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미사지 [1402630] · MS 2025 · 쪽지

2025-10-19 17:27:47
조회수 77

국어 2010 수능에 나와있는 문젠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136103

승무와 뻐꾹새에서 귀또리의 소리와 철쭉꽃의 색채가 직접적으로 나오지 않았지만 그 대상들을 통해 충분히 유추가능한 범위라 맞다고 판단한 건가요? 평가원이 이거 오류라고 안 했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언미사지 · 1402630 · 3시간 전 · MS 2025

    근데 이게 맞으면 진짜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식 아닌가..

  • final exit · 1405125 · 2시간 전 · MS 2025

    귀뚜라미가 안자고 밤을 지새는건 귀뚜라미의 울음소리로 알죠
    귀또리도 지새는 이 밤이라는 구절을 감상하면서 독자는 자연스럽게 귀뚜라미의 울음소리를 청각적 심상으로 그리게 되기에 귀또리의 소리를 통해 설움을 환기한다고 할수 있는 것이고요

    철쭉꽃밭 부분은 설움이라는 관념을 철쭉꽃의 색채에 비유해서 연결지은 겁니다 정확히 기억은 안나는데 '설움이 빛깔로 남아 철쭉꽃밭을 다 태운다(=물들인다)'고 하잖아요 이 구절을 감상하면서 독자는 철쭉꽃밭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되고 철쭉꽃의 색채는 설움이 감각적으로 형상화된 것으로서 설움을 환기하는거죠

  • 언미사지 · 1402630 · 1시간 전 · MS 2025

    직접적인 감각적 이미지 표현이 없어도 저렇게 간접적으로 알 수 있으면 맞다고 판단해야 하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