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기심과 육하원칙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219923
호기심과 육하원칙의 관계
1. 호기심은 육하원칙의 '엔진'이다
호기심은 "왜?"(Why)라는 질문에서 가장 강력하게 발현됩니다. 이 근본적인 질문은 연쇄적으로 다른 질문들을 이끌어냅니다.
- 호기심: "왜 저런 일이 벌어졌지?" (Why) 
- 육하원칙의 확장: - "그럼 누가(Who) 관련되어 있지?" 
- "언제(When)부터 시작된 거지?" 
- "어디서(Where) 일어난 일이지?" 
- "정확히 무엇을(What) 한 거지?" 
- "어떻게(How) 그런 일이 가능했지?" 
 
이처럼 호기심은 육하원칙이라는 도구를 사용해 알고 싶은 대상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탐색하도록 이끄는 원동력입니다.
2. 육하원칙은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도구이다
막연한 호기심만으로는 현상을 명확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육하원칙은 이 막연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정보의 빈틈을 메우는 가장 효율적인 프레임워크입니다.
- 어떤 사건에 대해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만 안다면 "그래서 왜?" 또는 "어떻게?"라는 호기심이 남습니다. 
- 육하원칙의 6가지 요소를 모두 채웠을 때, 비로소 사건의 전모가 파악되고 호기심이 충족됩니다. 
3. 육하원칙은 '새로운 호기심'을 자극한다
육하원칙에 따라 정보를 정리하다 보면, 기존에 몰랐던 새로운 사실이나 정보 간의 연결고리가 드러납니다.
- 예를 들어, "어떻게(How) 했는가?"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누가(Who)'가 등장하거나, "왜(Why) 했는가?"를 알게 되면서 "그렇다면 무엇을(What) 또 했는가?"라는 새로운 호기심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결국 **'호기심 → 육하원칙 탐색 → 정보 획득 → 새로운 호기심'**의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집니다. 
육하원칙을 골고루 사용해서 호기심이 계속 줄줄이 이어지는 예제를 만들어줘
네, 좋습니다. 육하원칙(5W1H)의 각 요소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새로운 질문을 만들어내는 호기심의 연쇄 반응 예제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시나리오: 공원에서 발견한 낯선 '파란 돌'
1단계: 발견 (What / Where) 공원 벤치 밑에서 이상한 물체를 발견했다.
- "이게 **무엇(What)**이지? 처음 보는 파란색 돌이네. 어디서(Where) 난 걸까? 누가 떨어뜨렸나?" 
2단계: 관찰 (How / What) (돌을 집어 든다) 돌 표면에 복잡한 문양이 새겨져 있고, 만져보니 금속처럼 차갑다.
- "어떻게(How) 이런 문양을 새겼지? 손으로 깎은 것 같진 않은데... 그리고 이건 돌이 아닌가? 재질이 정확히 **무엇(What)**일까?" 
3단계: 주변 탐색 (Who / When) (주변을 둘러본다) 방금 벤치에 앉아있던 모자를 쓴 사람이 황급히 공원 입구로 걸어가고 있다.
- "혹시 저 사람의 물건인가? 누가(Who) 떨어뜨린 건지 물어봐야 하나? 언제(When) 떨어뜨린 걸까? 내가 오기 직전인가?" 
4G단계: 추론 (Why) (그 사람을 부르려다 멈춘다) 그 사람이 자꾸 뒤를 돌아보며 나를 힐끗거린다. 마치 내가 돌을 줍는지 확인하는 것 같다.
- "왜(Why) 저 사람은 나를 저렇게 경계하지? 혹시 일부러 여기에 두고 간 건가? 그렇다면 왜(Why) 나였을까?" 
5단계: 심화 (How / What) (돌을 자세히 보니 뒷면에 작은 QR코드가 새겨져 있다)
- "QR코드? 이걸 어떻게(How) 찍어볼 생각을 했을까? 이걸 찍으면 **무엇(What)**이 나올까? 단순한 예술 작품이 아닌가?" 
6단계: 새로운 질문 (Where / Who) (QR코드를 스캔하니, '첫 번째 조각을 찾으셨군요. 두 번째 조각은 도시의 심장이 뛰는 곳에 있습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좌표가 뜬다.)
- "두 번째 조각? 이게 일종의 게임인가? '도시의 심장'은 **어디(Where)**를 말하는 거지? 그리고 이걸 계획한 사람은 대체 **누구(Who)**일까?" 
이처럼 **'무엇(What)'**이라는 단순한 호기심에서 시작해, **'어떻게(How)', '누가(Who)', '언제(When)'**를 거쳐 **'왜(Why)'**라는 동기에 대한 궁금증으로 발전하고, 다시 **'무엇'**과 **'어디서(Where)'**라는 새로운 탐색 목표로 이어지게 됩니다. 호기심은 이처럼 육하원칙의 질문들을 연료 삼아 계속 타오릅니다.
정리하면
호기심을 가지고 육하원칙을 사용해라
0 XDK (+0)
-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설경제1학년인데 음악프로그램 나오는 사람이 있네 1 0 노래개잘부르네 
- 
        
        10덮 수학 시발 74 0 0 아니 씨발 11 14 풀었는데 왜 틀림??? 5는 씨발 왜 틀리고 개씨발 
- 
        
        이마다 모의고사 오답 1 0 꼭 이기상 모고해설 강의 들으면서 해야하나요?? 다른강의는 듣는데 모고는 해설지... 
- 
        
        씻기 귀찮아서 아직도 못 씻음 5 1 그냥 이새낀 사는게 귀찮음 
- 
        
        김승모 5회 개같네 0 0 강의에서 중간에 걸렸을거라는 문제는 다 맞았는데 뭐 ㅈㄴ 납득 안되는 문제들 많이 나갔음 
- 
        
        나르샤 파이널! 7 0 발행일이 10.31 인데 어케 구했냐고? 비밀임 
- 
        
        강민철이 도움이됨? 3 0 영화로 치면, 저 카메라 회전하면서 하는 촬영법 반지의 제왕 해리포터 어벤져스에서... 
- 
        
        스나이퍼 후기 0 0 수능을 위하여^^ 끝날 때까지는 끝난 것이 아니다! 스나이퍼 보강되어 더욱 신뢰도가... 
- 
        
        10덮국어 등급컷예측점 2 0 ㅇㅇ 화작1컷 어떨까요? 쉬웠던거같은데 문학은 좀 어렵 
- 
        
        영단어 1 0 영단어 외우기가 진짜 너무 싫은데 어카죠 ㅠ 
- 
        
        ㄱㄱ 
- 
        
        현역 여중생의 점심 choice 24 2 3연벙이 아니라 3연 kfc 
- 
        
        괜찮은게 아닌가? 수험생활 끝나면 오르비 계정 ㄹㅇ 터트려야겟다 
- 
        
        무등산 폭격기 3 0 최동원vs선동렬 
- 
        
        수박 만듬 1 0 
- 
        
        610kcal 섭취 완료 12 2 오늘은 이걸로 식사 마무리 
 
     
                
             
     
     
     
     
     
 
     
 
     
     
 
     
 
     
     
     







 
 
                  


생글은 ㄱ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