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오_ · 1335396 · 12시간 전 · MS 2024

    아뇨 그냥 한계 자체가 틀린 말이에요

  • 소쿨 러버 · 1360134 · 12시간 전 · MS 2024

    한계가 틀린 이유가 뭔지 모르겠는데 해설지에도 이유가 안나와서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 일오_ · 1335396 · 12시간 전 · MS 2024

    (나) 지문 어디에서도 변증법의 한계에 대한 내용을 찾을 수 없을 뿐더러, 변증법 자체를 비판하는 내용도 없습니다. 오히려 (나)를 요약하면 '변증법은 매력적이고 탁월하지만, 헤겔이 미학에 변증법을 적용한 방식은 아쉬움을 준다'입니다.

  • 소쿨 러버 · 1360134 · 11시간 전 · MS 2024

    '특정한 철학적 방법'이 (가)에서 "소개한" '미학의 변증법적인 논증방식' 그 자체를 의미할수도 있지 않나여

  • 소쿨 러버 · 1360134 · 11시간 전 · MS 2024

    (가)에서 소개한 '미학의 변증법적 논증'은 (나)에서 지적했으니까요

  • 일오_ · 1335396 · 11시간 전 · MS 2024

    (나) 그 미학을 변증법적으로 논증하는 방식 자체를 비판한 게 아니라 헤겔이 그렇게 미학을 논증한 '과정'을 비판한 거라서 안 됩니다.

  • 소쿨 러버 · 1360134 · 11시간 전 · MS 2024

    엥... 죄송한데 논증 방식을 비판한게 아니라 논증 과정을 비판한거라는 말씀이 좀 어렵네여;;

  • 일오_ · 1335396 · 11시간 전 · MS 2024

    우선 헤겔이 미학을 논증한 방식이 변증법이고, (나)의 화자가 변증법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건 동의하시죠?

    (나) 지문을 자세히 살펴보면
    '~ 그러나 실질적 내용을 보면 직관으로부터 사유에 이르는 과정에서는 외면성이 점차 지워지고 내면성이 점증적으로 강화•완성되고 있음이, ~'
    '~소거되고 만다. **변증법에 충실하려면** 헤겔은 ~했어야 할 것이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또 마지막 문장에서도
    '방법과 철학 체계(=변증법과 헤겔의 미학) 간에 불일치가 일어났다'
    라고 서술하고 있습니다. 즉, (나)는 헤겔이 미학을 논증하는 데 변증법을 쓴 것을 비판하는 게 아니라 아니라 변증법에 충실하지 못한 헤겔의 미학을 비판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일오_ · 1335396 · 11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그리고 굳이 저 선지 앞부분이 아니더라도 (나)에서 변증법을 대신할 혁신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것도 아니라 더욱이 틀린 선지가 됩니다.

  • 소쿨 러버 · 1360134 · 11시간 전 · MS 2024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 소쿨 러버 · 1360134 · 11시간 전 · MS 202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이시카와 리카 · 1240682 · 12시간 전 · MS 2023

    철학적 방법= 변증법
    가 나 모두 변증법을 긍정

  • 응애... · 1233158 · 12시간 전 · MS 2023

    나에서 변증법에 "맞서는" "혁신적 방법"을 제안했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