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000829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럴때 공부 어케해야해여..? 걍 반반 풀었으니까 2점 2점 해서 4점주면 안되나...
-
EBS랑 미래N교과서에 없던데
-
사문 한바퀴 더 돌리는중
-
증명해야될이유도전혀없는데 부담감없이 시험봐도될것같음 진짜 관광객마냥
-
둘이 난도 차이는 별로 없나요? 1이랑 2랑
-
2가능하려나
-
프랑스 항복 공부법에서 폴란드 항복 공부법으로 갈아타야겠네
-
과탐을 선택하면 과탐필수 메디컬에서 유리해지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과2 필수 요구...
-
고교학점제가 진로를 사전에 정하고 그에 따른 커리큘럼을 타라는 취지인데 그러면 대체...
-
골목길에서 쳐 만지고 자빠졌네 ㅗㅗ
-
할거 딴것도 많은데 아수라도 있고 현강것도 있고..
-
ㅠ.ㅜ
-
서프 정법 2
1컷 몇림?
-
2026 강K 미적 13회-96점(22) 수열은 항상 어렵게 나오면 복병인것...
-
안녕하세요 2
오랜만입니당
-
정시도 그럼?
-
ㅈㄱㄴ 선거는 존나 호머하고 싶은데
-
계속 그 생각만 하게 되고 멈출 수도 없어서 스트레스를 너무 많이 받음
-
서프 2
국어 96 미적 92 영어 93 한국사 37 화학 42 생명 45 국어는 잘봤는데...
-
지듣노 1
보기 3점은 지구?물리?러면 보기만 보고도 풀수있다들었음
근데 그 물리 내용도 이미 고1 수준에서 미리 배우는 거고
애초에 국어는 1문제가 아니라 여러문제 세트인데 3점 하나로 저러는 거 이해 안 돼요
물2아니면 ㅇ,ㅣ미없음
물리 선택자 아니면 그냥 그런거 아닌가
고1 과학 내용이라 문이과 유불리 따질 필요가 없음 애초에
그때 그 보기문제가
문과도 철학사 안배우는데 뭔 철학사 드립임요
직접적으론 안 배워도 배경지식으로 좀 있으니...
뭔소리에요ㅎㅎ
아리스토텔레스 목적론도 교육과정에서 배우는데 따지고 보면 이것도 유불리 될 수 있죠
걍 이 나라는 이과 패는 거에 맛이 들려있음
18이요?
거기에서 킬러가안나왔으니까..
전 현장응시고 그거맞추고 45번못풀어서 97점입니다.
그냥 그 문제의 문제점이 교과과정 내 물리로 풀린다는거죠
++ 그때 님이랑 교과과정이 달랐어요
그때학생들은 통과 안배운사람들도있음
교육과정 고1 과학 내용에 저거 없어서 얘기나온 건
그렇다쳐도 문제 1개 갖고 유불리 따지면서 정작 해당 지문 나머지 문제는 왜 얘기가 없었는지 의문이네요
어려운문제가 그거여서요??
++ 나머지 지문에 문과 교과과정 내용으로만 바로풀리는게없습니다
근데 브레턴우즈 보기는 배경지식만으로 풀리지않나요?
