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국어 독서론 지문을 200% 활용하는 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237269
국어에선 실전적 행동강령을 갈구하거나
정보를 어떻게 연결시켜 사고해야 할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다고 생각해왔습니다.
하지만,
그읽그풀이 맞다고 하는 사람도 있고
구조독해를 하라고 하는 사람도 있고
누구는 이 태도를 갖추라고 크게 강조하는데,
누구는 이 태도만큼은 피해야한다고 강조해서
각자마다 다른 방법론을 가르치는 현상이 유독
국어에서 심하게 나타난다고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수험생들은 대체 뭘 참고해야 일관성있는 조언을
들을 수 있는지에 대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기도 하죠.
그런데, 저는 교육청과 평가원에서
현재까지 모평이나 수능에 출제되어 온
역대 국어 독서론 기출들에서
은근 배워갈 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독서론은 말 그대로
독서를 잘 하기 위한 이론과 방법들을
소재로 글을 전개하는 글이잖아요?
⇒ 독서론 지문에서 실제 행동강령에 참고할 만한
지침들을 밑줄쳐놓고 이를 간단한 코멘트로 요약정리했으니
평가원 교수님들과 교육청이 직접 전해주는 독서 지혜를
체화시켜 비문학 독해에 참고해보도록 합시다.
[comment 01]
정보는 추론,비판,종합하며 읽는 것이다.
표면에 드러난 내용에 대한 행동지침
⇒ 실제 내용일치에 자주 나오기도 한다
(정확하고 대충 읽지 않는게 중요하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면에 감춰진 내용에 대한 행동지침
⇒ 실질적으로 수능에서 학생들을 변별하는 요소다.
(이면의 내용을 해석하기 위해선 추론,비판 역량을 길러야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여러 관점이 종합된 내용에 대한 행동지침
⇒ 이는 (가),(나)처럼 주제통합형 지문을 해석할 때 필요한 지침이라고 볼 수 있다.

[comment 02]
배경지식은 공식적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은 필연적인 읽기 역량이다.
(다음 지문에서 나온 두 단어인 고정과 도약을 이렇게 해석해볼까요?)
①고정: 글 읽다가 생소하거나 중요한 키워드를 찾았을 때 잠시 멈칫하는 것
⇒ EX) "이중차분법? 아 모르겠네 다시봐도 ㄹㅇ 모르겠네" OR "이거 중요한데? 선지에 나올 거 같은데?"
이 두 상황처럼 독자가 잠시 멈칫하는 상황을 고정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②도약: ebs 연계된 것마냥 이미 익숙한 내용이 있어서 빠르게 읽혀지는 것
⇒ EX) "엌ㅋㅋ 이거 수특에서 본건데 빨리 읽어야지~" OR "엌ㅋㅋ 난 생II해서 이거 다 아니까 속독해야지~"
이 두 상황처럼 독자가 이미 아는 말은 굳이 주목하지 않고 빨리 읽는 상황을 도약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여기서는 고정이 시간을 쓰게 만든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니
실전에서 고정을 덜 일어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결론내릴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 지문에서는 고정을 덜 일어나게 하고 도약을 잘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
어떠한 방법을 알러줬을까요?
⇒ 바로
"글의 구조적 지식"(이 구조는 전에 다른 지문에서 본 것같은데?)
"아는 단어" = 어휘력
"배경지식" = 지문을 자주 접함으로써 얻는 다양한 사전지식들
이들을 참고해서 읽기 목적도 동시에 확보하라고 실전지침을
해주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 칼럼은 여기까지 입니다.
오늘 글이 유익했으면
좋아요 한번씩만 부탁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최적화가 안 돼서 빅데이터를 보려고 할 때마다 튕겨요
 - 
        
        
확통 형님들 도와주세요.. 2 0
24년도 6모 28번입니다 정승제 선생님과 한석만 선생님 두 분의 해설을...
 - 
        
        
큼큼빌런 훌쩍빌런 0 0
집가서 공부하는게 맞다고 생각하심요? 일단 전 병원갓다가 집가는중…
 - 
        
        
거울을 보니 개미가 기어다니고 있었음 지금도 간지러움
 - 
        
        
근데 논란은 논란인데 2 2
주예지쌤 ㅈㄴ 고우시지 않음? 더프 수학 해강 볼때마다 행복함 ㅋㅋ
 - 
        
        
오르비언 자수해라
 - 
        
        
피델리티 모의고사 듣기 3 0
이거 파일 재생이 안 되는데 뭔 일인가요..? 해결책이 따로 없으려나요 중간에...
 - 
        
        
메가스터디 배달 0 0
어제주문했는데 왜 오늘오는거임? 전에는 월요일에 시키면 수요일에 오던데 ㅈㄴ빨리오네
 - 
        
        
고3때 선택과목 뭐해야되나요? 1 0
정시파이터고 투사탐 응시인데 수능 때 할 과목 그래도 선택하는 게 좋을까요 공부하는...
 - 
        
        
밑에 자꾸 간지러운데… 7 1
저거 828번 삼차계수어케구하나요 그전문제 가형은 맞혔는데 ;;
 - 
        
        
감다뒤 ㅉㅉ
 - 
        
        
오늘든생각이다
 - 
        
        
지금 이마다 탑승 가능? 한마디씩만 부탁드려요 10 0
이제 한지 이것이기출이다 2회독 끝냈어요 이마다를 듣는게 당연히 좋을텐데 제가...
 - 
        
        
내가 감히 평가할건 아니지만 문제가 진짜 깔끔한 느낌 9모 기조로 더 어렵게...
 - 
        
        
수능이 18일 남은 시점에서 한지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 뭘까 1편 6 1
최근 한지 공부를 하면서 갑자기 딱 든 생각들이 있는데, 한지러분들께 조금이라도...
 - 
        
        
오늘친 실모 3 1
이감 6-10 88점 (1컷 90) 설맞이 2-2 96점 (1컷 88) 수능도 이대로만 나와줘
 - 
        
        
강철중 9회 22번 3 1
(가)조건 어케 파악해야하는것임 푸러본사람없나
 - 
        
        
애들이 나 놀려 ㅜㅜ 0 0
나 여태까지 과외쌤이 알려주신대로 한석원 모의고사 jmt가 “존맛탱” 이니셜인줄...
 - 
        
        
우리 동생이 거의 여고던데 2 0
"예술고등학교"
 - 
        
        
사만다 시즌1~파이널까지 2 0
2개만 푼다면 머 푸시나요?
 
                
            
    








    
    
    
    
    
    
    
    
    
    
    
    
    
    
                  
이외에도
어휘력 격차가 일어나는 양상에 대한 독서론 지문
배경지식이 독서에서 작용하는 기능에 관한 독서론 지문
밑줄긋기를 어떻게 해야 효율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독서론 지문도
개인적으로 추천드리는 지문입니다.
ㄹㅇ 독서론 지문 얻어갈 거 많은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