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아니 이게 왜 이렇게 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192543

왜 같은 돈으로 살수 있는 수량이 늘어난게 수요의 증가임? 걍 물가가 떨어진거 아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04년생#05년생#07년생 인증O) 탈탈털린 짱르비 33 20
-
#공지#국어#독학생 9모 '두 출발' 떠 먹여드림 98 30
-
전제가 참이면 결론이 참 1 1
결론이 거짓이면 전제가 거짓
-
썸 타는데 5 0
학교에서 체험학습가서 인생네컷 같이 찍었는데 귀여워 죽을 거 같아요. 고등학교때...
-
코사인값만 좌변에 정리한 변형코사인법칙 가비의리로 연립시키면 식하나 더튀어나옴
-
사교육 카르텔의 사기행각
-
국어 3,4등급은 1 0
보통 독서 한지문씩 날리나요
-
개떡같이 맛없네 8 0
버릴까 진짜 개 떡같음
-
에휴다노
-
일어나니까배고파쳐먹으니까졸려 4 2
-
딥마 1일찬데 던지고싶네 0 0
급수계산 왜이럼 ㄹㅇㅋㅋ
-
. 2 0
-
님들아 10덮 30번 e^x^2는 적분 안되는거임? 3 0
e^x^2 억지로 적분해보려했는데 잘 안됨. 저렇게 적분 안되는 모형들은 공부하면서...
-
고2 정파 수학 강의질문 0 1
현재 고2 모고 기준 수학 백분위 96~100 사이 나오는데 보통 96~97이고...
-
김승모 2 0
93점 받고 체감 난이도 어려웠어서 이거 백분위 몇일까 하면서 싱글벙글 했는데...
-
수학라스트 실모 추천 ㄱㄱ 1 0
아마 이해원 파이널 피날레(4회분) 양승모 시즌3 (4회분) 범준모 시즌2...
-
오늘은참으로기분이좋은날이에요 4 1
이번주마지막출동이끝났고 복귀를엄청빨리했고 통제관한테외모칭찬도들었고...
-
부엉모 후기 4 0
발문에도 문제가 없고 무엇보다 출제의도가 뚜렷해서 더 좋은거같아요 1-10번은...
-
망해도 괜찮다고 해 주세요,, 4 1
아직 안 망하긴 했는데 심적인 대비를 미리 해 둬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
사문 채점형 쌉 1 0
채점형으로 나오는 단원이 뭐가잇을까요
-
들어본 현강들 후기 6 1
국어 강민철쌤 - 엄청 예민하신 느낌. 근데 동시에 엄청 잘생기셔서 쳐다보게 됨....
-
사문실모 추천해주세여 3 0
맨날 실모 푸려고 하는데 적생모 적중예감 브릿지 사만다 서바 말고 또 뭐있나여
-
옛날엔 그냥 좌파 공산주의 창시자 정도로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요즘은 알아보면 볼수록...
-
몬가 9 1
도파민 터질만한거 없나
-
카이막 맛없네 4 0
이런걸 왜 먹고싶어했나
-
수학 그래프 일러스트 | 오르비 한정 50% 할인 이벤트 진행 중! 5 2
안녕하세요, 크몽에서 활동 중인 프렐루드입니다. 교육업에 발을 들이면서 가장 매력을...
-
근데 배민 음식 사진에 ai 사진 쓴건 머하는거임 3 2
리뷰 괜찮길래 먹긴할건데 몬가몬가네..
-
진짜 극복함 이제 6 0
괜찮아짐 진짜루
-
이거 작수 22번인데 4 0
이런 건 그냥 무조건 나열해서 풀어봐야 하는건가여 이 문제는 a3--a5도...
-
외롭다외로워
-
미모의 여성이 노래 부르는 짤.gif 10 1
-
보통 1컷 몇점인가요 폴라리스…
-
6모급영어기원합니다 0 0
제발
-
사문도표고수분들 2 0
최저때매 3 무조건 떠야해서 도표 하나라도 풀려는데 도표 복지제도 저출생고령화...
