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너가 짱이냐? · 1392440 · 14시간 전 · MS 2025

    정적분 함수의 특수성을 보면 되여
    양의 방향으로 적분하고 구간의 양끝이 같다면 안에 절댓값이 있는 경우가 바깥에 절댓값이 있는 경우보다 항상 커여.
    더프 21은 심지어 왼쪽식의 적분구간이 1이나 더 큰 상태...!

  • 법버 · 1341803 · 14시간 전 · MS 2024

    그럼 그래프 저거 아닌가요??
    저런 느낌으로 풀었는데..

  • 너가 짱이냐? · 1392440 · 14시간 전 · MS 2025

    그져. 결국 조건을 만족하려면 2~3까지 상수구간이 나와야 하는데, 다항함수는 이를 만족시킬 수 없고 따라서 a가 결정되고 미지의 함수까지 결정되면서 조건 4개를 얻져. 마지막 적분식은 모자란 나머지 미지수 하나를 더 알려주는 용도구여

  • 법버 · 1341803 · 14시간 전 · MS 2024

    저거 맞는거죠?? 그럼?
    걍 상수=0으로 두니까 깔끔해져서요

  • 너가 짱이냐? · 1392440 · 14시간 전 · MS 2025

    저 경우가 아니면 불가능해여.
    0~2까지만 적분하더라도 크거나 같은 식이 3까지 적분했음에도 그 값이 일치하려면 2~3까지의 적분값이 0이고 0~2까지의 적분값은 일치한다는 거니까여. 필요충분조건인 셈이져

  • 법버 · 1341803 · 14시간 전 · MS 2024

    그럼 결론은 진짜 쌉특수네요..
    특수가 보이면 너무 쉬워지는..

  • 너가 짱이냐? · 1392440 · 14시간 전 · MS 2025

    발상이 메인인 문항의 표본이져. 안 보이면 진행 자체가 안되는 구조이긴 한데, 미지의 함수에 대한 정보 및 박스조건이 지나치게 부족하다는 점에서 직선형 함수가 꼽사리 낄 것이다라는 사고정도는 하고 문제풀이를 출발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