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시옷 역사 이야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018321
第三〇項
複合名詞 사이에서 나는 사이ㅅ은 홀소리 아래에서 날적에는 우의 홀소리에 ㅅ을 받치고、 닿소리와 닿소리 사이에서는 도모지 적지 아니한다。
例 홀소리 밑
뒷간 곳집 나뭇배 담뱃대 잇몸 깃발
ㄴ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
이때가 사이시옷이 처음 규정화됐음. '복합명사' 사이에서만 쓰고 앞말이 홀소리(모음)으로 끝날 때만 쓴다고 한 건 지금이랑 똑같음. 그렇지만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는 구체적인 음운 조건이나 합성어 구성 요소의 어종(고유어 or 한자어)에 대한 구분이 없었음. 이게 고친판(1937년)에도 동일하게 실렸는데, 새판(1940년)부터 좀 복잡복잡해지기 시작함.
새판(1940년)
'새판'이 상당히 특징적인 건 사잇소리 현상의 구체적인 음운 변동을 처음으로 명시했단 사실임. 우리가 익숙히 아는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경우(예: 코ㅅ등[코뜽])와 'ㄴ' 또는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예: 이ㅅ몸[인몸], 베개ㅅ잇[베갠닏])를 사이시옷 표기의 조건으로 제시함. 그리고 또 별난 게 사이시옷을 앞말의 받침으로 적지 않고 ㄹㅇ 닉값대로 두 단어 사이에 표기했다는 거임. 그래서 '들ㅅ것', '편ㅅ윷', '담ㅅ요'처럼 앞말이 유성음 받침으로 끝나는 경우에도 사이시옷을 표기할 수 있었음.
새판은 ㄴ이나 ㄴㄴ이 덧난다는 것을 처음 명시한 규범이지만 이때까지만 해도 합성 명사의 구성 요소의 어종에 대한 언급이 없었음.
그렇지만 이 사이에 적는다는 표기 규범은 오래 가지 못했고 6년 후에 다시 받침으로 회귀함
1946년 개정안에서 사이시옷 표기 방식을 다시 "윗말의 끝소리가 홀소리인 경우는 ㅅ을 받치어 적고, 닿소리인 경우는 이를 表示하지 아니한다"고 명시하며, 오늘날과 같은 받침 표기로 되돌림. 이때, 적용 범위를 '복합명사'에서 '복합 명사에 준할 만한 말'로 확대하였는데, '잇과(理科)'나 '홋수(戶數)'처럼 복합어로 보기 어려운 경우가 있어서 그런 것으로 보임.
한글맞춤법은 그 이후에도 다소 수정되긴 했음. 그렇지만 1948년에 나온 한글판이나 1958년에 나온 용어 수정판이나 국한문으로 돼 있던 걸 한글 표기로 바꾼 거라서 크게 내용의 차이는 없음.
개정한 용어 수정판(1958년)
1980년에는 한글맞춤법이 다시 전면적으로 개정되는데 이때 사이시옷 내용도 좀 바뀜
1946년의 기본 틀은 유지하면서 ㄴ이나 ㄴㄴ이 덧나는 음운론적 환경을 구체적으로 기술했고 이전 규정엔 없던 ㅁ 소리가 덧나는 경우를 포함시킴. ㅁ이 덧난다는 것이 의문인데 아마 '잇몸'을 '[임몸]'으로도 발음하는 경우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임. 그렇지만 ㅁ이 덧나는 게 아니고 '인몸>임몸'의 순음동화라서 사이시옷과 크게 유관하지는 않음. 그래서 1988 개정판에서 이런 설명이 삭제됨
그리고 드디어 1988년 개정판이 나오는데, 이때 합성명사의 구성 요소의 어종에 대한 언급이 처음 등장함. 1988년 한글맞춤법은 현재 한글맞춤법과 거의 동일하고, "국가에서 처음 공인한" 맞춤법이라는 의의가 있음. 문교부 고시임.
1988년 제정되어 현재까지 이어지는 '한글 맞춤법' 제30항은 이전 규정들의 틀을 유지하면서, 어종에 따른 구분을 최초로 도입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인데 지금 규정은 이거랑 똑같음. 해설이 좀 더 자세해진 정도.
그렇지만 어째서 1988 개정에 갑자기 합성명사의 구성 요소가 고유어인지, 한자어인지, 외래어인지 구분을 도입하기 시작했는지 모르겠음. 이로 인해서 매우 복잡해짐. 차라리 일관성 있게 구성 요소 상관 없이 넣고 파생어에도 해 줬으면 현실 발음을 보다 잘 수용할 수 있었을 텐데 말이지
참고
이동석(2018) 현행 사이시옷 규정과 관련된 몇 문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04년생#05년생#07년생 인증O) 탈탈털린 짱르비 33 20
-
#공지#국어#독학생 9모 '두 출발' 떠 먹여드림 98 29
-
코가 콩으로 변하는 주문은? 4 0
니코 로빈
-
임계탄 붐은 온다 0 0
올해는 이거임 ㄹㅇ
-
서바 19회 왤케 어렵지 1 0
시발시발
-
국어 1타 결정전 창단되었으나 완성되지 않은 팀 목록 3 1
Team 김재훈 화작 3/3 완 언매 0/3 Team 박광일 화작 1/3 언매...
-
노빠꾸 평가원ㄷㄷ 6 2
97학년도 수능 외국어 영역 장문 中
-
진짜임
-
성적올려준다는친구 성적변화 15 6
9모 화작5 미적4 영어2 정법4 사문4 10모 화작:88(2등급)...
