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롤 마스터 찍고 접고싶은데 다이아3에서 허우적대는중 2
진짜 탑으로 마스터 한번 찍어보고 싶다
-
우유못마셔서요즘과일주스로만족중인데 너무질튜남
-
현역때 친구들이 대학목표물으면 목표야 설대지만 인설만해도 재수는 안하겠다...
-
님들 빨리자셈 5
그래야 나도 공부함
-
담배 생각 0
똑같은 맛과 향 열 개비를 돈 주고 피우는건 못할 짓 같던데 어떻게 보면 대단함...
-
오노추 3
새벽감정이 마구마구
-
훌륭한 제안을 하나 하지. 너도 체스를 하지 않겠나? 체스를 하지 않겠다면 죽인다.
-
딜러를 제일 못함 요즘 너무 안해서 그런가 그래도 옛날에 첫 마스터 포지인데...
-
덕코상속은 22
재릅반복안하고 오래오래 한계정으로 할거같은사람한테 줘야지
-
걍 Onyx Boox Go6 사면 되나요?
-
중학교 3학년 학생이고, 경제학과 진학을 희망하는데 미적분2 (2015 개정 교육과정 '미적분') 선행이 꼭 필요할까요? 3
제목 그대로 경제학과 (혹은 타 상경계열) 진학을 희망하는 중학교 3학년 학생인데...
-
ㅇㅈ 3
그런건없어!
-
저점이 마5같음 이 무슨 파멸적인 저점
-
닭집은 어쩌려나 19
하아 맨유를 볼 수도 없고 곤란하다곤란해
-
커피우유장전 2
-
왜아니라는사람들이잇음 걍장난치는거임?
-
나머지는 98이 더 가까울거같은데
-
[자기전에읽어보는] 23학년도 6평 '이중차분법' 분석 1
안녕하세요. 이해되지 않는 문장을 그냥 넘기지 않고, 글쓴이의 말에 질문을 던지며,...
-
잠이안옴 0
-
퀄리티 괜찮은 투과목 무료실모가 올라오는군
-
이게 그 반존대인가 그거냐
-
팀09 10모 ㅎㅇㅌ!!
-
난 실제긴해
-
탈릅하고 7
고3인척해볼까
-
08 손 7
고2들 댓 달아봐
-
잠이안오넹 1
씻어야하는데 노래만듣고잇어 나좀재워조
-
두번보세요 전세번볼게요
-
수학 0
정석,자이,쎈으로 몇등급까지 ㄱㄴ하다고봄 (어려운 부분은 시발점)
-
맛있다!!! 망고주스는 아껴놨다가내일 모고치고와서 먹어야지
-
점점 늙고 있어 7
-
그 시험지 위에 인생을 건 사람들이 있다
-
인프피는 0
어떤 말에 감동받음? 연인 기준으로
-
작년에 07 본 기억은 없는디 눈팅이라 그랬나
-
2년전 14
천진난만
-
고맙다
-
오르비 특 4
자꾸 과거 보여줌
-
해여지
-
이건 계약이다 덴지. 12
내 피를 주마 대신.. 나를 찾으러 와주라
-
1등급 몇퍼 난이도로 나올지 모르니까 압박감 더 심하노
-
나 오빠한테 또 반했어 이런말 뭔가 가슴이 뭉클해져 자주 해주는게 어떨까
-
코딩을 대신 해주고 있는가
-
2 4
시부터공부함
-
전세계에서 평균 학력이 제일 높은 곳이 어딘지 알아? 4
그건 바로 남극이야 왜냐면 최소 석박사들만 있으니깐
-
외계어 써있는거 깉은데
-
9모.. 0
확통 딱 1컷 92에서 계산 실수로 5,8번 틀리고 29번 마킹 실수하니까 3이...
-
주스마시고 2
퍼질러자기에는 머리에든게아무것도없으니까 인강좀만보고수1내용을떠올리고자야겟다...
-
롤드컵 개막 ㄷ ㄷ
-
엉엉
찬물도 위아래가 잇는데 관을 건너뛰고 관동생부터 보면 어캄
진짜 있는 말인줄 알고 찾아봄..
ㅅㅂ ㅋㅋㅋㅋㅋ
옆집이 한 단어는 맞는데 옆이 명사/관형어는 맞는 거죠??!!
1. 문장에서 관형어를 찾으라 했으니 단어 혹은 구를 찾아야 함. 즉 저 문제에서 관형어는 '옆'이 아니라 '옆집'
2. 단어를 주고 형태소를 분석하라 또는 형태소의 기능을 분석하라 이런 문제였다면 '옆집'은 '옆+집'으로 구성된 통사적 합성어이고, '옆'은 '집'을 수식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관형어의 역할을 함.
3.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관형어를 물을 때는 문장의 관점에서 출제하므로 보통의 일반적인 문장성분 문제에서 단어를 형태소로 분석하는 것은 무의미. 단어 그 자체로 보는 게 맞음
Ex)
나는 맛있는 군밤을 먹었어
문장에서 관형어는 무엇인가? --> '맛있는' 1개뿐
그러나 만약, '군밤, 김밥, 해님' 이렇게 단어 목록을 주고 '군밤'의 직접구성요소에 관형어가 있는가? 이런 식으로 물어 봐야만 단어를 분석하여 그 결합 요소의 성분을 따지는 것
참고로 '군밤'의 '군'은 '구운'임
오.. ‘옆집’ 이라고 붙어있어서
더 해체하면 안되고 그냥 이,우리,우리 옆집, 우리 옆집 사람이 키우는 이렇게 4개로 보는 건가요?
그럼 ’옆 집‘ 이라고 쓰면 또 양상이 달라지나요?
맞습니다. 단어를 쪼개는 것은 형태소 문제에서 하는 것입니다.
관형어를 찾을 때 관형사형 전성 어미가 붙은 놈을 찾거나 관형격조사가 붙은 놈을 찾거나 혹은 체언만으로 기능하는 놈을 찾는데 이때 용언의 활용형이라면 '관형사형 전성어미가 붙어 관형어가 쓰였구나', 관형격조사가 붙었다면 '관형격조사가 붙어서 쓰였구나', 체언 단독이라면 '체언 홀로 관형어로 쓰였구나' 이렇게 판단하는 것입니다
즉 체언 단독 관형어는 체언 그 자체가 관형어로 기능하므로 문장에서의 성분을 묻는 문제에서는 쪼개지 않습니다.
부사어는요?
부4어가 아니라 부5어를 찾으면 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