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윰 3-1 독서 질문(스포 있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097800
혜윰 3-1 94점 나왔고 독1, 문1, 언1 이렇게 하나씩 틀렸는데요
독서에서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어서요ㅠㅠ
독서 가나형 4번 문제 답이 1번인 것은 납득이 됩니다.
그런데 4번은 왜 답이 될 수 없나요?
‘다른 지식으로부터 논리적으로 도출됨(상황1)‘ 이거나 '다른 지식을 도출할 수 없음(상황2)’ 일 때 인식론적으로 독립적인 지식이잖아요.
그럼 두 상황 중 하나만 성립해도 인식론적으로 독립적인 지식이라는 건데,
4번 선지 ’인식론적으로 독립적인 지식은 / 다른 지식을 논리적으로 도출할 수 없다(상황2).’ 라고 단정짓긴 어렵지 않나요?
인식적으로 독립적인 지식 중에
다른 지식을 논리적으로 도출하지만(~상황2) 다른 지식으로부터 논리적으로 도출되어서(상황1)
즉 상황2는 아니더라도 상황1만 만족해서 인식적으로 독립적인 지식이 된 경우도 있잖아요,,
만약 4번이 맞는 선지가 되려면 지문에서 ‘논리적으로 도출되거나 다른지식을 도출할 수 없다면’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도출되지만 다른 지식를 도출할 수 없다면’ 이런식으로 바뀌어야 하지 않나요?.?
제가 어디 부분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건지 답답합니다ㅠㅠ 알려주실 분 계실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 사실 지방대 일반과는 메디컬있는데는 안가는걸 추천하긴함 3 0
난 일반과고 지잡대에서 학식먹고있는데 약대,한의대 과잠입고있는애들보면 현타 장난아님
-
ㄹㅇ로다가
-
듀냐윧냥 2 0
듀듇듀ㅠ듀듀ㅠㄷ
-
해원즌2 난이도 어떰 5 0
2안정~1컷인데 풀만한 난이도임? 마지막 엔제로 설맞이할지 해원이할지 모르겠음
-
과탐 2과목 어떤가요 3 0
물론 수능으론 안함. 내신으로 3개 해서 급 궁금해짐ㅋㅋ
-
아진짜한번만제발제발ㅈㅂ 2 0
고2 정파 한번만 도와주세요 제발 ㅜㅜ 김승리 올오카 오리진 문학 독서 다 돌렸는데...
-
ㅇ
-
하지만 다 잊어야만 해욥
-
지구과학 10모 17번 질문 0 1
문제에서 지괴가 한 방향으로만 이동했다고 했는데 이게 북쪽 or 남쪽을 의미하는...
-
5시에일어나야함 1 0
그럼
-
잘려고 누워잇는상태가너무싫어 2 1
눕자마자 의식이사라졋으면좋겟어
-
수학 벽 뚫어보신분계신가요… 4 0
84 88 진동하고 시험지말리면 80뜹니다 92점을 받아보고싶은데 그 한문제가...
-
국어: 화작 / 문법 / 나머진 그닥? 그나마 과학 기술 수학: 20 / 29 /...
-
좀놀다가 4 0
자야지
-
잘 잤다 2 0
-
생윤 인강 3 0
고2 정시러인데 김종익이랑 임정환쌤중에 추청하시는 분 있으실까요??? 개념 처음합니다
-
1컷 50뜨는거아니겠지 차라리 어려운게나은데
-
야 롤들어와 한판만 하자 5 0
ㅌ
-
님들 몇시간 잠? 2 0
지금 자면 6시간밖에 못 자는데 7-8시간 어케 자는 거임?
-
OZ N제에 우주론파트 다 맞출 정도 개념만 되면 4 0
우주론 개념 더 깊게 파고 들어갈 필요 없죠?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논리적으로 도출될 수 있고, 도출할 수 있는 지식이 인식론적 인과력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즉 도출이 가능하면 인식론적 인과력이 있는 것입니다.
반대로 인식론적 인과력이 없는 것은 도출될 수 없고 도출할 수 없는 것입니다.
해당 문장을 '논리적으로 도출되거나 / 다른 지식을 도출할 수 없다면'으로 끊어 읽으신 부분이 문제가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끊어 읽으면 '도출되거나' 부분이 일단 비문이 됩니다.
해당 문장은 끊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도출되거나 다른 지식을 도출할 수) 없다면'과 같이 묶어서 읽어야 합니다.
꼭 비문이 아니더라도 말씀주신 것처럼 상황1만 만족해서 인식론적으로 독립적인 지식이 된 경우를 생각하면
상황 1 + '다른 지식을 논리적으로 도출할 수 있음'이 되면
인식론적으로 독립적이면서, 인식론적으로 인과력이 있는 게 되어버립니다.
상황 1만 충족해도 -> 인식론적으로 독립
상황 1 + '다른 지식을 논리적으로 도출'을 충족 -> 인식론적으로 인과력이 있음
이렇게 되니까요.
아~그렇네요. 제가 한 말이 결국 인과력이 있는 지식이 되어버린 셈이니 모순적이네요! 제가 한 가지 사고에 완전히 매몰되어 있었나봐요. 다시 읽어보니 이해가 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저 궁금한게 해당 단락 마지막에 러셀의 의견과 대조적이라고 언급된 부분은 독립적 지식(친숙지)로 추론(서술지)을 도출하는 것이 셀러스의 입장에서 모순되는것이기때문이라고 보면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