-
제사 왜 하지 5 1
진짜 좀 이제 간소화하면 안 되나 진짜 우리 집안 맘에 안 드네
-
30틀 96점 상당히 쉬움 근데 문제 퀄리티는 진짜 다 역대급으로 좋음 다른 실모랑...
-
학원 친구랑 데이트약속 잡힘..급함 15 0
같이 학원다니는 애인데(여자임) 수능끝나고 같이 이탈리안 레스토랑 같이 가자길래...
-
조정식모 난이도가 어케 됨? 0 0
87-92 딱 이 사이에서 진동하는데 정신병 심각하게 걸림
-
설맞이 시켰는데 이거 뭐임? 5 0
설맞이 시켰는데 이해원 모고가 왔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이런 일은...
-
국어 김민정 노베 0 0
국어 완전 노베인데 김민정 좋을까요? 아니면 다른 인강 추천 하셔도 되요 대신 쌩노배기준으로
-
9모성적생각하면 바로 시듦 하아아…………9망수잘 제발 한번삐끗인거겠지?ㅎㅎ하고 다시...
-
사문 질문합니다!!! 9 0
전 실험법이 문맹자에게 활용할 수 있어서 틀리게 처리했는데 답지에 질문지법은...
-
정법 사문 1 0
정법은 적자생존 사문은 적중예감 풀다가 다른 실모(시대인재 브릿지, 타 강사)들이...
-
아 문법 1 0
아
-
지스트 반도체 1차합 2 1
별거는 아니지만 하나 올려봅니다 이거 면접을 가야하나
-
케이크망치면 혼란스럽지않나?? @심찬우 @도희
-
지금 시점에서 다들 안 할 것 같은데 작수 생각하면 꼭 해야하는 공부 5 0
그것은 바로 '영어 듣기' 작수가 나름 1등급 비율도 6퍼대로 꽤나 적은 어려운...
-
유급안주는 본과 교양과목 하루컷 상위 10% 떳다 수학 숭배하기 통계학 숭배하기...
-
붱모 28번 계산 많았다길래 손풀이 해봤어용... 8 1
우리 28번 그리 어려운 녀석 아닙니다...
-
현 고3 재수 확정 0 0
국어 4 수학 1 영여 3 사문 1 지구 4 이어서 재수 확정인거 같은데.. 내년에...
-
10월 더프 라인 0 0
화작 미적 영어 생윤 사문 71 88 87 32 40 건동홍 가능하냐.. 전적대...
-
공부가 너무 하기 싫을 때는 3 1
안녕하세요 만31 저자 김세현입니다:) 저도 지금 중간고사 시험기간이라 공부를 하고...
경제선택자세요?
네
이 내용인지는 모르겠는데
좋은 질문이야. 표면적으로 보면 **“화폐 수요가 늘면 화폐 가치가 올라가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의문이 생기지.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인플레이션 국면의 화폐 수요 증가와 **화폐 가치 하락(구매력 감소)**은 서로 다른 메커니즘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아. 정리해볼게.
---
1. 화폐가치 = 실질 구매력
화폐의 가치는 결국 물가 수준의 역수로 정의할 수 있어.
예: 빵이 1,000원 → 화폐 1단위로 빵 1개 살 수 있음. 빵이 2,000원 → 화폐 1단위로 빵 0.5개만 살 수 있음.
즉, 물가가 오르면 화폐 구매력이 떨어져 화폐 가치가 감소하는 것.
---
2. 인플레이션 시 “화폐 수요 증가”의 의미
경제학 교과서에서는 **“거래적 화폐 수요(transaction demand)”**가 늘어난다고 해.
물가가 오르면 같은 재화를 사려 해도 더 많은 명목화폐가 필요하므로, 사람들이 보유하려는 명목적 화폐 수요가 증가해.