네 근데 그게 교과과정 내가 아니니까요
전반적으로 지문 이해하는데 있어서 문과 배경지식이 이과 배경지식보다 비중이 크지 않나요
문과 이과 배경지식이라는건없고 '교과과목' 자체와 '킬러' 에 한정된 논의입니다아
물리나 지2아니면 별로 도움 안됐을거라고 했던것 같은데 애초에 특정 선택과목 지식으로만 풀리는 문제를 낸거 자체는 문제인건 맞아요
수능 끝나고 수능 문제 가지고 기사 이런거 올라오는거는 과장같은거 많긴함
ㄹㅇ
근데 저 지문말고 나중에 2206 베카리아 이런 것도 나왔는데 이런 건 왜 정작 유불리 따지면서 패지 않을까요
수능 아닌건 그냥 묻히는 경우 많아요
저때 고1공통 과학때 만유인력이랑 케플러법칙이 있긴 했어서 애매하네
저때 공통과학이 있었음???? 바로 선택과목 하지않나
고1때 배워요
내가 19현역이었는데 고1때 지구과학 바로 선택이었는데 공통과학 안배웠음
https://namu.wiki/w/2009%20%EA%B0%9C%EC%A0%95%20%EA%B5%90%EC%9C%A1%EA%B3%BC%EC%A0%95/%EA%B3%BC%ED%95%99%EA%B3%BC/%EA%B3%A0%EB%93%B1%ED%95%99%EA%B5%90/%EA%B3%BC%ED%95%99
아니 나무위키가 문제가 아니라 내가 19수능때 현역이라 그때 교육과정을 직접 경험했다니까...우리는 고1때 지구과학 선택하고 문이과 갈려서 고2때 화학 고3때 생명했는데 공통과학은 시범 시행임? 아주 극소수만 했나 우리 학교가 시범대상에 안들어갈 확률이 거의 없을텐데 그 뭐냐 학기제 그것도 시범학교로 선정됐어서
안했을가능성은 있죠 근데 저때 고1모의고사가 저 교과서를 기반으로 출제됐으니 없지는 않았겠죠 님네 학교가 어떤식인지는 제가 모르겠습니다
거의 대부분이 솔직히 99.9프로가 다 선택과목했다 해도 무방합니다 우리 학교 뿐 아니라 걍 다요 공통과학 그건 듣도보도 못했는데 자료가 왜 저리 남아있는진 모르겠으나 나무위키가 무조건 다 맞지는않다 생각함요 19때 현역들 사이에 말 나온 이유도 물리를 문과들이 고등학교때 안배운 학교가 태반이라서에요 나중에 통합과학 생긴다했을 때 부러웠는데 뭔...지구과학 생명 화학 물리 넷중 하나 선택인데 대부분 학교가 물리를 문이과 구분안하는 고1때 선택안합니다 자사고 이런 곳 아닌이상요
나무위키는 찾기 쉬워서 보여준거고 공문서에도 많이 남아있습니다.
물화생지는 고2때 배웠다는점, 해당교육과정에 학년코드가 10학년(=고1)인것으로 보아
교육과정에 있는건 맞고, 님 학교에서 임의로 안한거 같습니다.
모든 교육과정이 물화생지 중 선택이라고요 그러니까 고2때도 선택이죠...제가 우리 학교에만 친구가 있는 것도 아니고 학원도 안다녀봤겠습니까 보니까 19현역 아니신거같은데(부럽습니다) 그 시절엔 걍 다 선택과목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애초에 공문서가 그러면 학교에서 선택과목을 왜 가르치나요 고1 모고부터 막힐텐 공통과학을 가르치지 국립에 시범운영 보통 첫빠로 하는 선정학교인데요 그니까 문이과 구별전이니 선택으로 하지만 약하게 내서 저렇게 써진거라 추측됩니다 고2부터 문이과 분류하고 각각 선택과목을 심화로 배우냐 약하게 배우냐로 갈리거든요
그냥 ebsi 들어가셔서 그때 고1 기출 보세요 공통과학없습니다
정리하자면 교과과정 내용만으로 풀리는 킬러가 나오면안됨
12수능 이상기체, 19 수능 구껍질, 2106 베카리아 이런것들
근데 왜 2206 때는 19수능처럼 난리가 안 났나요
문과내용이라 그런가요
전 이게 제일 궁금
6월모의여서그래요ㅋㅋㅋ
수능때나오면 난리났음
반대로 19수능이 6평이나 9평이었으면 아무 말 없었나요?
넹
브레턴우즈도
문과 내용 경제 킬러였는데 난리났잖아요
13수능 이상기체는 반데르발스가 교과외 부분이라..
12수능 불확정성 원리는 인정합니다
엥 그거 제기억에 그때화2였습니다
지금교과와달라요

1506 지구과학 지문16수능 돌림힘 지문
그건 b형
이과가 안쳐서 나온거임
아 a b 형은 문이과가 나눠지는 거임뇨?
이과가 b형 치고 문과가 a형 치면 안 되는 거임?
ㅇㅇㅇㅇ
옛날지문들은 거의 대놓고 특정과목인 거 많앗던
왜냐면 문이과 분리라서
AB 이전에도 읍읍...
그때는진짜ㅋㅋㅋㅋ
헉
그 시절은 통합과학이 없어서 문과들 대부분은 물리 중딩때가 마지막임 그냥 고3내내 과학은 생명 화학 지구과학 중 1개를 문/이과 분별없이 배우고 나머지는 조온나 쉽게 소변이 나오는 곳 ㅇㄷ? 수준으로 배움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ㅋㅋㅋㅋㅋㅋㅋ
그런 수준으로 과학을 고딩때 배운 애들이 저 문제를 풀수있었겠나....저 3점 보기를 현장에서 봤을 때 지문을 읽어도 답이 안나와서 이 뭔씹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