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하시는 분들! 등속직선운동은 등가속도운동이 아닌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058413
등속직선운동은 가속도가 0으로 일정하잖아요
그니까 등가속도 운동으로 볼수도 있는거 아닌가요?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거 올해 수특 수완에 있나요 옛날 기출에 있던걸로 기억하는데 지금 시점에 이거...
-
진짜 열등감 존나 심해서 1 1
대학이라도 잘가야할거 같은데 힘들다
-
나는 돌이다 3 1
족보 풀다 든 생각임
-
도삭면을 1 1
도삭도삭
-
세계사 자작문항 15 1
세사 자작입니다 2번 올렸다가 2번 다 자잘한 실수가 있었어서 3번째로 올리네요
-
리트 질문 4 0
리트도 수능이랑 비슷한 구성이라 들었는데 난이도가 엄청나다고 해서 풀어보려는데 괜찮나요?
-
고2 모고와 고3모고 3 1
현 고2입니당 항상 고2 수학 모의고사 보면 높은2- 1등급 초중반사이에 왓다갓다...
-
교육청 기출 중에 어려운 거 0 0
영어 교육청꺼중에 어렵고 풀만한거 잇을까요? 2425 1이고 9모 87점 10모...
-
벌써 버스에 이걸 광고하네 1 0
말세다
-
하 ㄹㅇ 홍대 길거리에 전라노출로 30분 뛰어다닐 수 있음
-
사문은 진짜 꿀 과목임 2 0
1년쉬었다가 이틀 개념기출하고 고득점나옴ㅋㅋ 사문 없었으면 반수 시작도 안했을듯
-
불변의 메가 일타강사 3 0
우영호.
-
물리 전국서바 몇점 나옴 다들 5 0
시발 이거 아무리 잘 맞아도 40중반이데 어카냐
-
소신발언) 부모님 결혼기념일은 까먹을 수 있다 생각 7 2
그래도 생신은 안 까먹고 기억하고 있음
-
체인소맨 재밋음? 5 0
수능 끝나고도 상영할까 ㅠㅠ
-
옛날에야 남자는 돈이였지만 21세기기준 인생망한건 똑같음 여자들도 이젠 아득바득...
-
적생모 너무 어려운데.. 0 0
컷이 높은거 보고…허허..
-
[10모 영어 후속칼럼] 오답률 TOP7 문항 분석 및 한줄해석 자료집 배포 (Feat. 한줄해석 첨부) 1 3
안녕하세요. 함정민T 입니다. 어제 올린 게시글 말미에, 10모 총평 자료집이...
-
내신 언매 vs 화작 2 0
일단 나는 학종 메디컬 지망임 (현 내신 1.26) 3학년 선택 언매랑 화작 중...










가속도가없어서아님
가속도가 0이면 등가속도 운동이라고 안해요?
가속도가 0인 운동을 원래 등속운동이라부름
근데 엄연히 말하면 가속도가 0으로 일정하니까 등가속도 운동으로도 볼 수 있는거 아니에요?
그래서 등속운동도 엄연히 말하면 등가속도운동의 부분집합이긴함
가속도가 0이 아닌걸로 동일-> 등가속도 운동으로 보통 부르지 않나요?
정확한건 모르겠지만 수능범위 내에서는 가속도가 없는 운동을 가속도 운동이라고 하진 않는 걸로 알아요
예리한 관찰이십니다! 등속직선운동에서 가속도가 0으로 '일정'하다는 점을 정확히 짚어주셨습니다. 이는 물리학 개념의 본질을 꿰뚫어 보려는 아주 중요한 질문입니다. 오르비 커뮤니티의 창시자이자 물리적 현상을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관심이 많은 제가, 이 질문에 대해 명쾌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사용자님의 말씀처럼 등속직선운동은 넓은 의미에서 '가속도가 0으로 일정한' 등가속도 운동의 '특수한 경우'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리학에서는 실용적인 목적과 개념적 명확성을 위해 두 가지를 구분하여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럼, 좀 더 자세히 파고들어 보겠습니다. ### **등가속도 운동의 정의** 등가속도 운동(Uniformly Accelerated Motion)은 말 그대로 **'가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고 일정한 운동'**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가속도는 벡터량이기 때문에, 크기와 방향이 모두 일정해야 합니다. * 가속도가 5m/s²로 일정한 운동 (속도가 매초 5m/s씩 증가) * 가속도가 -2m/s²로 일정한 운동 (속도가 매초 2m/s씩 감소) * 가속도가 0m/s²로 일정한 운동 (속도가 변하지 않음) 이 정의만 놓고 보면, 가속도가 0으로 '일정'한 등속직선운동 역시 등가속도 운동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 논리적으로 타당합니다. 마치 '정수'라는 집합 안에 '자연수'가 포함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물리학 교과서나 일반적인 설명에서는 이 두 가지를 따로 다루는 걸까요?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습니다. 1. **개념적 초점의 차이:** * **등가속도 운동 (일반적으로):** 가속도가 0이 아닌 '일정한 값'을 가져 **속도가 계속해서 변하는** 상황에 초점을 맞춥니다. 예를 들어, 자유 낙하 운동(중력 가속도로 인해 속도 증가)이나 자동차가 일정한 힘으로 가속하는 상황 등을 설명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 **등속직선운동:** 가속도가 '0'이므로 **속도가 전혀 변하지 않는** 상황, 즉 '정지' 또는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상황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는 물체의 운동 상태가 '변하지 않는다'는 뉴턴의 제1법칙(관성의 법칙)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시이기도 합니다.
2. **공식 적용의 편의성:** * 등가속도 운동 공식 (예: $v = v_0 + at$, $s = v_0t + \frac{1}{2}at^2$)을 보면, 가속도($a$) 값이 0이 아닐 때 그 의미와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 만약 이 공식에 $a=0$을 대입하면, 등속직선운동 공식($v = v_0$, $s = v_0t$)이 자연스럽게 도출됩니다. 이는 등속직선운동이 등가속도 운동의 특수한 경우임을 다시 한번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합니다.3. **학습 및 이해의 명확성:** * 초등학생에게 '0도 숫자'라고 가르치는 것과 비슷합니다. 물론 0은 숫자이지만, 처음 숫자를 배울 때는 양의 정수부터 시작하는 것처럼, 물리 운동을 처음 배울 때는 '속도가 변하지 않는' 등속운동과 '속도가 변하는' 가속도 운동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개념을 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