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시옷 역사 이야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018321

第三〇項
複合名詞 사이에서 나는 사이ㅅ은 홀소리 아래에서 날적에는 우의 홀소리에 ㅅ을 받치고、 닿소리와 닿소리 사이에서는 도모지 적지 아니한다。
例 홀소리 밑
뒷간 곳집 나뭇배 담뱃대 잇몸 깃발
ㄴ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
이때가 사이시옷이 처음 규정화됐음. '복합명사' 사이에서만 쓰고 앞말이 홀소리(모음)으로 끝날 때만 쓴다고 한 건 지금이랑 똑같음. 그렇지만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는 구체적인 음운 조건이나 합성어 구성 요소의 어종(고유어 or 한자어)에 대한 구분이 없었음. 이게 고친판(1937년)에도 동일하게 실렸는데, 새판(1940년)부터 좀 복잡복잡해지기 시작함.


새판(1940년)
'새판'이 상당히 특징적인 건 사잇소리 현상의 구체적인 음운 변동을 처음으로 명시했단 사실임. 우리가 익숙히 아는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경우(예: 코ㅅ등[코뜽])와 'ㄴ' 또는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예: 이ㅅ몸[인몸], 베개ㅅ잇[베갠닏])를 사이시옷 표기의 조건으로 제시함. 그리고 또 별난 게 사이시옷을 앞말의 받침으로 적지 않고 ㄹㅇ 닉값대로 두 단어 사이에 표기했다는 거임. 그래서 '들ㅅ것', '편ㅅ윷', '담ㅅ요'처럼 앞말이 유성음 받침으로 끝나는 경우에도 사이시옷을 표기할 수 있었음.
새판은 ㄴ이나 ㄴㄴ이 덧난다는 것을 처음 명시한 규범이지만 이때까지만 해도 합성 명사의 구성 요소의 어종에 대한 언급이 없었음.
그렇지만 이 사이에 적는다는 표기 규범은 오래 가지 못했고 6년 후에 다시 받침으로 회귀함

1946년 개정안에서 사이시옷 표기 방식을 다시 "윗말의 끝소리가 홀소리인 경우는 ㅅ을 받치어 적고, 닿소리인 경우는 이를 表示하지 아니한다"고 명시하며, 오늘날과 같은 받침 표기로 되돌림. 이때, 적용 범위를 '복합명사'에서 '복합 명사에 준할 만한 말'로 확대하였는데, '잇과(理科)'나 '홋수(戶數)'처럼 복합어로 보기 어려운 경우가 있어서 그런 것으로 보임.
한글맞춤법은 그 이후에도 다소 수정되긴 했음. 그렇지만 1948년에 나온 한글판이나 1958년에 나온 용어 수정판이나 국한문으로 돼 있던 걸 한글 표기로 바꾼 거라서 크게 내용의 차이는 없음.

개정한 용어 수정판(1958년)
1980년에는 한글맞춤법이 다시 전면적으로 개정되는데 이때 사이시옷 내용도 좀 바뀜

1946년의 기본 틀은 유지하면서 ㄴ이나 ㄴㄴ이 덧나는 음운론적 환경을 구체적으로 기술했고 이전 규정엔 없던 ㅁ 소리가 덧나는 경우를 포함시킴. ㅁ이 덧난다는 것이 의문인데 아마 '잇몸'을 '[임몸]'으로도 발음하는 경우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임. 그렇지만 ㅁ이 덧나는 게 아니고 '인몸>임몸'의 순음동화라서 사이시옷과 크게 유관하지는 않음. 그래서 1988 개정판에서 이런 설명이 삭제됨
그리고 드디어 1988년 개정판이 나오는데, 이때 합성명사의 구성 요소의 어종에 대한 언급이 처음 등장함. 1988년 한글맞춤법은 현재 한글맞춤법과 거의 동일하고, "국가에서 처음 공인한" 맞춤법이라는 의의가 있음. 문교부 고시임.

