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란 누구인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96704
안녕하세요. 소테리아의 길 입니다.
천재란 누구일까요. 연휴 동안 잠시의 여유가 생겨 문득 이 질문을 떠올려 보았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천재는 학습된 지식이나 개념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사고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할 수 있는 사람입니다. 이미 누군가 만들어 놓은 공식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1+1=2’라는 사실을 배우지 않아도 왜 2가 되는지를 스스로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람, 저는 그런 사람을 천재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즉, 단순한 모방이 아닌 ‘생성’을 할 수 있는 사람입니다.
반면 저는 그 ‘생성’이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끊임없이 지식에 매달립니다. 아무리 논술 지문을 읽고 분석해도, 답안을 쓸 때마다 나만의 입장을 새롭게 만들어내는 일은 여전히 어렵습니다. 결국 저는 수많은 철학자들의 사유를 배우고, 그 개념들을 반복적으로 익히며 저만의 언어로 만드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여기서 암기란 단순한 외움이 아니라, 지독한 반복을 통해 제 사고의 일부로 흡수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그렇게 익힌 지식들을 바탕으로 지문을 읽을 때마다 머릿속에서 여러 철학자의 생각이 연결되고, 그 조합 속에서 하나의 답안이 만들어집니다.
하지만 여전히 저는 질문합니다. 과연 저는 타인의 생각에 의존하지 않고 나만의 사유를 완전히 ‘생성’할 수 있을까요. 흥미롭게도 제가 첨삭을 하며 만나는 학생들 중에는 철학자의 이름도 개념도 모르지만, 스스로 그러한 생각을 만들어내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학생은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 개념을 전혀 배우지 않았는데도 그와 비슷한 논리를 스스로 전개합니다. 제가 물어보면 그 철학자나 개념을 정말 모른다고 말합니다. 그럴 때마다 저는 놀라고, 동시에 확신합니다. 이런 사고의 가능성을 가진 학생이야말로 진짜 천재라고. 그들은 제시문을 보고 단순히 배운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을 ‘생성’합니다.
결국 천재란 모방하는 사람이 아니라 생성하는 사람입니다.
아래는 “지식을 암기한 사람”과 “사유를 통해 생성할 수 있는 사람(즉, 천재형 사고자)”을 구분할 수 있는 사고 실험형 연습 문제 입니다.
천재를 구분하는 사고 연습 문제
문제:
인간은 왜 "거울 속의 자기 자신"을 인식할 수 있을까?
‘뇌의 기능’이나 ‘심리학적 이론’, ‘철학자의 견해(예: 라캉의 거울 단계)’ 등을 사용하지 말고, 오직 자신의 생각만으로, “왜 인간만이 거울 속 자신을 알아볼 수 있는가”를 설명해보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요즘 좀 뼈저리게 느낌 3천7백원짜리 데리버거하나에 감동하면서 눈물흘렸음 엇그제...
-
맞네 돈도 없음 2
연애하려면 돈필요하자나
-
같이 아끼자는 주의임 나는.. 얼굴만 봐도 좋고 같이 산책만 해도 좋을 때에 굳이...
-
아직 여친이 없긴 함
-
아니다 나랑 ㅈㄴ 싸우겠다
-
뭔가 안자서 지근지근아프니 자도록하겠슺니다
-
매주 기차타고 지방가고 평일엔 학교공부랑 정시공부 병행하고 짬내서 씹덕겜좀하고...
-
밤새고 공부하면 어떰? 18
ㅅ연휴때메 생활패턴 ㅈ 되서 밤새고 독재 갈려는데 할만하냐??
-
탑 아트 잭스 테토 장군녀 클레드들고 바텀으로 뛰어와서 혼자 두명따고 따봉날리고...
-
구함
-
네
-
나는 비록 똥손이지만 5분안에 롤빗과 고데기로 딸깍딸깍하면 앞머리가 눈을 찌르지...
-
나 블로그 쓰는데 11
이거 많은 사람이 봐줫으면 좋겟는데 어케해야댐?
-
벼룩파리가 진짜임
-
딮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14
딮하게 생각할 줄 아는 사람과 만나야 함 그래야 서로가 편하다 근데 이런 사람들은...
-
근데요 진짜 근데요 10
왜 저는 연애를 못할까요? 왜 저는 못생긴 걸까요?
-
건당 얼마씩 받는지 아시는 분? 사실 이거 질문하려고 들어왔는데 습관처럼 뻘글을 쓰고 있었음
-
순결하고 굉장히 순수해보이고 착해보아지 않나요?
-
내가 제일 천박해졌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는다
-
여친 ㅇㅈ 17
졸라이쁨
-
컵라면 vs 맥모닝 컵라면 장점 : 걍 집에 있는 거 쳐먹으면 됨 컵라면 단점 :...
-
뭐랄까 26
글이나 프사에서도 대충 그 사람의 외적 요소나 여유가 엿보임 일단 전 솔로같음ㅋㅋ...
-
이제 다 해소됨
-
연애메타라 4
오랜만에 왔는데 메타가 참..
-
연애 메타네? 1
자러 감ㅂㅂ
-
나의 TMI 4
저는 운동을 되게 못하고 자신이 없음 힘 자체가 약하거나 신체 조건이 특별하게 안...
-
진지하게 연애썰 풀어봄 15
.
-
[연휴 1일차 : 정법 개념 정리 + 취약 파트 재학습 & 메꾸기] [연휴 2일차...
