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금 올린 퀴즈 해설(?) 및 수능 문학에 대한 주저리주저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262713
우선 답부터 말하면
<보기>를 통해 따로 종이에 대해 설명하지 않았다면
종이에서 생명력을 느낄 수 없어서 답은 X고요
이 문제가 좀 사설틱하다고 느껴질 수 있는 게
평가원에서 꽃,나무는 시들어가는 게 아닌 이상
+적인 요소로 활용돼서
나무나 꽃이 나오면 거의 반사적으로 +인 느낌을 받을 수 밖에 없음
심지어 형형색색? 이건 무조건 +일 수 밖에....
이와 반대로 종이는 평가원에서 딱히 사용하는
상징적 소재가 아님( 종이를 만들려면 나무를
벌목해야 되니까 굳이 따지자면 -일 듯)
기출 학습을 통해 시어에서 느낄 수 있는 학습된 감정이 아니란 말이죠
(플러스적인 요소를 본다면 고향.나무,꽃,어부,백구 등)
(마이너스적인 요소를 본다면 현대사회,공장,일제강점기 등...)
그래서 우리가 사설 문학을 보면서
사설틱하다고 느끼는 부분이 요런 거 아닐까 싶습니다
----------
그리고 요즘 평가원문학 기조에 대해 얘기해보자면
평가원에서 문항의 난이도를 올리기 위해
‘종이' 같은 Fact를 통한 판단보다
’형형색색에서 느껴지는 생명력‘ 같은
Meaning을 통한 판단을 자주 물어봤었는데
24수능부터 기조가 좀 바뀌어서 평가원에서도
Fact를 통한 판단 쪽으로 기울어졌어요
(이를테면 문학의 독서화?)
-----------
그래거 문학에 대한 기출 학습을 한다고 하면
1.특정 시어나 상황에 대한 일정한 평가원의 시선,태도
2.지문에 나온 객관적 사실에 의거한 선지 판단
3.문학개념어 숙지
정도가 있겠네요
---------
파이널에 다시 평가원 기출로 돌아가라고
많은 강사와 전문 저자 분들이 얘기하는 이유가
‘문학에서 나탸나는 일정한 평가원의 시선과 태도’를
좀 더 날카롭고 예민하게 반응하기 위해서인 거 같네요
---------
그래서 지금 시기에 수험생이라면
1.EBS 연계 꼼꼼히
2.문학의 감을 날카롭고 예민하게 가다듬기
를 추천합니다
사실 저는 뭐... 전문가도 아니고
이걸로 밥벌어먹고 사는 사람도 아닌 사람인지라
전문성이 다소 부족하지만 제가 공부히면서 느끼고
배웠던부분이 누군가에게 참고나 도움이 됐으면 하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헉 평가 안하겟습니다
-
1분은 너무 길고 4 1
10초는 너무 짧다 .. 어찌해야 좋을지
-
옯잘자 1 1
쿨쿨
-
김보훈님이라고 아시는분? 6 0
인스타나 유투브에 계신 학습 인플루언서 같은데 개인적으로 이분 딕션 중독성 쩌는듯...
-
님들 수능 끝나면 3 0
푼 실모들 다 버리나요
-
계란볶음밥 vs 참치김볶음밥 14 4
뭐 해먹을까용 사이드는 음… 가라아게? 미니돈가스? 최근에 쿠팡에서 전기 튀김기 샀음ㅎ
-
서울대 [경제학] 전공과외 찾습니다. 학사편입입시 2 0
전공과외 찾습니다. 제가 수업받을 학생입니다. 농업생명과학대학-농경제사회학부-...
-
맨날 잠만 자던데 16일의 기적도 포기한건가
-
사탐 이비에스 1 0
생윤 이비에스 하나도 안했는데 수특수완 사서 풀어야 하나요 아니면 김종익 강의...
-
왜 본문에는 A를 바로 하는 거임 우린허락해준적이없는데??
-
솔직히 평가원 너무함 1 3
아니 내신 시험볼 때도 시험 직전에 쌤이 뭐 나올지 귀띔이나 힌트 주시는데 평가원도...
-
국어 지금 7 0
현타와서 한달동안 놨는데 2주동안 걍 2일 1실모 + 기출,연계지문 벅벅해도됨?...
-
적예 vs 적생 2 0
ㅈㄱㄴ
-
저똥마려움
-
롤스 시불 질문!! 3 0
롤스도 싱어와 마찬가지로 민주주의원칙이 확립된 나라일수록 시불이 더 쉽게 정당화된다고 보았나요???
-
지구 삽화는 어케그림 1 0
일러스트레이턴가
-
적예,사만다 2 0
적예 밖에 안풀아봐서 점수 안나올때마다 ㅈㄴ 슬펐는데 오늘 사만다 배송와서...
-
오늘 동아리 회식가는데 10 1
막상 가면 재밌세 노는데 개씹내향형이라 가는 길은 싫단 말이지
-
추워 6 1
따뜻한 거 먹고싶다ㅏ












완전히 틀려버렸네...
개인적으로 24학년도 이전에도 Meaning보다 Fact를 통한 판단으로 정오를 명확히 가를 수 있게 설계되어 있었다고 생각했는데 혹시 어떤 이유로 그렇게 판단하신건지 여쭤봐도 될까요?
우선,수능 국어는 Fact를 통해 정오를 명확히
가를 수 있도록 설계된 게 맞습니다
다만, 예전에 비해 문제에서 Fact를 통한 판단을 요구하는
정도가 예전에 비해 까다롭고 깊어졌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평가원 문학 기조가 Fact를 통한 판단 쪽으로 기울어졌다고 쓴 건데,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던 거 같습니다
22수능 23번 <보기> 문제 정도의 깊이를 요구하는 문제가
24수능 ‘박태원-골목 안’을 기점으로 점점 자주 나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