-
아까 사진찍었는데 6 0
코가 씨발 캐인급임
-
공통범위내에서 함성함수 2 0
속함수의 치역이 겉함수의 정의역이 된다 이정도로 앵간한건 다 뚫리려나
-
ebs 단추? 에서 5 0
교육청 모의고사 현대소설만 모아서 풀어보고 싶은데 갈래별 검색을 해도 이게 지문...
-
낼 수바 보는데 0 0
점수 맞추는사람 천덕드림 중복이면 처음쓴사람
-
고려대 차통 보내줘 1 2
반도체는 재미업서요
-
탑하면 성격이 이상해짐 2 0
모르겠음 원딜했으면 그냥 웃고 넘겼겠는데 탑만하면 본성이 튀어나옴
-
근데 성컴교갈바엔 교원대가는게 5 1
컴퓨터 교육이고 중고교 선생되는거라면 ㅇㅇ..
-
저 이미지 9 1
예상댓글) 옯남충
-
근데 왜 윤사는 사람적음? 19 0
생윤보다 재밌는데
-
수능까지 해야할것과 하는게 맞나싶은 계획들 정리해봤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1 0
6모-53245 9모-33334 10모-33234 국어-혜윰모고 2회,3회 이감...
-
너무졸림 2 0
오늘개늦게일어낫는데왜?
-
1.일단 메디컬은 일반과를 영화 기생충 처럼 무시함 대놓고 막 비하하고...
-
두개 고민하고 있는데 기숙은 너무 비싸고 차라리 고시원 자취가 낫다 생각해서...
-
태백 지질답사 7 1
깜빡하고 화석(완족류 삼엽충) 사진 안찍음 ㅜㅜ
-
공부하다가 지텨서 8 1
그냥 공부 포기하고 고기먹고 침대에서 노는 중 캬캬캬 조금만 자고 공부하긴 해야지
-
에 4 0
에
-
생윤칼럼써보고싶다 3 1
바보라서울었어
-
뉴진스보고싶다 1 1
-
이번에 안되면 내년에 하실분있음뇨? 38 3
하 어떡하지 고대 기계 다녀야되나
-
탐구 표지 2 0
탐구 2교시 까지 다 보고 omr내고 시험지는 언제 걷어가나요??
-
병역판정검사 특 2 0
같이 1년 반 지내면 큰일날 것 같은 아가들이 개많음
-
약사님에게 영업하는거 목격함
-
고 3입니다 보통 독서,철학 문학 화작 경제,과학 순서로 푸는데 경제 과학 지문을...
-
D-28 0 1
정확히 4주 남았군요 작수 응시를 한게 엊그제 같은데 시간 참 빠르네요 마지막까지...
-
나다
-
홍지운 어떤가요 0 0
강k있길래 파이널 커리도 함보고 맛보기도 좀 햇는데 생각보다 ㄱㅊ은거같은데 교재퀄은...
-
수특 윤사 안했는데 15 0
안할래걍
-
고1고2 수학모고 1컷정도가 평균입니다 미적 가산점이 3%면 미적선택하면 4점짜리...
-
메디컬 있는 지방대 일반과 가면 안 되는 이유 17 1
메디컬이 교양 학점 독식하는거 보면 엄..
-
난 수능 망하면 안돼 1 0
이미 조졌어 못돌아가..
-
이걸로 성대 공학계열 됨뇨? 11 0
흠
-
경쟁자가 고등학생이 아님.
-
‘근데’랑 ‘아니’ 없으면 말못하는 새끼 ㅋㅋㅋ 5 4
나임
-
나 사실 지방대 일반과는 메디컬있는데는 안가는걸 추천하긴함 3 0
난 일반과고 지잡대에서 학식먹고있는데 약대,한의대 과잠입고있는애들보면 현타 장난아님
-
식센모 등급컷 0 0
11-20회는 원래 안나오나요? 지구 지구과학 식센모 이훈식 실모 등급컷 식스센스
-
수능지나서는 오르비에 2 0
지금보이는애들말고 모르는 사람들 ㅈㄴ드글드글하겠지
-
연대 하스 << 여기 어떰뇨? 7 1
제일 낮던데 왜지
-
마지막 17 5
2026학년도 Mozza 모의고사-수학 영역 배포 (공통) -...
-
수능 수학(미적분) 백분위 99이고, 수학 과외 경력 4년차입니다. 실력은 걱정...
-
전 대학 어디 갈꺼 같음요? 19 3
-
추천 부탁합니다..! ♥️
-
수능날 0 0
수능날 시험볼때 시험지 표지 바닥 밑에 내려두고 시험쳐도 되나요?? 그리고 필기구...
-
나도이미지써드림 24 0
졸려서 미룰수도있음 최대한열심히써볼게
솔직히 장지문에 어문 규범 역사 비교하는 지문 나와도 될 법한데...
인스타에서 사이시옷 뭐 없앤다 어쩌구 논의 중이라고 봤던 것 같은데
맞아요. 지금 국국원에서 사이시옷을 폐지할지, 복수인정을 할지 심의 중이라고 합니다.
흥미진진하네요
사이시옷이 중세국어의 관형격 조사 'ㅅ'과도 관련있는 건가여??
맞아요. 속격조사 ㅅ이 쓰이던 단어가 쭉 그대로 쓰이는데 속격조사 ㅅ이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되면서 ㅅ이 있는 게 굳어진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