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yingBobs [1414240] · MS 2025 (수정됨) · 쪽지

2025-10-12 09:18:29
조회수 31

고등학생가스실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041172

고1이고 지난 여름방학 중반부터 3개월 동안 앓고 있습니다. 정보가 필요한데 그리 많지 않네요. 같은 수험생분들의 상황을 알고 싶어 용기 내어 올립니다. 저와 같은 증상을 갖고 계신 분들께서 증상이 어떤지, 어떻게 치료하셨는지 댓글이나 쪽지 남겨주시면 큰 도움 될 것 같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dsd · 1224273 · 10/25 00:43 · MS 2023 (수정됨)

    가스실금의 유형은
    1)신경문제 (허리,척추,꼬리뼈에 이상있다면 의심)
    2)항문문제 (치질수술,항문에 심한 손상)
    3)골반기저근 약화(골반장기 내려앉음)
    보통 골반기저근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밑에 설명하는 내용을 3번 유형입니다.1,2유형은 병원가세요.

    골반기저근 약화원인은
    1)평소 호흡시 골반기저근 사용x
    2)복압을 높이거나 골반기저근에 부하를 주는 행위,습관
    ex)배에 힘주고 다니기, 오랫동안 가만히 서있기or앉아있기, 억지로 방귀를 끼려고 하기
    +그외 추축:치질,설사,자위,방귀참기

    하지 말아야 하는거:위에 적은것들
    해야 하는거: 골반기저근 강화

    골반기저근 강화운동:케겔운동/골반기저근을 이용하는 복식호흡

    주의점1(중요☆):케겔운동을 하거나 복식호흡시(복식호흡-들숨(이완)/날숨(수축)으로 이완이 되긴 하지만 날숨때 수축을 깊게하면 과긴장 가능) 골반기저근이 이미 약해져 있어 쉽게 과긴장(과수축)이 되기때문에 이완중심으로 해야함

    주의점2: 수축운동(케겔운동,복십호흡-날숨)시 복압을 강하게 주지않도록 신경쓰기(배에 힘주지 말기)

    주의점3:적당히,조심히,천천히,살살,꾸준히하기(몸의 반응을 살피면서 하기)
    -복식호흡시 너무 골반기저근을 강하게 이완하거나 수축하지 말기
    -------------
    -저는 전문가가 아닌 그저 일반인이므로, 너무 신뢰하지는 마세요.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는건 추천하지 안해요. 제가 쓴 글을 포함해서 인터넷글은 적어도 챗지피티한테 맞는지 물어봐서 확인하세요.
    -챗지피티는 일반인이 찾기힘든 전문적인 연구,실험,자료등의 정보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수단입니다. 지피티를 이용해 정보를 구하세요.(다만 지피티도 잘못된 정보를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에 지피티 정확도 올리는법등을 검색해보는걸 추천합니다.
    제가 도움받은 유튜브는 홍정기TV,치중진담,FTMC발달운동연구소(FTMC developmental 어쩌구)입니다.
    -골반기저근을 이용한 호흡을 모르겠다면 유튜브에 검색해보세요.
    -이 글은 참고용으로만 하세요. 저는 전문가가 아닙니다.스스로 잘 알아보고 맞는거 같은 정보를 이용하세요.
    -저는 올해 7월에 걸렸고, 아직 치료하지 못했어요. 복식호흡을 할때 냄새가 더 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꾸준히 안하기도 했고,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기는 했지만 나아진다는 느낌은 없는 상태입니다. 골반기저근이 강화되는데 짧으면 3개월이라고 하지만 더 길게 6개월이상으로 봐야하지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