 시어에서 느낄 수 있는 학습된 감정이 아니란 말이죠
(플러스적인 요소를 본다면 고향.나무,꽃,어부,백구 등)
(마이너스적인 요소를 본다면 현대사회,공장,일제강점기 등...)
그래서 우리가 사설 문학을 보면서
사설틱하다고 느끼는 부분이 요런 거 아닐까 싶습니다
----------
그리고 요즘 평가원문학 기조에 대해 얘기해보자면
평가원에서 문항의 난이도를 올리기 위해
‘종이' 같은 Fact를 통한 판단보다
’형형색색에서 느껴지는 생명력‘ 같은
Meaning을 통한 판단을 자주 물어봤었는데
24수능부터 기조가 좀 바뀌어서 평가원에서도
Fact를 통한 판단 쪽으로 기울어졌어요
(이를테면 문학의 독서화?)
-----------
그래거 문학에 대한 기출 학습을 한다고 하면
1.특정 시어나 상황에 대한 일정한 평가원의 시선,태도
2.지문에 나온 객관적 사실에 의거한 선지 판단
3.문학개념어 숙지
정도가 있겠네요
---------
파이널에 다시 평가원 기출로 돌아가라고
많은 강사와 전문 저자 분들이 얘기하는 이유가
‘문학에서 나탸나는 일정한 평가원의 시선과 태도’를
좀 더 날카롭고 예민하게 반응하기 위해서인 거 같네요
---------
그래서 지금 시기에 수험생이라면
1.EBS 연계 꼼꼼히
2.문학의 감을 날카롭고 예민하게 가다듬기
를 추천합니다
사실 저는 뭐... 전문가도 아니고
이걸로 밥벌어먹고 사는 사람도 아닌 사람인지라
전문성이 다소 부족하지만 제가 공부히면서 느끼고
배웠던부분이 누군가에게 참고나 도움이 됐으면 하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여러분들 수능대박
-
내 댓글 좋아요정 누구야 8 32
나와
-
'유승민 딸' 유담 인천대 교수 임용…국감서 공정성 논란 13 5
진선미 "유학·해외·기업 경험 없는데 경력 심사에서 만점" 인천대 "내부...
-
으흐흐흐.. 2 0
드디어 끝났다 우하하하하하ㅏ하핳
-
공대 등 전공 진입장벽 높은 과 다니시는 분들께 질문 4 0
전공 공부 하실때 뭔가 진정한 학문을 배우는 느낌이 나시나요? 저는 어문 다니는데...
-
4등급기준 하루에 8시간정도 걸린다는데 이거 해봐야하나,, 국영탐도 많이 부족한데
-
제 마음에 솔직해져야 할 것 같아요 10 4
오늘은 불맛 나는 막창이 먹고 싶은데 도무지 kfc 나 맘스터치로는 안 될 것...
-
김승모 7회 현장 컷 나옴? 4 0
ㅇㅇ?
-
크악팀플싫어 크아아아각 3 1
조장이 잠수를타면 어카라고
-
공학인증? 4 0
한국공학교육인증원에서 인증한 학과는 공학인증학과라고 한다던데 이게 어떤 이점이...
-
소설 잘쓰는 규칙이 찾음 3 2
주인공 독백이나 상황 분석 등을 하는 상황에서 단어는 7~8 단어 내외로 쓰고 상황...
-
ebs 수필도 연계되나요? 1 0
연계된적 많나요?
-
생윤황분들 조언 좀여 1 0
고3인데 오로지 맹목적인, 입시만을 위한 수능공부에 대한 양심적 거부가 도덕적으로...
-
라면 뭐먹지 4 0
신라면 vs 신라면
-
지금 군생활중인 옯붕이인데.. 4 0
걍 공부고 뭐고 1도 안잡힌다..... gop생활해서 매일 주말없이 근무드가는데...
-
10덮 등급컷 1 0
언제 올라옴요?
-
3컷을 40점으로 잡으시네 원래 다들 그런가?
-
ㄹㅈㄷ인셍 6 2
작성시간 ㅋㅋ
-
탈퇴하고 환생할까 14 1












완전히 틀려버렸네...
개인적으로 24학년도 이전에도 Meaning보다 Fact를 통한 판단으로 정오를 명확히 가를 수 있게 설계되어 있었다고 생각했는데 혹시 어떤 이유로 그렇게 판단하신건지 여쭤봐도 될까요?
우선,수능 국어는 Fact를 통해 정오를 명확히
가를 수 있도록 설계된 게 맞습니다
다만, 예전에 비해 문제에서 Fact를 통한 판단을 요구하는
정도가 예전에 비해 까다롭고 깊어졌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평가원 문학 기조가 Fact를 통한 판단 쪽으로 기울어졌다고 쓴 건데,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던 거 같습니다
22수능 23번 <보기> 문제 정도의 깊이를 요구하는 문제가
24수능 ‘박태원-골목 안’을 기점으로 점점 자주 나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