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진선생님이될게요 [1203612]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5-10-26 23:06:04
조회수 157

은근 쓸모있는 사문도표 풀이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246032

나름 도표문제 숙달 된 사람들은 공감할 풀이임. (아마두...?)

난 도표문제 9할은
전체인구를 100으로 두고
나머지 계층, 수혜자 같은 집단을
백분율로 나눠서 계산함.

아래는 수완 p.75, 07번 문제임.
내가 풀이하는 과정 구경해줘. (아 얘는 이렇게 푸는구나 하고 관망하는 느낌으로다가 ㅎㅎ...)

A/B/C는 각각 상층, 중층, 하층 계급 중 하나이다. t년 계층 구조는 피라미드형이며, 하층인구 구조는  t년과 t+20년이 같고, 상층인구는 t+40년이 t+20년의 2배이다.

구분t년t+20년t+40년
A+B/C7/319
A+C/B2/37/33/7


이런 미지수간 비로 나타난 표가 나오면
해당 비의 분모, 분자의 합을 100으로 만들어줌.
t년의 경우, A+B/C의 비가 7/3이니까 70/30으로 만들어주고
A+C/B의 비는 2/3로 40/60으로 나타낼 수 있음.
그럼 자연스럽게 총인구 100 기준으로
A : B : C의 비가 10 : 60 : 30이 나옴.
위 발문 조건 따르면 A가 상층, C가 중층, B가 하층으로 나오겠지?
이런 느낌으로 t년, t+20년, t+40년 모두
전체인구를 100으로 두고 비를 나타내주면 돼.
만약 문제에서 인구수와 같은 정량적인 값을 묻지 않는다면
가중치 계산을 안해도 되지만, 위 문제같이 '~년대비 ~년의 인구는 N배이다.'
라는 표현이 나오면 대부분 정량적 값을 요구하는 문제라 가중치 계산을 해줘야 함.
위 풀이 방식대로 상층, 중층, 하층 인구 비율을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음.

구분t년t+20년 t+40년
상층102020
중층305010
하층603070
100100100
발문 조건에서 주어진  '~년대비 ~년의 인구는 N배이다.' 조건을 위 표에 적용해주면 됨.

구분t년t+20년 (x2)t+40년 (x4)
상층(10)20 (40)20 (80)
중층(30)50 (50)10 (40)
하층(60)30 (60)70 (280)
(100)100 (200)100 (400)
괄호 안 값이 가중치를 반영한 계층별 정량적 인구비율임.
가충치라고 해서 어려운 말이 아니라,
그냥 특정 연도를 기준으로 나머지 연도에 x N을 해주면 됨.
내가 이 풀이를 선호하는 이유가 정량적 값이 한 눈에 보일 뿐더러
가끔 '상층대비 하층의 인구비(하층/상층)는~'같은 문제가 나올 때 값 판단하기 수월함.

20번 고정 유부노 문제도 이런 느낌으로 풀면 됨.
유부노까진 피곤해서 못 쓰겠다.

잡글 읽어줘서 고마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