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잭잭 · 1417742 · 7시간 전 · MS 2025

    경제선택자세요?

  • 오르비마이너갤러리 · 1397302 · 7시간 전 · MS 2025

  • 화이팅해보자 · 1318822 · 7시간 전 · MS 2024

    이 내용인지는 모르겠는데


    좋은 질문이야. 표면적으로 보면 **“화폐 수요가 늘면 화폐 가치가 올라가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의문이 생기지.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인플레이션 국면의 화폐 수요 증가와 **화폐 가치 하락(구매력 감소)**은 서로 다른 메커니즘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아. 정리해볼게.


    ---

    1. 화폐가치 = 실질 구매력

    화폐의 가치는 결국 물가 수준의 역수로 정의할 수 있어.

    예: 빵이 1,000원 → 화폐 1단위로 빵 1개 살 수 있음. 빵이 2,000원 → 화폐 1단위로 빵 0.5개만 살 수 있음.
    즉, 물가가 오르면 화폐 구매력이 떨어져 화폐 가치가 감소하는 것.



    ---

    2. 인플레이션 시 “화폐 수요 증가”의 의미

    경제학 교과서에서는 **“거래적 화폐 수요(transaction demand)”**가 늘어난다고 해.

    물가가 오르면 같은 재화를 사려 해도 더 많은 명목화폐가 필요하므로, 사람들이 보유하려는 명목적 화폐 수요가 증가해.

    예: 빵이 1,000원 → 월 30만 원 필요.

    빵이 2,000원 → 월 60만 원 필요.
    즉, 단순히 거래를 위해 더 많은 돈을 들고 다녀야 한다는 뜻.




    ---

    3. 왜 화폐가치가 떨어지는가?

    물가 상승은 통화량 증가 → 구매력 희석 때문에 발생.

    화폐 수요가 증가한다 해도, 이는 “같은 거래를 위해 필요한 화폐 단위 수가 늘어남”이지, 화폐의 실질적 희소성이 높아진 것은 아님.

    결국 인플레이션은 공급 측 요인(과잉통화, 원가 상승 등) 때문에 생기고, 그 결과 사람들이 거래를 위해 명목화폐를 더 요구하는 상황이 나타나는 것.



    ---

    4. 요약

    인플레이션 → 물가 상승 → 화폐 구매력(가치) 하락.

    동시에 거래를 위해 필요한 명목화폐 수요가 증가.

    여기서 “화폐 수요 증가”는 실질적으로 화폐 가치가 높아져서 사람들이 돈을 더 원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물가가 올라서 같은 거래를 위해 더 많은 명목 단위를 필요로 한다는 의미.



    ---

    즉,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화폐 수요 증가와 화폐 가치 감소는 모순이 아니라 동전의 양면 현상이라고 볼 수 있어.

    원한다면, 내가 **수학식(예: 고전적 화폐수량설 MV=PY)**으로도 이 관계를 표현해줄 수 있어.

  • 하제타。 · 1303135 · 7시간 전 · MS 2024

    컨셉임?

  • 오르비마이너갤러리 · 1397302 · 7시간 전 · MS 2025

    이해가 안감 걍

  • 하제타。 · 1303135 · 7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전체 구매자중에
    가격이 5000원이면 사고싶은사람 손드세요
    네~ 5명
    1000원이면 사고싶은 사람 손드세요~
    네~ 10명
    을 그래프로 점찍은거임

  • 오르비마이너갤러리 · 1397302 · 7시간 전 · MS 2025

    아 같은 돈으로 살수있는 양이 아니라 사고싶은사람의 수라고 생각하면 됨?

  • 하제타。 · 1303135 · 7시간 전 · MS 2024

    아무리 사탐이 개천절부터해도 된다지만 이제까지 뭐한거에요

  • 오르비마이너갤러리 · 1397302 · 7시간 전 · MS 2025

    아니 잠만 애초에 5000원 1000원 가격이 다르잖아

  • 하제타。 · 1303135 · 7시간 전 · MS 2024

    그니까 비싸지면 사기싫겠지
    그래서 사고자하는사람 수가 줄어들겟지

  • 오르비마이너갤러리 · 1397302 · 7시간 전 · MS 2025

    근데 저기선 지금 가격이 같잔ㅍ슴뇨

  • 하제타。 · 1303135 · 7시간 전 · MS 2024

    ㅇㅇ
    그니까 갑자기
    알고보니 이게 정력에 좋다더라!
    하는 소문이 퍼지면 사고자하는사람이 많아질거아녀

  • 오르비마이너갤러리 · 1397302 · 7시간 전 · MS 2025

    돈주고 살수있는 양이 아니라 그 양을 그돈주고 사고싶은 사람 그니까 인과관계가 바뀐거임?

  • 하제타。 · 1303135 · 7시간 전 · MS 2024

    인과...는 아니고
    아무튼 사고싶은 사람이 많아진거임
    그림에서 직선은 시간 t에서
    점선은 시간t+1에서
    의 가격과 수요량 관계을 그림으로나타낸거

  • 하제타。 · 1303135 · 7시간 전 · MS 2024

    다변수함수라생각하면됨

  • 하제타。 · 1303135 · 7시간 전 · MS 2024

    f(시간, 사람수, 수요량) 그래프에서 수요량과 가격을 x,y축으로 놓고 시간이란 변수를 움직이면서 관찰중인거임

  • 네네코 마시로 · 1144209 · 7시간 전 · MS 2022

    경제러는 아닌데 그냥 원래 비싼가격은 수요가 적고 싼가격은 수요가 많은게 당연한건데 단순히 수요가 느니까 각각에 해당하는 수요가 둘다 많아져서 오른쪽으로 밀린거 아닌가요?

  • 하제타。 · 1303135 · 7시간 전 · MS 2024

    안되겠다 나 수능끝니면 경제강사버튜버 데뷔할테니까 내년까지만 있어보셈 설명해드림

  • 오르비마이너갤러리 · 1397302 · 7시간 전 · MS 2025

    아아아아아 이해함 이해함 5천원짜리를 1개 살수 있었다가 5개 살수 잇게된 그 상황 아님?

  • 하제타。 · 1303135 · 7시간 전 · MS 2024

    살 수 있게된게 아니라
    사고싶어진 상황이라고...

  • 기하경제 · 1255758 · 7시간 전 · MS 2023

    수량이 뜻하는게 해당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재화의 양이 아니라 해당가격일 때 시장 참여자들의 수요량의 합입니다

  • 원데이 · 1376795 · 6시간 전 · MS 2025

    '수요'곡선이잖어

  • 새삥현역 · 1382951 · 6시간 전 · MS 2025

    "가격 변동 이외의 다른 요인으로 인해 수요가 변동하는 것"

  • 새삥현역 · 1382951 · 6시간 전 · MS 2025

    대충 가격은 똑같은데 다른 요인 때문에 물건의 가치가 올라서 수요가 증가했다고 이해하면..?

  • 열등하다 열등해 · 1381864 · 5시간 전 · MS 2025

    쉽지 않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