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새바람(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238321
지표면에서 기온이 30°C인 공기가 상승하여
2km에서 17°C가 되었다.
이 공기덩어리의 지표면에서의 이슬점은?
가장 일반적인 풀이법은
건조단열감률로만 상승했을 때 2km까지 상승하면 20도가 감소해야 하니까 10도가 되었을 것이고
습윤단열감률로만 상승했을 때 2km까지 상승하면 10도가 감소해야 하니까 20도가 되었을 것이다
이 공기덩어리는 10도와 20도 사이인 17도에서 2km에 도달했으므로 중간에 상대습도가 100%가 되는 구간이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상승응결고도를 H라고 잡으면
10H + 5(2-H) = 13
5H + 10 = 13
H = 0.6
따라서 상승응결고도(H)=0.6km이고
8H = T - Td에서
4.8 = 30 - Td
Td = 25.2
이런식으로 풀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푸는건 확실하긴 하지만
상당히 귀찮다
다른 방식으로 풀어보자
건조단열감률로만 상승했을 때 2km까지 상승하면 20도가 감소해야 하니까 10도가 되었을 것이고
습윤단열감률로만 상승했을 때 2km까지 상승하면 10도가 감소해야 하니까 20도가 되었을 것이다
13도는 10도와 20도를 3 : 7 내분한 결과로
2km 중 30%가 건조단열감률을 거쳤을 것이다
따라서 상승응결고도(H) = 0.6km
이후 이슬점을 구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여기서는 그냥 기본 공식 쓰는 게 가장 빠르다
기출문제로 가보자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6번이다
A -> B로 갈 때 2km 상승했다
기온이 17.5도만큼 변했으므로
10 - 17.5 - 20
3 : 1 내분이다
A의 상승응결고도는 2 × 3/4 = 1.5
ㄱ은 맞고 ㄴ은 당연히 개소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ㄷ을 구하는 게 살짝 애매하다
(이 글의 주제와는 관련이 없지만 일단 풀어보자)
여러가지 풀이가 있을 수 있다
가장 먼저 생각나는 풀이로 전개해본다면
A에서의 상승응결고도가 1.5km니까
A에서의 이슬점은 18도였을 것이고
습윤단열 구간이 1.5km인 산을 넘은 후에는
기온이 7.5도 증가하기 때문에
이슬점은 7.5×0.6 = 4.5도 감소한다
따라서 산을 넘은 후 이슬점은 13.5도고
여기서 2km 상승하면 이슬점이 2×2도 감소하니까
D에서의 이슬점은 9.5도가 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설맞이 시즌1 1회 왤캐어려움 5 1
진심 최근 푼 모고중에 제일 어려운데 1컷은 88이라 충격이다..
-
티처스 보니까 공주사대부고랑 양서고가 나왔던데 한일고 공주사대부고 낙생고 화성고...
-
국어는 기세가 있어야하는거같음 3 0
기세 있게 가냐 없게 가냐 차이가 개큰듯
-
물리1 광전자 질문 1 0
E = hf 는 광전자에서만 파장=h/mv 식은 물질파에서만 쓰일 수 있는 건가요?...
-
먼일 0 0
임?
-
야 1 0
차은우
-
나 57367 받고 1 3
헬스터디 들어가면 되는 부분임?
-
10서바까지는 50 47 나오면서 비교적 안정적이었는데 어느순간부터 40초반...
-
등급 예측해줄 착한 천사 1 0
화작 90 확통 88 생윤 44 사문 47 수능였으면 고려대 되려나요..?
-
흑흑흑.. 학원이 일요일에 쉬니까 날 컨트롤 못해..
-
ㄲㅂ 재밌었는데
-
연세대 국제인재 조발 0 0
작년에 조발 언제됐나요? 올해도 조발할까요?
-
더프 28번 걍 못푹겟노 차수는 알겟는데 역함수 미분계수 계산 도댜체 어케하는거임
-
나도 레어 샀어 0 0
오예
-
수학문제 질문 0 0
제가 이 문제 발문을 이해를 못한건지 발문이 이상한건지 모르겠습니다 모든 x에 대해...
-
난 수필이나 좀 어려운 시 같은거는 읽다가 뭔 개소리지 싶으면 보기 찾으러 가는데
-
에이어 4트째 2틀 0 0
오답이 하나씩 줄고있다
-
테스트 0 0
.
-
자퇴한다고했는데 3 0
모의고사 다른학교에서 볼수있나요?
-
딱 6~9사이로 나와줫으면 1 0
국어 그럼 1될듯 ㅈㅂ

으악 지2에서도 내분이라니,,,그래도 지2칼럼귀하내여.
감사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