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사-체언 품사 통용을 다루는 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181262
2025학년도 9월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완성
품사 통용이란 한 단어가 여러 품사로 사용되는 것을 말합니다.(이 시점에 품사통용이 뭔지 모르면 언매러 아니긴 함). 작년 9평에나왔을 때 학생들이 꽤 곤란해했는데 올해 수완에도 한 문제 실렸습니다. 이걸 본 건지 올해 이감에서도 나오고 더프에서도 나오고 오르비든 옆동네든 질문이 꽤 있던 내용이었습니다.
그중 가장 헷갈려하는 '부사-체언' 품사 통용을 알아봅시다. '부사-체언' 품사 통용은 '부사-명사', '부사-대명사' 이 두 부류로 나뉩니다.
1) 부사-명사 품사 통용
어제, 오늘, 내일, 모레, 그저께, 등등
이러한 품사 통용어의 일반적인 판별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용언을 수식하면 부사, 그렇지 않으면 명사 (제일 중요)
2) 주어로 사용될 수 있으면 명사, 주어로 사용될 수 없으면 부사.
3) 격조사가 결합할 수 있으면 명사, 그렇지 않으면 부사
(4) 체언을 수식하면 명사, 그렇지 않으면 부사
대부분 이러한 방식으로 풀립니다. 보통 (3)을 자주 쓸 텐데 좋은 방법이지만 원리원칙을 생각해서 (1)로 푸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1. 오늘의 날씨는 어떠하니?
2. 오늘이 첫 출근날이다.
3. 그가 오늘 왔다.
4.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자.
(1)과 (2) 문장에서 쓰인 ‘오늘’의 뒤에 격조사가 실현되어 있기 때문에 명사로 처리하며, (3)과 (4)에 쓰인 ‘오늘’은 격조사 없이 단독으로 쓰였으니 부사입니다.
이렇게 판단해도 나쁘지는 않습니다. 근데 이렇게 되면 2509 '그저께 낮만큼 더웠다'를 판단하기 까다롭습니다. 여기서는 '그저께 더웠다'가 아니라 '(그저께 낮만큼) 더웠다'이므로 '그저께'는 '낮'을 수식하는 관형어로 쓰인 것입니다. '의'가 생략되었다고 볼 수 있죠.
비슷한 예시로 '오늘 날씨가 덥다'가 있습니다. 이 역시 '오늘의 날씨가 덥다'와 의미가 같으므로 관형어로 해석됩니다. '날씨가 오늘 덥다(?)'는 아무래도어색하죠? 문맥도 어색하고 '오늘'이 '덥다'를 수식하는 것으로 보기도 어렵습니다.
따라서 부사의 정의를 생각하셔서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3)과 (4)가 부사인 이유는 '왔다', '하다'를 수식하기 때문이고 '오늘 날씨가 덥다'의 '오늘'이 명사인 이뉴는 '덥다'가 아니라 '날씨'를 수식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판단을 안 하면 문제가 되는 게
1. 철수가 오늘은 왔니?
2. 오늘은 첫 출근날이다.
이러한 보조사의 결합 시의 품사 문제입니다. 보조사가 결합한다고 그 품사를 확정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1)은 부사, (2)는 명사로 볼 것입니다. 의미를 따지시면 이해가 갈 것입니다.
참고)
('오늘은 날씨가 좋다' 따위의 문장은 출제되지 않을 것이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견이 있는 부분입니다.)
2) 부사-대명사 품사 통용
언제
'부사-대명사' 통용은 '언제'뿐입니다(옛날 문법서나 옛날 이론을 따른 책에서는 '여기, 거기, 저기'도 포함할지도 모르겠습니다만 표준국어대사전은 부사 '여기, 거기, 저기'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최근 이감에 얘가 나왔다고 하더군요. 얘도 마찬가지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판별 기준은 용언을 수식하느냐의 여부입니다. 그것이 부사의 정의니까요.
1. 뉴진스 복귀가 언제부터지?
2. 뉴진스는 언제까지 활동을 못 하는 것일까...
3. 민지가 마지막 포닝을 한 게 언제였더라.
4. 우리 언제 만날까?
5. 너 언제 왔니?
6. 민지는 언제 봐도 예쁘다.
여기서 (1), (2), (3)은 대명사입니다. (4), (5), (6)은 부사지요. 당연히 정의에 입각해서 (1~3)은 용언을 수식하지 않으니 부사가 아니고 (4~6)은 용언을 수식하니 부사인 것입니다.
그런데 '언제'는 좀 특이한 체언입니다. 부사임에도 보조사가 결합하지 못합니다. '언제'는 '는'과 결합하면 '과거의 어느 때'를 의미하게 됩니다. '걔가 언제는 제때 왔니?', '언제는 뉴진스가 고트라고 외치더니 지금은 도리어 욕만 한다' 여기선 부사가 아니라 대명사입니다. '언제는'은 부사로 보기 상당히 어렵습니다. 위의 (4~6)에 '는'을 붙여 보십시오. (4)와 (6)은 비문처럼 느껴질 겁니다. 어색하죠. (5)는 뭐 붙을지도 모르겠지만 그렇게 되면 원래의 의미 즉 의문의 의미가 사라지고 '과거의 어느 때'라는 의미가 생겨 버립니다.
또, 보조사 '든', '든지', '라도'도 대명사 '언제'에만 결합하지, 부사 '언제'에는 결합하지 않습니다. '언제든 오십시오', '언제든지 쓰거라', '언제라도 놀러간다' 등은 대명사 '언제'입니다. 즉 '언제 찾아갈 수 있나요?'는 부사고, '언제든지 찾아갈 수 있나요?'는 대명사인 것입니다.
