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아니 이게 왜 이렇게 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192543

왜 같은 돈으로 살수 있는 수량이 늘어난게 수요의 증가임? 걍 물가가 떨어진거 아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04년생#05년생#07년생 인증O) 탈탈털린 짱르비 33 20
-
#공지#국어#독학생 9모 '두 출발' 떠 먹여드림 98 30
-
바쁜데 곤란한 사건들까지 겹쳐서 정신이 없네요,, 제가 잘 해낼 수 있을까요,,?
-
하…
-
솔직히 말해서 사설 모의고사 1 0
너무 비싸!! 구매할때 마다 느껴 정말..
-
섹스<<이런거도 실검 올릴수있음? 11 3
섹스를?
-
고2 수시 정시 0 1
자사고에서 일반고로 전향한지 2년차인 학교 다니고 내신 1-1 1-2 2-1해서...
-
오르비하면서 성장많이했음 3 1
고2때부터 시작해서 참 아무것도 없던새끼가 어케 여기까지 오게됐는지 모르겠다 나중에...
-
집와서 너무 풀어지는데,,
-
누가 닉네임 "너는 짱구야" 만들어주면안됨??ㅋㅋ 1 1
닉넴 너는 짱구야 해놓고 프사는 그 다람쥐 얼굴만 짱구로 바꾸면 웃기겠는뎈ㅋㅋ
-
20일만에건동홍은불가능 3 0
-
파란색 쿠앤크 그거
-
집에있는게 강k 초반회차밖에 없어서 실모 새로 하나 샀는데 그냥 강k 난이도랑...
-
하원 6 4
오늘도 고생하셨습니다! 슬슬 채워지지 않는 빈자리들이 하나씩 생기네요 반년 넘게...
-
08 정시 불가능인가요 7 1
건국대가 너무 가고싶은데 내신으로 갈 성적이 안나와서 정시로 돌린 고2입니다....
-
제 이미지 써주실분 구함 11 0
간단히만
-
국바 14번 문학문제들보면 1 0
이원준이 낸것같긴함 ㅋㅋ
-
또 자야되는구나 0 0
하루는짧은데 일주일은 왜이리긴지 모르겠다
-
오공완! 10 1
-
물2에서 사문으로 바꾸고 싶음 5 0
08이라 D-386일 남았는데 지금까지 물2 해온게 아깝긴 한데 (중딩때...
-
근데금딸이수능에도움이될까 12 1
자아가 두개 생겨서 괴롭지 않을까
-
도넛먹고싶어서울엇어 14 1
흐에엥
-
20일의 기적? 2 0
ㄴㄴ 370일의 기적
-
공하싫 12 1
공하싫공하싫
-
ㅇㅇ
-
지구과학 점수가 안오르는데 뭐가 문젠지 모르겠어요 0 0
수능 얼마 안남아서 실모 돌리고 있는데 서바이벌 보면 점수가 30점대를 웃돌고,...
-
D-21, 삼수기록 #269 4 0
무지개 완성
-
어질어질 1 1
쉽지않음
-
벌써 10덮들 보심? 0 0
일요일에 보는데 스포 보면 안돼
-
콘서트 땜에 계속 까먹었다 미안하다 보라 윤사: 기시감 주희 왕수인 풀이, 실개완...
-
부딪다 << 의외로 있는단어 1 0
적응이안되네 ㄹㅇ
-
정신적으로 성숙해졌다고 느낀게 4 2
이제 외로움을 못느낌 모진 고문 끝에 아무랑도 교감을 못해도 유연하게 사는 법을...
-
의머 괜히 온 것 같아 8 0
하 우울해
-
순간판단 GOAT 2 0
횡단보도 건너는데 차가 빵하길래 내가 창문 좀 열려 있는 거 보고 야!하고...
-
주변 애들 힘들게 알바하는 거보니까 과외가 ㄹㅇ 꿀알바같음
-
그치만 가슴이 화2를 시키는 걸... 항상 욕하면서도 공부하는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
D-22, 삼수기록 #268 0 0
-
아는 사람 동생 지금 고1인데 수학 봐주기로 함 은근 슬쩍 수능을..
-
과연 내 원래 점수가 뭔지를 모르겠음
-
20일의기적20일의기적20일 0 0
빰빰빰빰나는간다??으로
-
될거라고 믿고 끝까지 해보자 아자아자
-
통통이는 푼사람이 안보임
-
진짜 사설 기체양론은 너무하네 3 3
XaYb ㅇㅈㄹ에서 X원자수를 구하고 Y원자수를 구한다음 밀도로 나눠서 부피비...
-
3주 후에 건대에 가방 들고 등교할지 자퇴동의서 들고 등교할지 제발 맘 편하게...
-
거울 보다가 문득 든 생각인데 4 0
나 왤케 늙었냐 심리적인 나이는 아직 20대 갓 신입생인데 20대 초중반이 서있네...
-
수능때 1문제 차이로 최저 못맞추면 ㅈㄴ빡칠 듯 ㅋㅋㅋ 10 2
자살 마려울 듯 ㅋㅋ
-
예비고3 겨울 수리논술 1 0
지금 고2이고 곧 예비고3 됩니다. 수리논술 생각이 있어서 겨울에 최지희T 수리논술...
-
Oz모 즌2 이제풀어봄 1 0
1회 42 2등급이네요 정신안차리면 틀릴게많아서 좋은듯 사길잘햇다 내일 10투스라...
