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언어와 매체 자작문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247892
69모 언매에서 단어의 형성 파트에선 거의 출제를 안한 거 같아서 이참에 빡세게 대비할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감 중요도 독서 1 0
이감중요도 독서는 aa - a 에서 많이 나오는 편인가요? 현우진김기현시대이감
-
진짜 자야지 8 0
굿바므
-
강민철 실모 개망했는데 어떡할까요… 12 0
최저러라 국어 2등급 무조건 받아야 하는데 강실모 1회차 76점 나왔습니다.. 독서...
-
가끔 이런 생각이 듦 2 1
잠자리는 왜 이름이 sleeping spot 일까
-
국 78점 (언매) 수학 84 (미적)
-
옵스타 10 0
.
-
얼리버드 기상 6 1
기차 지나간다
-
뭐야 1시 아녔음? 6 0
왜 4시지
-
졸려잘래 10 0
취했더니 어지러워 졸려 잘래 천장이 빙빙 돌아
-
놀이공원 가기 싫어서 안가고 걍 학교에서 풀실모 풀어야 되겠다
-
다들 잘때까지 버티고 8 0
모아보기 1페이지 내 글로 꾁꽉 채우기 챌린지 해야지
-
여신강림ㅇㅈ 14 4
-
바로 들어가서 댓을 다는 매크로 만들어 "줘"
-
커스텀 수능샤프 어떤데 1 1
-
기차 지나간당 2 0
부지런행
-
작수 1등급인데 이감 70점대만 지금 몇갠지 모르겠음 자존감 ㅈㄴ 내려감










관상보자마자 거르고 답개수로 찍기 딸깍
아니 언매가 아니라 언어 탐구 영역인데
5번인가
3번인가
이... 이게 뭐노
군밤: (굽-+-은) + 밤
한밤중: 한- + (밤+중)
시집살이: (시-+집) + -살이 or (시-+집) + -(살-+-이)
이건데 과한 듯. 시집살이 같은 건 보기에서 얘기 해 줘야 할 거 같은데
해돋이, 땀받이 등의 소위 시집살이류 명사, 고기잡이류 명사들은 원래는 동사구 구성에 '-이'가 붙은 파생어이냐 명사에 동사+파생접미사 구성이 붙은 합성어이냐 이견이 있는 명사인데 국립국어원은 이중 -살이와 -잡이, -맞이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접미사로 인정해 버림
근데 또 골 때리는 게 한글맞춤법에서는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거로 '살림살이'를 제시함. 여기서 나오는 해명이 '살림살이'는 접미사 '-살이'가 아니라 '-이'가 붙은 체언이라고 하는 것임. '-살이'라는 접미사의 의미와 안 맞으니까. 이렇게 될 경우 '살림살이'는 표준국어대사전상 합성어고 한글맞춤법상 파생어가 됨. 물론 한글맞춤법의 해석을 '살이'나 '돋이'가 명사가 되는 거라고 해석한다면 얼마든지 합성어로 해석할 수 있음. 표국대 고려하면 이렇게 보는 게 맞겠지
근데 '시집살이'는 의미상 접미사 '-살이'가 붙은 것으로 봐야 함. '(시-+집)+-살이'인데 과연 접미사를 다시 분석하여야 할까? '살-+-이'가 명사가 아니라 접미사가 된 것인데? 이미 하나의 접미사로도 볼 수 있음. 물론 다시 분석하자는 의견이 있을 수도 있음. 충분히 그렇게 생겨먹었으니
이런 점에서 시집살이는 단독으로 묻기 좀 빡센 듯. 장지문이나 보기 문제에서 여러 의견을 제시하는 식으로 가야 된다 생각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살이 를 하나의 접사로 보고 이번 수능특강에도 접사 -맞이 가 있어서 살짝 낚을 포인트로 하나의 접미사인 것을 알아야 문제를 풀 수 있게 만들려고 했습니다 ㅠㅠ 확실히 수능에 이렇게까지 나올리는 없을 듯요
근데 '-살이' 같은 접미사를 내적으로 다시 분석하는 걸 내려나
아니 지리과목임?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4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탐구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