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자연과 윤리 질문이용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248619
도덕적 고려=의무의 대상
내재적 가치=고유의 선=도덕적 권리=도덕적 지위
이렇게 보는게 맞을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감 중요도 0 0
이감 중요도에 가사나 연시조는 다 써있는건가요?
 - 
        
        
2025년 10월 고2 변형문제 [500문제] 중 infter1 0 0
풍부한 해설로 혼자 공부하기 쉬워요!! 풍부한 해설로 수업 준비하기 쉬워요!! J...
 - 
        
        
내일부터 정신차리면 ㄱㅊ? 공부 처 안했으면서 가능충무새 되서 본인한테 짜증나네...
 - 
        
        
서울대 자동완성 ㅋㅋ 10 0
서울대 가고 싶다 아 관악이 나를 부른다 둥 둥 설의적 표현 이새끼 공부 안함
 - 
        
        
어지럽네
 - 
        
        
님들 시대인재c 모고 어때요? 5 1
이거 영어 정법 사문 사려고 하는데...비추이신가요?
 - 
        
        
하아.. 14 2
 - 
        
        
내가 1점대가 안되는건 7 0
경제때문이다시발 진짜 인생에서 절대 소신을 갖고 남들이 안하눈방향으로 가지마요...
 - 
        
        
왜 다들 내가 좋대냐 5 0
그냥 고백을하시지
 - 
        
        
외이 5 2
단발은 진리
 - 
        
        
우리 동생도 07인데 아주 애기들임 으흐흐.
 - 
        
        
어케 되는거임?? 1학년이랑 같이 다니지만 1학년은 아닌거? 어케 생활함 주로
 - 
        
        
난 나보다 키만 작으면 됨. 5 0
난 근데 살면서 나보다 큰 여자애는 본 적이 없음
 - 
        
        
실모 학교에 어케 들고감?? 7 2
어디서 주워다 푸는 느낌나서 반접은 개 싫은데
 - 
        
        
근데 내신 개망한 08은 0 1
재수해서 좋은학교갈 생각잇으면 자퇴해야하는거아님?
 - 
        
        
2024 5월 교육청이나 2025 5월 교육청 (현역) 이런거 좀 특수하게 풀리는...
 - 
        
        
작은게 컴플렉스 2 1
눈이랑 코가 좀 작은거같음
 
                
            
    
    
    
    
    
    
    
    
    
    
    
    
                  
개체론은 o 같은데 전일론에서 보면 내재적 선은 o이지만 고유의 선은 생태계 전체의 관점에서만 o일듯
윗 명제는 의무론자가 아닌 싱어, 레오폴드는 부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쪽 명제는 일단 내재적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싱어는 부정합니다. 또한 고유의 선은 테일러만 사용하는 표현이지만, 과거 기출에서 개체론ㄷ전일론 비교 입장으로 나온 적은 있습니다.(평가원 입장)
싱어가 내재적 가치를 인정하지 않나요…???
네.
권리는 칸트, 레건한테만 물을 수 있는 걸로 압니다.
1. 도덕적 고려-어떤 도덕규범으로써 보호받음
2. 도덕적 권리-그 대상에 대한 의무가 성립(의무와 권리 간 상호성에 따라, 단 코헨은 이를 비판)
3. 도덕적 지위-고려 가능성보다 단정적 개념, 어떤 대상이 최소한의 속성을 갖출 때 부여되는 도덕적 속성
2, 3은 의무론에서 주로 사용됨. 공리주의는 권리/지위를 신경 안씀. 대신에 대상에게 권리/지위를 인정할 때 공리가 증진한다면 이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봄.
고유의 선이 도덕적 의미를 지니는지는 논쟁적. 테일러는 찬성. 만약 고유의 선이 이익 관심으로 이해된다면 싱어도 긍정할 것. 다만 이들의 이론적 토대는 다름.
내재적 가치는 정의상 인간의 가치 판단과 독립된 가치. 의무론에서 주로 사용되는 개념, 3과 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