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르망 [1342838] · MS 2024 · 쪽지

2025-10-16 22:54:18
조회수 179

혜윰 3-1 독서 질문(스포 있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097800

혜윰 3-1 94점 나왔고 독1, 문1, 언1 이렇게 하나씩 틀렸는데요


독서에서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어서요ㅠㅠ


독서 가나형 4번 문제 답이 1번인 것은 납득이 됩니다.


그런데 4번은 왜 답이 될 수 없나요?


‘다른 지식으로부터 논리적으로 도출됨(상황1)‘ 이거나 '다른 지식을 도출할 수 없음(상황2)’ 일 때 인식론적으로 독립적인 지식이잖아요.


그럼 두 상황 중 하나만 성립해도 인식론적으로 독립적인 지식이라는 건데,


4번 선지 ’인식론적으로 독립적인 지식은 / 다른 지식을 논리적으로 도출할 수 없다(상황2).’ 라고 단정짓긴 어렵지 않나요?


인식적으로 독립적인 지식 중에 

다른 지식을 논리적으로 도출하지만(~상황2) 다른 지식으로부터 논리적으로 도출되어서(상황1)

즉 상황2는 아니더라도 상황1만 만족해서 인식적으로 독립적인 지식이 된 경우도 있잖아요,,


만약 4번이 맞는 선지가 되려면 지문에서 ‘논리적으로 도출되거나 다른지식을 도출할 수 없다면’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도출되지만 다른 지식를 도출할 수 없다면’ 이런식으로 바뀌어야 하지 않나요?.?



제가 어디 부분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건지 답답합니다ㅠㅠ 알려주실 분 계실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Cogito Ergo Sum · 1105120 · 21시간 전 · MS 2021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논리적으로 도출될 수 있고, 도출할 수 있는 지식이 인식론적 인과력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즉 도출이 가능하면 인식론적 인과력이 있는 것입니다.

    반대로 인식론적 인과력이 없는 것은 도출될 수 없고 도출할 수 없는 것입니다.
    해당 문장을 '논리적으로 도출되거나 / 다른 지식을 도출할 수 없다면'으로 끊어 읽으신 부분이 문제가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끊어 읽으면 '도출되거나' 부분이 일단 비문이 됩니다.

    해당 문장은 끊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도출되거나 다른 지식을 도출할 수) 없다면'과 같이 묶어서 읽어야 합니다.

    꼭 비문이 아니더라도 말씀주신 것처럼 상황1만 만족해서 인식론적으로 독립적인 지식이 된 경우를 생각하면

    상황 1 + '다른 지식을 논리적으로 도출할 수 있음'이 되면
    인식론적으로 독립적이면서, 인식론적으로 인과력이 있는 게 되어버립니다.

    상황 1만 충족해도 -> 인식론적으로 독립
    상황 1 + '다른 지식을 논리적으로 도출'을 충족 -> 인식론적으로 인과력이 있음
    이렇게 되니까요.

  • 또르망 · 1342838 · 10시간 전 · MS 202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또르망 · 1342838 · 10시간 전 · MS 2024

    아~그렇네요. 제가 한 말이 결국 인과력이 있는 지식이 되어버린 셈이니 모순적이네요! 제가 한 가지 사고에 완전히 매몰되어 있었나봐요. 다시 읽어보니 이해가 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심찬우fan · 1343866 · 8시간 전 · MS 2024

    저 궁금한게 해당 단락 마지막에 러셀의 의견과 대조적이라고 언급된 부분은 독립적 지식(친숙지)로 추론(서술지)을 도출하는 것이 셀러스의 입장에서 모순되는것이기때문이라고 보면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