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를찢어 [1366010] · MS 2024 (수정됨) · 쪽지

2025-10-26 13:50:27
조회수 88

높새바람(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238321

지표면에서 기온이 30°C인 공기가 상승하여 

2km에서 17°C가 되었다. 

이 공기덩어리의 지표면에서의 이슬점은?


가장 일반적인 풀이법은

건조단열감률로만 상승했을 때 2km까지 상승하면 20도가 감소해야 하니까 10도가 되었을 것이고

습윤단열감률로만 상승했을 때 2km까지 상승하면 10도가 감소해야 하니까 20도가 되었을 것이다


이 공기덩어리는 10도와 20도 사이인 17도에서 2km에 도달했으므로 중간에 상대습도가 100%가 되는 구간이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상승응결고도를 H라고 잡으면

10H + 5(2-H) = 13

5H + 10 = 13

H = 0.6

따라서 상승응결고도(H)=0.6km이고

8H = T - Td에서

4.8 = 30 - Td

Td = 25.2

이런식으로 풀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푸는건 확실하긴 하지만 

상당히 귀찮다

다른 방식으로 풀어보자


건조단열감률로만 상승했을 때 2km까지 상승하면 20도가 감소해야 하니까 10도가 되었을 것이고

습윤단열감률로만 상승했을 때 2km까지 상승하면 10도가 감소해야 하니까 20도가 되었을 것이다


13도는 10도와 20도를 3 : 7 내분한 결과로

2km 중 30%가 건조단열감률을 거쳤을 것이다

따라서 상승응결고도(H) = 0.6km

이후 이슬점을 구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여기서는 그냥 기본 공식 쓰는 게 가장 빠르다


기출문제로 가보자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6번이다


A -> B로 갈 때 2km 상승했다

기온이 17.5도만큼 변했으므로

10 - 17.5 - 20

3 : 1 내분이다

A의 상승응결고도는 2 × 3/4 = 1.5

ㄱ은 맞고 ㄴ은 당연히 개소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ㄷ을 구하는 게 살짝 애매하다

(이 글의 주제와는 관련이 없지만 일단 풀어보자)

여러가지 풀이가 있을 수 있다

가장 먼저 생각나는 풀이로 전개해본다면


A에서의 상승응결고도가 1.5km니까 

A에서의 이슬점은 18도였을 것이고


습윤단열 구간이 1.5km인 산을 넘은 후에는 

기온이 7.5도 증가하기 때문에 

이슬점은 7.5×0.6 = 4.5도 감소한다


따라서 산을 넘은 후 이슬점은 13.5도고 

여기서 2km 상승하면 이슬점이 2×2도 감소하니까

D에서의 이슬점은 9.5도가 된다


rare-범바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