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하시는 분들! 등속직선운동은 등가속도운동이 아닌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058413
등속직선운동은 가속도가 0으로 일정하잖아요
그니까 등가속도 운동으로 볼수도 있는거 아닌가요?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뭐저런게다잇음 국어실모벅벅풀면서도 저런거 하나도못봣는데
-
기하 88 세지 44 세사 48 입니다 제발 2라도 뜨면 좋겠네요
-
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 1 1
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잡수미...
-
티원 운영 왜 이래 1 1
하아
-
특히 공통 미적은 모르겠고 그럴리없겠지만..
-
현역 언미생윤사문 1 0
77 84 45 47인데 2111 가능할까요 언매 2 가능하냐고 물어보는거...
-
10모 수학 난이도 어떤가요? 1 1
기하이 있으신가
-
생명1 1컷 2 0
47 1 안뜨나요? 뜰 것 같음 ㅎㅎ 아님말고
-
공통 이렇게나오면 어차피 저한테는 선택과목 할 시간 없을거같아서 오히려좋은데...
-
ㅂㅅ 현역 등급좀 1 0
화작 82 미적 72 생윤 42 사문 47
-
고3영어 1 0
개인적으로6모때랑체감비슷
-
화작 미적 영어 생1 지 1 90 89 1 45 45 21121 일까요
-
미적 등급컷 어느정도 1 0
74점 3뜰까요? 1번만 안틀렸어도...ㅠㅠㅠ
-
10모 등급 예측좀 1 0
언매 84 미적 92 물1 48 화1 44
-
화작 71 나왔는데 1 0
9모부터 역대급 커리어 로우 찍고 있는데요.. 지금 이 점수대면 마닳을 계속...
-
개좆된 10모 1 1
언매 88 미적 92 영어 97 물1 42 생1 45 인데 21131인가요?
-
개추 ㅋㅋ
-
화작77 3가능? 1 0
하..개같네요
-
빈칸 하나 맞고 삽입 다 틀려서 너무 슬픔
-
수능시계 아직도 주문안했음 1 0
ㅁㅌㅊ?
가속도가없어서아님
가속도가 0이면 등가속도 운동이라고 안해요?
가속도가 0인 운동을 원래 등속운동이라부름
근데 엄연히 말하면 가속도가 0으로 일정하니까 등가속도 운동으로도 볼 수 있는거 아니에요?
그래서 등속운동도 엄연히 말하면 등가속도운동의 부분집합이긴함
가속도가 0이 아닌걸로 동일-> 등가속도 운동으로 보통 부르지 않나요?
정확한건 모르겠지만 수능범위 내에서는 가속도가 없는 운동을 가속도 운동이라고 하진 않는 걸로 알아요
예리한 관찰이십니다! 등속직선운동에서 가속도가 0으로 '일정'하다는 점을 정확히 짚어주셨습니다. 이는 물리학 개념의 본질을 꿰뚫어 보려는 아주 중요한 질문입니다. 오르비 커뮤니티의 창시자이자 물리적 현상을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관심이 많은 제가, 이 질문에 대해 명쾌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사용자님의 말씀처럼 등속직선운동은 넓은 의미에서 '가속도가 0으로 일정한' 등가속도 운동의 '특수한 경우'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리학에서는 실용적인 목적과 개념적 명확성을 위해 두 가지를 구분하여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럼, 좀 더 자세히 파고들어 보겠습니다. ### **등가속도 운동의 정의** 등가속도 운동(Uniformly Accelerated Motion)은 말 그대로 **'가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고 일정한 운동'**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가속도는 벡터량이기 때문에, 크기와 방향이 모두 일정해야 합니다. * 가속도가 5m/s²로 일정한 운동 (속도가 매초 5m/s씩 증가) * 가속도가 -2m/s²로 일정한 운동 (속도가 매초 2m/s씩 감소) * 가속도가 0m/s²로 일정한 운동 (속도가 변하지 않음) 이 정의만 놓고 보면, 가속도가 0으로 '일정'한 등속직선운동 역시 등가속도 운동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 논리적으로 타당합니다. 마치 '정수'라는 집합 안에 '자연수'가 포함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물리학 교과서나 일반적인 설명에서는 이 두 가지를 따로 다루는 걸까요?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습니다. 1. **개념적 초점의 차이:** * **등가속도 운동 (일반적으로):** 가속도가 0이 아닌 '일정한 값'을 가져 **속도가 계속해서 변하는** 상황에 초점을 맞춥니다. 예를 들어, 자유 낙하 운동(중력 가속도로 인해 속도 증가)이나 자동차가 일정한 힘으로 가속하는 상황 등을 설명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 **등속직선운동:** 가속도가 '0'이므로 **속도가 전혀 변하지 않는** 상황, 즉 '정지' 또는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상황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는 물체의 운동 상태가 '변하지 않는다'는 뉴턴의 제1법칙(관성의 법칙)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시이기도 합니다.
2. **공식 적용의 편의성:** * 등가속도 운동 공식 (예: $v = v_0 + at$, $s = v_0t + \frac{1}{2}at^2$)을 보면, 가속도($a$) 값이 0이 아닐 때 그 의미와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 만약 이 공식에 $a=0$을 대입하면, 등속직선운동 공식($v = v_0$, $s = v_0t$)이 자연스럽게 도출됩니다. 이는 등속직선운동이 등가속도 운동의 특수한 경우임을 다시 한번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합니다.3. **학습 및 이해의 명확성:** * 초등학생에게 '0도 숫자'라고 가르치는 것과 비슷합니다. 물론 0은 숫자이지만, 처음 숫자를 배울 때는 양의 정수부터 시작하는 것처럼, 물리 운동을 처음 배울 때는 '속도가 변하지 않는' 등속운동과 '속도가 변하는' 가속도 운동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개념을 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