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민06 [1321046] · MS 2024 · 쪽지

2025-10-17 01:28:09
조회수 169

헤겔 철학의 핵심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자작문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101100

헤겔에게서 '낭만'은 일차적으로는 예술의 형식과 역사 및 장르를 유형학적으로 단계화하는 미학적 맥락에서 등장하지만, 그 실질 적 내용 면에서는 그의 정신철학 전체의 핵심을 적확하게 드 러내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 개념은 그 명칭이 주는 익숙함으로 인해 종종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이 개념을 '낭만적인 것'이라는 범주로 좀 더 엄밀하게 규정하고, 이것이 특히 예술적 내지 사상적 노선으로 공인된 '낭만주의'와 어 떤 관계를 지니는지를 밝혀야 한다. 주목할 것은, '낭만적인 것'이 일차적으로 그 단어적 인접성에서 보이듯이 낭만주의를 하나의 하위범주로 포괄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낭만주의와 대립 관계를 보 이기까지 한다는 점이다.
이성주의의 가장 강한 형태의 판본을 구축하려는 헤겔의 관점에 서 볼 때 무한한 상상력과 감수성이 핵심인 낭만주의는 응당 극복 되어야 할 전형적인 지적 미성숙의 상태이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그는 인간 지성이 정점에 이른 단계에 대해서도, 즉 엄밀한 개념에 의거하여 최고도의 사유를 수행하는 사변적 이성 및 그러한 이성 의 활동장인 철학까지도 종종 '낭만적'이라고 부를 뿐 아니라, 사 변적 이성과 철학을 가장 완전한 의미에서 '낭만적인 것'이라고 평가한다. '낭만적인 것'의 정점은 낭만주의의 대척인 이성적 사변 인 반면, 낭만주의는 그 명칭이 무색하게 오히려 '낭만적인 것'의 저급한 미완 단계로 평가되는 것이다.
이러한 착종된 용어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몇몇 지점에 서 '낭만적인 것'을 '기독교적인 것'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낭만적인 것'과 낭만주의의 관계에서와 유사하게, '기독교적인 것'은 비록 언어적으로 종교적 색채를 풍기 기는 하지만, 제도화된 신앙 및 교리 체계로서의 기독교를 넘어서 는 정신철학적 범주이다. 그에 따르면 정신의 가장 저급한 단계 는 객체에 대한 주체의 의존성이 가장 지배적인 감각적 지각의 단계이며, 가장 고급한 단계는 그러한 대상 의존성을 완전히 극 복한 정신적 주체의 순수하고 내면적인 재귀적 작동인 '반성', 즉 이성적 사유이다. 이는 절대자, 곧 '신'이 어떤 인격체가 아니라 세계 의 근본적 존재 구조 내지 원리로서의 '이성'이라고 보는 그의 절대 적 관념론에 의거한다. 절대자 그 자체가 완전한 이성적 구조, 즉 개념의 엄밀하고도 완전한 자기 운동 체계이므로, 그것에 호응 하는 인간 지성의 형식 역시 개념적 사유 능력인 이성이어야 한 다는 것이다. 여기서 '기독교적인 것'이란, 어떤 물리적 대상을 때 개로 절대자와 만나려는 원시적 지성성을 극복하여 순수한 내면 적 정신성을 성취하는 지성의 단계를 통칭한다. 따라서 가장 완전 한 의미에서 '기독교적인 것'은 순수한 개념적 반성을 통해 진리를 인식하는 철학에서 달성된다. 반면 기독교는 자연적 대상의 숭배 또는 매개를 넘어섰다는 점에서 '기독교적인 것'이기는 하지만. 개 념적 반성을 필요조건으로 하는 지성의 완전한 순수 내면성에는 미치지 못하기에, '기독교적인 것'의 불완전한 단계로 평가된다. 이 상을 근거로 할 때 '기독교적인 것'은 '내면적 지성성'으로 바꾸어 부를 때 그 본질적 의미가 제대로 드러난다. 내면적 지성성에는 여러 단계가 있고 그 완전한 단계는 개념적 사유를 통한 철학인 한에서. '기독교적인 것'은 '기독교와 단순 등치될 수 없는 것이다.
'기독교적인 것'을 이렇게 이해할 때 '낭만적인 것'과 낭만주의의 관계가 밝혀진다. 감성과 상상력의 무제한적 발산, 즉 '가슴속의모든 것을 표출할 수 있는 자유'를 지향하는 낭만주의가 주어진 경험 세계를 넘어서는 지적 주체의 내면적 작동을 중심 원리로 하는 것은 분명하기에 낭만주의는 의심할 바 없이 '낭만적인 것' 의 하나이다. 그러나 낭만주의가 달성하는 정신의 내면성은 개념 적 반성성에 의거한 철학적 사유의 내면성에는 아직 이르지 못 한 열등한 것이며, 이에 낭만주의는 '낭만적인 것'의 완전한 전형 이 될 수 없다. 진정으로 '낭만적인 것'은 철학적 사유에서 비로소 성취된다.



헤겔 철학의 핵심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1. 정신의 재귀적 작동은 신앙과 예술의 영역에서 최고도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할 것이다.

  2. 2. 참된 인식의 수행 방식은 인식의 가장 고급한 단계에서 이루어진다고 생각할 것이다.

  3. 3. 절대적 진리에 대한 최고의 인식은 인격화된 절대자의 존재를 증명하는 데서 이루어진다고 여길 것이다.

  4. 4. 참된 이성의 수행 방식은 미학적 맥락에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할 것이다.

  5. 5. 구체적 경험과 정신 내면의 자유로운 상상력의 작동에서 최고의 지적 탁월성이 달성된다고 여길 것이다.


ㅎㅎ 심심해서 만들어봤습니당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민민06 · 1321046 · 10/17 01:36 · MS 2024

    사실 23 리트 언어이해 문제에서 변형한겁니당 ㅋㅋ

  • qbodpbo · 1227343 · 10/17 01:51 · MS 2023

    중간중간에 띄어쓰기랑 오타가 조금 있네요 ㅎㅎ
    답은 3번 맞나요?
    신=이성의 정점
    기독교적인 것:신을 매개로 하지 않고 나 자신이 신과 같은 이성적 정점의 상태에 다다름
    이라 생각했습니다. 2번 빼고는 다 소거가 되네요

  • 민민06 · 1321046 · 10/17 01:53 · MS 2024

    2범입니당! ㅎㅎ 제가 넘 문제를 꼬아놔서..

  • qbodpbo · 1227343 · 10/17 01:55 · MS 2023

    개념적 반성이 있어야 하는데 절대적 진리라고 말해서 틀린 건가요? 어렵네요 ㅋㅋ

  • 민민06 · 1321046 · 10/17 02:01 · MS 2024

    네! 3번선지는 제가만든게 아니라 평가원에서 만드신거리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