예: 빵이 1,000원 → 월 30만 원 필요.
빵이 2,000원 → 월 60만 원 필요.
즉, 단순히 거래를 위해 더 많은 돈을 들고 다녀야 한다는 뜻.
---
3. 왜 화폐가치가 떨어지는가?
물가 상승은 통화량 증가 → 구매력 희석 때문에 발생.
화폐 수요가 증가한다 해도, 이는 “같은 거래를 위해 필요한 화폐 단위 수가 늘어남”이지, 화폐의 실질적 희소성이 높아진 것은 아님.
결국 인플레이션은 공급 측 요인(과잉통화, 원가 상승 등) 때문에 생기고, 그 결과 사람들이 거래를 위해 명목화폐를 더 요구하는 상황이 나타나는 것.
---
4. 요약
인플레이션 → 물가 상승 → 화폐 구매력(가치) 하락.
동시에 거래를 위해 필요한 명목화폐 수요가 증가.
여기서 “화폐 수요 증가”는 실질적으로 화폐 가치가 높아져서 사람들이 돈을 더 원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물가가 올라서 같은 거래를 위해 더 많은 명목 단위를 필요로 한다는 의미.
---
즉,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화폐 수요 증가와 화폐 가치 감소는 모순이 아니라 동전의 양면 현상이라고 볼 수 있어.
원한다면, 내가 **수학식(예: 고전적 화폐수량설 MV=PY)**으로도 이 관계를 표현해줄 수 있어.
컨셉임?
이해가 안감 걍
전체 구매자중에
가격이 5000원이면 사고싶은사람 손드세요
네~ 5명
1000원이면 사고싶은 사람 손드세요~
네~ 10명
을 그래프로 점찍은거임
아 같은 돈으로 살수있는 양이 아니라 사고싶은사람의 수라고 생각하면 됨?
아무리 사탐이 개천절부터해도 된다지만 이제까지 뭐한거에요
아니 잠만 애초에 5000원 1000원 가격이 다르잖아
그니까 비싸지면 사기싫겠지
그래서 사고자하는사람 수가 줄어들겟지
근데 저기선 지금 가격이 같잔ㅍ슴뇨
ㅇㅇ
그니까 갑자기
알고보니 이게 정력에 좋다더라!
하는 소문이 퍼지면 사고자하는사람이 많아질거아녀
돈주고 살수있는 양이 아니라 그 양을 그돈주고 사고싶은 사람 그니까 인과관계가 바뀐거임?
인과...는 아니고
아무튼 사고싶은 사람이 많아진거임
그림에서 직선은 시간 t에서
점선은 시간t+1에서
의 가격과 수요량 관계을 그림으로나타낸거
다변수함수라생각하면됨
f(시간, 사람수, 수요량) 그래프에서 수요량과 가격을 x,y축으로 놓고 시간이란 변수를 움직이면서 관찰중인거임
경제러는 아닌데 그냥 원래 비싼가격은 수요가 적고 싼가격은 수요가 많은게 당연한건데 단순히 수요가 느니까 각각에 해당하는 수요가 둘다 많아져서 오른쪽으로 밀린거 아닌가요?
안되겠다 나 수능끝니면 경제강사버튜버 데뷔할테니까 내년까지만 있어보셈 설명해드림
아아아아아 이해함 이해함 5천원짜리를 1개 살수 있었다가 5개 살수 잇게된 그 상황 아님?
살 수 있게된게 아니라
사고싶어진 상황이라고...
수량이 뜻하는게 해당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이 아니라 해당가격일 때 시장 참여자들의 수요량의 합입니다
'수요'곡선이잖어
"가격 변동 이외의 다른 요인으로 인해 수요가 변동하는 것"
대충 가격은 똑같은데 다른 요인 때문에 물건의 가치가 올라서 수요가 증가했다고 이해하면..?
쉽지 않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