1988년 제정되어 현재까지 이어지는 '한글 맞춤법' 제30항은 이전 규정들의 틀을 유지하면서, 어종에 따른 구분을 최초로 도입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인데 지금 규정은 이거랑 똑같음. 해설이 좀 더 자세해진 정도.


그렇지만 어째서 1988 개정에 갑자기 합성명사의 구성 요소가 고유어인지, 한자어인지, 외래어인지 구분을 도입하기 시작했는지 모르겠음. 이로 인해서 매우 복잡해짐. 차라리 일관성 있게 구성 요소 상관 없이 넣고 파생어에도 해 줬으면 현실 발음을 보다 잘 수용할 수 있었을 텐데 말이지
참고
이동석(2018) 현행 사이시옷 규정과 관련된 몇 문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tdyd 5회 97 1 0
저번엔 2점 다섯개로 90이 뜨더니 이번엔 듣기로 97이 뜨네 참 기묘해
-
손시려 5 1
핫팩 가지고올껄
-
심찬우 선생님 2019수능 국어 구껍질빼고 다맞았다는데 그건 사실인가여 1 0
ㄷㄷㄷㄷㄷㄷ
-
11덮 풀어봐야겠다 1 0
-
실모 추천좀 해주세요 1 1
2등급 목표고 평가원 23 진동하는데 계산 너무 과하지 않고 평가원 느낌나는 실모...
-
조정받고 다시 오를 것 같은데 내가 주식 했다면 삼전 지금 조금 사고 9만 초반...
-
주식은 맞으면서 배우는거임 4 0
개잡주샀다가 +2000이였던게 -1000박고 다시는 잡주안삼
-
강k 34회 91 1 1
분 컷 100점 해모피날레로 겸손해질필요가 있다..!
-
쫑모 9회를 풀어봤는데 2 0
20분 남기고 21번 남았는데 이쌔키를 처리 못 함 진심 3분이면 풀 거 같은데 왜...
-
해모 파이널 1회 85 2 0
으아악머리아파
-
영어 지금까지 유기하다가 이제 시작해서 수능 전까지 매일 영어 1세트씩 풀고가려는데...
-
ㅈㄱㄴ
-
국어 가나지문 보기 3점 2 0
1번 또 나올려나 9모때 1번이지 않았나요? 모르겠으면 몇번이 정배인가여
-
탐구 실수( 특히 세지) 3 0
(나) 줄B 넣을때 천연가스 잡자마자 무지성으로 러시아로 넣어버리고(답 미국)...
-
Team04 ㅎㅇㅌ 2 2
ㅎㅇㅌㅎㅇㅌ
-
상상 문학이 어렵구나 1 1
좀 너무하기도 하고 음절단위로 눈 부릅뜨고 봐야하네 나중에는 형태소단위로 감정...
-
9모 언매가 97점인데 4 0
더프가 81쳐나오는건 뭐가 문제임?
-
아배고파 3 2
-
수능에 나올지 안나올지 모르지만 그냥 단순 학습의욕구+출제될수도있으니 때문에 배우고 싶은데 있으려나
-
강대k 사문 3회 2 0
와 절반이 날라갔는데 왜 이렇게 어렵죠 ㅜㅜ 강대k 난이도 어떤 편인가용… 지금...




솔직히 장지문에 어문 규범 역사 비교하는 지문 나와도 될 법한데...
인스타에서 사이시옷 뭐 없앤다 어쩌구 논의 중이라고 봤던 것 같은데
맞아요. 지금 국국원에서 사이시옷을 폐지할지, 복수인정을 할지 심의 중이라고 합니다.
흥미진진하네요
사이시옷이 중세국어의 관형격 조사 'ㅅ'과도 관련있는 건가여??
맞아요. 속격조사 ㅅ이 쓰이던 단어가 쭉 그대로 쓰이는데 속격조사 ㅅ이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되면서 ㅅ이 있는 게 굳어진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