이처럼 좀 지엽적인 면이 상당하기 때문에, 최근 이감 문제처럼 '언제'를 품사 통용으로 내는 건 수능에서는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낸다면 '언제'는 그 구별법을 보기에서 상세히 얘기해 주지 않을까 싶네요. 혹은 내더라도 보조사가 결합한 경우를 출제하지 않을 것입니다.
참고) 왜 이런 품사 통용을 하는가
그렇다면 왜 품사 통용을 할까요? 체언-부사 품사 통용어를 관형격조사가 생략이 될 수 있다고 보면서 왜 부사격조사는 생략이 불가능하다고 보는 걸까요?
그건 애당초 부사격조사가 결합하는 경우가 잘 없기 때문입니다. '나는 어제 집을 갔다', '나는 오늘 집을 간다', '나는 내일 집을 갈 거다'를 '어제에', '오늘에', '내일에'로 바꿔 보십시오. 그게 자연스러운신가요? 아마 그렇다면 좀 특이한 한국인이실 겁니다. 일반적인 쓰임이 아닙니다. 이 때문에 애당초 부사격조사가 생략된 것이 아니고 부사격조사가 붙지 않으니 그냥 부사로 보는 것이지요.
즉 부사어로 쓰이는 것처럼 보인다면 그것은 부사격조사의 생략이 아니고 그냥 부사인 것입니다.
혹시 더 궁금해하실 분이 계실까봐 말씀드립니다. 이건 어원과 관련된 문제라 그렇습니다. '언제', '어제', '그저께'는 기원적으로 부사격조사가 통합된 구성이라서 '그저께에', '언제에', '어제에' 따위의 조사 결합은 일반적인 경우가 아니고 심하면 비문으로 인식되기도 합니다. 그러니 애당초 '에(그 당시는 특이처격 의)'가 붙어서 만들어진 말이라 그 뒤에 또 '에'를 붙일 생각을 하지 않은 것이죠. 중세국어 화자에게는 '언제에'는 마치 '그곳에에'처럼 불필요하게 부사격조사를 두 번 쓰는 것처럼 인식된 것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쓰임이 계속되며 '언제에, 오늘에' 등이 잘 쓰이지 않은 것이죠. 또, '오늘' 역시 기원적으로 날짜를 의미하는 단어가 결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기에 부사격조사가 결합하는 것을 꺼리는 것일 수 있습니다.
관련 논문으로 "박진호.황선엽.이승희(2001) 어말 ‘C+ᆡ/ᅴ’에서의 ‘C+ᆞ/ᅳ’ 탈락 현상에 대하여"가 참고됩니다.
번외) 수능에 안 나오는 내신틱한(공시틱한) JOAT같은 품사통용
1. 민지는 역대 아이돌 중 외모 순위로 첫째이다
2. 첫째, 민지에 대한 욕을 해선 안 되고, 둘째 '칼국수'라는 좆같은 말을 써선 안 된다.
3. 민지의 오라버님은 그 집안의 첫째이다.
4. 아이돌은 첫째로 외모가 예뻐야 한다.
5. 배가본드의 첫째 권을 잃어 버렷다.
이 문장에서 '첫째'의 품사가 같은 것끼리 짝지은 것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ㅅㅂ 드디어 맛탱이가 갔나 2 0
분명 검은색 모기같은 날벌레가 보였는데 눈씻고 찾아봐도 안보임; 하
-
영어 4면 2 0
구문 + 문법 돌리고 양치기 하는 게 맞겠죠?
-
타케나카 유다이 넘무 멋있다 4 0
드라우닝 왤케 잘 부름
-
근데 나만큼 8 0
열등감심한사람 본적이 없는듯.. 열등감때문에 되는게없음.. 이것도 치료할수있나...
-
뭐지 나 아무것도 안했는데 2 0
왜 팔로워가 늘었지
-
아 진짜 화나네 3 1
ppt 가독성 좀 아 몰라 공부 안 해
-
사문 실모 ㅊㅊ 3 0
이번 9모랑 난이도가 비슷하거나 조금 더 어려운 걸로 풀고 싶은데, 뭐가 좋은가요...
-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비연계로 수능 나올때 폭탄될 수 있는 작품 5 1
박경리 선생님 토지 워낙 양이 방대해서 전문 다 읽고 가는게 어릴때 안읽었으면...
-
25수능 국어 보는데 8 1
이번 체제 역대 평가원 중 중간공통 + 물언매 들고 작년표본가지고 황밸시험...
-
그냥 찢어버리고싶다
-
수학 n제가 중요할까요ㅠㅠ 3 1
확통 9모 72좀 나왔는데 확통을 두개나 날려서… 확통은 승슬 엔제 푸려고 하는데...
-
2시2시2시2시 1 0
2시의악마
-
체인소맨 레제편 봤는데 2 2
수영장 씬에서 거미줄 연출 언급하면서 좋앗다 하니까 씹덕같다고 하더라…
-
안외워지는걸모아서정리했더니 1 1
그냥 요약본이 됐어요 난 뭘 외운거지?
-
내가 료평을 낮추는 거임? 1 1
..? 근데 나밖에 없잖아.
-
미적분 미적분 미미적분 미적분 2 0
미적분 얍
-
앙앙
-
남들이 볼 땐 몰라도 1 1
7월 초로 돌아가면 다시는 그렇게 못 할 것 같음.. 다만, 좀 아쉬운건 학교...
-
아빠도 이제 한계다. 2 2
오르비탓 하지 마라.
-
나도 야동 안 보는데 8 0
왜 봄?
선생님2번선지에감정이가득한데요
당연한 말을 썼을 뿐입니다
1,4?
수사: 1, 2
명사: 3, 4
관형사: 5
2번선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