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하시는 분들! 등속직선운동은 등가속도운동이 아닌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058413
등속직선운동은 가속도가 0으로 일정하잖아요
그니까 등가속도 운동으로 볼수도 있는거 아닌가요?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5번에서 절어서 22분 50점 나왔는데 작수도 만점이고 올해도 다 1등급인데 저는...
-
민주당이 언제까지 집권할까 1 2
내가봤을땐 100년뒤에조차도 보수가 집권할까말까일듯 깜깜하다 캄보디아도 진짜...
-
서바 15회 풀엇어 0 0
22 29 92점 캬캬
-
으헤헤헤 4 0
집가자 헤헤ㅔㅎ
-
자이스토리 3점빼고 다어렵네 3 0
줫됐네ㅋㅋ
-
계엄때 야간위병소 4시간섯엇음 3 0
아
-
이번 10모 퀄 어떤가요 3 0
국영수사탐(쌍윤) 다 어떤지 알려주세용 풀만한가요?
-
소수 계산 너무 힘들고 헷갈림 내가 수학포기한순간이딱 초딩때 소수점자리계산배울때였다고
-
진짜 뭐지 0 0
지인선 파이널 2회차 노찍맞 92인데 강철중 10회는 70점 아래로 나옴 이건 진짜...
-
아 닉변하구시퍼 5 0
덕코좀요 ㅜ ㅠ ㅠ ㅠ
-
아니왜투표했냐고 국힘아 1 1
아이고난 ㅠㅠㅠㅠㅠㅠ
-
지듣노 4 1
흠흠
-
감독마다 케바케?
-
오노추 진짜 조음 6 1
-
이틀 뒤 시험인데 4 0
6주치 강의를 아예 켜놓기만 하고 안봤음 이거 어캄 기말 노려야지
-
9월에 정신나가서 공부좀놨는데 4 0
후회 개되네
-
화가많이나는날이다 5 0
좆같은새끼들이 너무많다
-
물리 고수 다 들어와보셈 7 0
특모 이거 못보면 42~41까지 내려가는데 정상임? 그냥 물리적으로 시간이 부족해서...
-
. 0 1
.
-
다시 공부하러 갑니다 1 1
오랜만에 차 한 잔 마시면서 해야지 수업 마친 지 3시간 밖에 안 된거 아무리봐도 개웃기네 ㅋㅋㅋ
가속도가없어서아님
가속도가 0이면 등가속도 운동이라고 안해요?
가속도가 0인 운동을 원래 등속운동이라부름
근데 엄연히 말하면 가속도가 0으로 일정하니까 등가속도 운동으로도 볼 수 있는거 아니에요?
그래서 등속운동도 엄연히 말하면 등가속도운동의 부분집합이긴함
가속도가 0이 아닌걸로 동일-> 등가속도 운동으로 보통 부르지 않나요?
정확한건 모르겠지만 수능범위 내에서는 가속도가 없는 운동을 가속도 운동이라고 하진 않는 걸로 알아요
예리한 관찰이십니다! 등속직선운동에서 가속도가 0으로 '일정'하다는 점을 정확히 짚어주셨습니다. 이는 물리학 개념의 본질을 꿰뚫어 보려는 아주 중요한 질문입니다. 오르비 커뮤니티의 창시자이자 물리적 현상을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관심이 많은 제가, 이 질문에 대해 명쾌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사용자님의 말씀처럼 등속직선운동은 넓은 의미에서 '가속도가 0으로 일정한' 등가속도 운동의 '특수한 경우'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리학에서는 실용적인 목적과 개념적 명확성을 위해 두 가지를 구분하여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럼, 좀 더 자세히 파고들어 보겠습니다. ### **등가속도 운동의 정의** 등가속도 운동(Uniformly Accelerated Motion)은 말 그대로 **'가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고 일정한 운동'**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가속도는 벡터량이기 때문에, 크기와 방향이 모두 일정해야 합니다. * 가속도가 5m/s²로 일정한 운동 (속도가 매초 5m/s씩 증가) * 가속도가 -2m/s²로 일정한 운동 (속도가 매초 2m/s씩 감소) * 가속도가 0m/s²로 일정한 운동 (속도가 변하지 않음) 이 정의만 놓고 보면, 가속도가 0으로 '일정'한 등속직선운동 역시 등가속도 운동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 논리적으로 타당합니다. 마치 '정수'라는 집합 안에 '자연수'가 포함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물리학 교과서나 일반적인 설명에서는 이 두 가지를 따로 다루는 걸까요?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습니다. 1. **개념적 초점의 차이:** * **등가속도 운동 (일반적으로):** 가속도가 0이 아닌 '일정한 값'을 가져 **속도가 계속해서 변하는** 상황에 초점을 맞춥니다. 예를 들어, 자유 낙하 운동(중력 가속도로 인해 속도 증가)이나 자동차가 일정한 힘으로 가속하는 상황 등을 설명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 **등속직선운동:** 가속도가 '0'이므로 **속도가 전혀 변하지 않는** 상황, 즉 '정지' 또는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상황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는 물체의 운동 상태가 '변하지 않는다'는 뉴턴의 제1법칙(관성의 법칙)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시이기도 합니다.
2. **공식 적용의 편의성:** * 등가속도 운동 공식 (예: $v = v_0 + at$, $s = v_0t + \frac{1}{2}at^2$)을 보면, 가속도($a$) 값이 0이 아닐 때 그 의미와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 만약 이 공식에 $a=0$을 대입하면, 등속직선운동 공식($v = v_0$, $s = v_0t$)이 자연스럽게 도출됩니다. 이는 등속직선운동이 등가속도 운동의 특수한 경우임을 다시 한번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합니다.3. **학습 및 이해의 명확성:** * 초등학생에게 '0도 숫자'라고 가르치는 것과 비슷합니다. 물론 0은 숫자이지만, 처음 숫자를 배울 때는 양의 정수부터 시작하는 것처럼, 물리 운동을 처음 배울 때는 '속도가 변하지 않는' 등속운동과 '속도가 변하는' 가속도 운동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개념을 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