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햄지 [1381697] · MS 2025 (수정됨) · 쪽지

2025-10-18 22:20:47
조회수 72

사문 역할갈등 판별하는 기본 원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124114

두개 이상의 행동을 요구받는 상황에서

'그 주체의 지위가 그 행동을 일반적으로 요구하는가?' 를 생각하면 됨


Ex) 래퍼가 되고 싶은 갑은 대학을 가라는 아버지의 요구 때문에 고민하고 있다.

갑은 아들이다. 아들이라는 귀속 지위에 '대학을 가라'는 역할 행동이 일반적으로 요구되지 않는다. (한국 사회를 보면 대학 진학이 요구되는것 같긴 하지만 원리적으론 그렇지 않다.) 따라서 여기서 갑의 고민은 역할 갈등이 아니다. 

여담으로 대부분의 기출에서 진로 고민은 보통 역할 갈등이 아니다.

(내가 본 기출에선 모든 진로고민은 역할갈등이아니었지만 내가 기출을 완벽히 다 보고 기억한게 아니기의 일말의 여지를 남긴다.)


또 다른 예로

'수학 강사이자 저작권 위반 단속요원인 우진이가 현재 가지고 있는 돈으로는 수학 교재를 출판하거나 불법 pdf 파일 사용자 고소를 하기 위한 변호사를 선임하거나 둘 중 하나밖에 못한다. 우진이는 둘 중에 뭘 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


우진이는 수학 강사라는 지위도 있고, 저작권 위반 단속 요원이라는 지위도 있다. 

수학 교재 출판은 수학 강사의 역할 행동중 하나이다. 

또한 저작권 위반 단속 요원은 당연히 불법 pdf 사용자를 단속해야 한다. 이렇게 두 행동이 모두 역할 행동이기에 여기서 우진이의 고민은 역할 갈등이 맞다.


얼마전에 친구가 이거 물어보길래 걔한테 알려준 내용 대충 글로 옮겨봤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