-
지금 사탐런 단점 0 0
분명 초반에는 점수도 잘나오고 좋았는데 머리가 과탐에서 너무 멀어진건지 점수가...
-
11/13 무대포 현역 문과 정시러 국어:감각적 찍기 -84...
-
호머식해도됨? 9 1
실모 적백 놓쳐서 화나는데 호머식 해도댐?










경제선택자세요?
네
이 내용인지는 모르겠는데
좋은 질문이야. 표면적으로 보면 **“화폐 수요가 늘면 화폐 가치가 올라가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의문이 생기지.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인플레이션 국면의 화폐 수요 증가와 **화폐 가치 하락(구매력 감소)**은 서로 다른 메커니즘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아. 정리해볼게.
---
1. 화폐가치 = 실질 구매력
화폐의 가치는 결국 물가 수준의 역수로 정의할 수 있어.
예: 빵이 1,000원 → 화폐 1단위로 빵 1개 살 수 있음. 빵이 2,000원 → 화폐 1단위로 빵 0.5개만 살 수 있음.
즉, 물가가 오르면 화폐 구매력이 떨어져 화폐 가치가 감소하는 것.
---
2. 인플레이션 시 “화폐 수요 증가”의 의미
경제학 교과서에서는 **“거래적 화폐 수요(transaction demand)”**가 늘어난다고 해.
물가가 오르면 같은 재화를 사려 해도 더 많은 명목화폐가 필요하므로, 사람들이 보유하려는 명목적 화폐 수요가 증가해.
예: 빵이 1,000원 → 월 30만 원 필요.
빵이 2,000원 → 월 60만 원 필요.
즉, 단순히 거래를 위해 더 많은 돈을 들고 다녀야 한다는 뜻.
---
3. 왜 화폐가치가 떨어지는가?
물가 상승은 통화량 증가 → 구매력 희석 때문에 발생.
화폐 수요가 증가한다 해도, 이는 “같은 거래를 위해 필요한 화폐 단위 수가 늘어남”이지, 화폐의 실질적 희소성이 높아진 것은 아님.
결국 인플레이션은 공급 측 요인(과잉통화, 원가 상승 등) 때문에 생기고, 그 결과 사람들이 거래를 위해 명목화폐를 더 요구하는 상황이 나타나는 것.
---
4. 요약
인플레이션 → 물가 상승 → 화폐 구매력(가치) 하락.
동시에 거래를 위해 필요한 명목화폐 수요가 증가.
여기서 “화폐 수요 증가”는 실질적으로 화폐 가치가 높아져서 사람들이 돈을 더 원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물가가 올라서 같은 거래를 위해 더 많은 명목 단위를 필요로 한다는 의미.
---
즉,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화폐 수요 증가와 화폐 가치 감소는 모순이 아니라 동전의 양면 현상이라고 볼 수 있어.
원한다면, 내가 **수학식(예: 고전적 화폐수량설 MV=PY)**으로도 이 관계를 표현해줄 수 있어.
컨셉임?
이해가 안감 걍
전체 구매자중에
가격이 5000원이면 사고싶은사람 손드세요
네~ 5명
1000원이면 사고싶은 사람 손드세요~
네~ 10명
을 그래프로 점찍은거임
아 같은 돈으로 살수있는 양이 아니라 사고싶은사람의 수라고 생각하면 됨?
아무리 사탐이 개천절부터해도 된다지만 이제까지 뭐한거에요
아니 잠만 애초에 5000원 1000원 가격이 다르잖아
그니까 비싸지면 사기싫겠지
그래서 사고자하는사람 수가 줄어들겟지
근데 저기선 지금 가격이 같잔ㅍ슴뇨
ㅇㅇ
그니까 갑자기
알고보니 이게 정력에 좋다더라!
하는 소문이 퍼지면 사고자하는사람이 많아질거아녀
돈주고 살수있는 양이 아니라 그 양을 그돈주고 사고싶은 사람 그니까 인과관계가 바뀐거임?
인과...는 아니고
아무튼 사고싶은 사람이 많아진거임
그림에서 직선은 시간 t에서
점선은 시간t+1에서
의 가격과 수요량 관계을 그림으로나타낸거
다변수함수라생각하면됨
f(시간, 사람수, 수요량) 그래프에서 수요량과 가격을 x,y축으로 놓고 시간이란 변수를 움직이면서 관찰중인거임
경제러는 아닌데 그냥 원래 비싼가격은 수요가 적고 싼가격은 수요가 많은게 당연한건데 단순히 수요가 느니까 각각에 해당하는 수요가 둘다 많아져서 오른쪽으로 밀린거 아닌가요?
안되겠다 나 수능끝니면 경제강사버튜버 데뷔할테니까 내년까지만 있어보셈 설명해드림
아아아아아 이해함 이해함 5천원짜리를 1개 살수 있었다가 5개 살수 잇게된 그 상황 아님?
살 수 있게된게 아니라
사고싶어진 상황이라고...
수량이 뜻하는게 해당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이 아니라 해당가격일 때 시장 참여자들의 수요량의 합입니다
'수요'곡선이잖어
"가격 변동 이외의 다른 요인으로 인해 수요가 변동하는 것"
대충 가격은 똑같은데 다른 요인 때문에 물건의 가치가 올라서 수요가 증가했다고 이해하면..?
쉽지 않네…
수요량이량 수요가 경제에서 다른 용언건 아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