-
내가 연막이다 연막탄을 뿌려버려 싼다 연막을끼끼르르르르르륵
-
하쿠지ㅠㅠㅜㄴ
-
선택과 집중의 시기잔슴
-
다른반이였음 다른 학교였음 후배였음
-
눈을 낮추기가 싫음 내가 왜. 솔로로 지낸 기간이 오래될수록 그런 경향이 강해지는 거 같기도
-
우울해 2
-
바뀌지 않아 형은 다 똑같으시잖아
-
그래도 노력은 하시잖아 한잔해
-
11시에 집들어와서 엄마하고 얘기좀하고 겜 잠깐 했는데 버근가
-
잘생겨지려면 7
그냥 존나 꾸미면 됨. 짱 쉽죠
-
다들 잘 아시겠지만 의 실근은 (n은 정수)입니다. 놀랍게도, 이를 이용해서...
-
목소리 약간 콤플렉스임 15
옛날엔 하이톤이었는데 요즘은 중저음이라 허스키하진 않은데 높지도 않아서 애매애매해짐...
-
드럼통과 함께 갈게
-
롤이랑 옵치할때 한정임 혼자 말을 쉬지 않음 어 형은 캐서디로 딜량 2만을 찍어버려...
-
후반 밸류가 너무 넘사임 사거리도 길어서 라인전도 무난하고 전형적인 쉽고 쎈 원딜
-
근데 목소리 듣는 순간 21
딱 아 얘 왜 여친 있는지 남친 있는지 알 거 같은 타입이 있음 갑자기 생각남
-
후기 남겨드림.
-
우울햐서 무물보함 17
약력 우울증 수학과인턴 수학문항제작
다만, 이 글은 어디까지나 한 작은 강사의 사적인 생각일 뿐입니다. 저는 천재와 그렇지 않은 사람을 구분할 능력도, 천재를 알아볼 눈도 없습니다. 다만 사고의 ‘형태’가 다를 뿐, 그 차이를 함께 성찰해보고 싶었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누가 천재인가가 아니라, 누가 스스로 생각하려 하는가일 것입니다.
목동천재
처음에는 거울 속의 인물이 자기 자신이라고 확신할 수 없을 것이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거울 속 인물의 정체를 알아내기 위해 특정 행동을 취할 것이고, 거울 속의 인물은 이를 정확히 복제해낼 것이다. 이것을 반복하면, 인간은 아래와 같은 가설을 세울 수 있다.
거울은 그것 앞에 놓여 있는 풍경을 정확히 복제할 수 있다.
인간은 위 가설을 두 가지 추론으로 증명할 수 있다.
1. 거울 속 인물이 자신의 행동을 완벽히 복제한다.
2. 거울 속 주변 환경은 내 눈으로 보는 것과 정확히 일치한다.
결국 인간은, 귀납 추론으로 거울 속 인물이 자기 자신이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의심, 가설 설정, 귀납 추론 세 단계 중 어느 한 단계라도 이향할 수 없는 동물이라면 거울 속 자기자신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다. 실제로 거울을 인지하지 못하는 동물은 거울 속 상대를 공격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의심 단계를 이행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거울이 그 앞에 위치한 무언가를 비추는 물건이다'를 알고 있다는 전제 하에 내가 취하는 행동과 거울 속 상의 움직임이 일치한다는 걸 알아서 그 상을 자기 자신이라고 알아볼 수 있는 거 아닐까요
물론 거울이 뭔지도 모른다면 내가 아닌데 나를 따라하는 다른 이상한 무언가라고 생각하겠지만요
거울속의 나는 지연이나 버벅임 없이 있는 그대로의 나를 담으니까요..? 잘 모르겟네요ㅜ
현대의 사람들이 거울 속 자신을 인식할 수 있는 이유는 알기 쉽습니다만 그러한 질문이 아니겠죠?
그렇다면 애초에 왜 처음 인간이 거울속 존재하는 것이 자신임을 알았으며 그것이 왜 인간만이 가능한 것이냐
라는 질문일 것 같습니다
우선 이에 대답하기 위해서 인간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해야합니다. 왜 오직 인간만이 가능한지를 알아야하니까요 저는 그 구분기준을 대개 이성의 유무로 잡습니다. 실제로 그렇게 생각하기도 하고 가장 보편적으로 잘 적용되는 기준이니까요. 따라서 저는 그 기준을 이성으로 잡겠습니다. 여기서 이성만이 인간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는 기준이라면 이성이 있기에 가능한 것은 무엇일까요? 저는 논리적사고, 추론, 고찰과같은 것이라 생각합니다.
위의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거울속 나와 내 행동이 일치하는 것을 ‘인지‘하기 때문에 같은 것들을 몇몇 댓글에서 들었습니다만 제 생각은 다릅니다. 단순히 내 행동과 거울 속 나의 행동이 일치한다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만으로는 질문에 대한 충분한 답이 되지 못합니다.
’인지능력‘은 인간만이 가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우리 인간이 동물과 다른 이유는 이성이며 그로인한 논리적 사고가 가능하다는 것 입니다. 따라서 인간은 단순 자신 행위가 거울에 비춰지는 상과 일치한다는 것을 ’인지‘하기 때문이 아닌 그것을 인지하고 그 이유를, 원인을, 추론하려는 욕망과 그것을 가능케하는 이성의 능력이 있기 때문에 인간만이 동물과 달리 거울 속 자신이 본인이라는 걸 인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내용에는 담지 못했지만 무언가에 대한 호기심 또한 작용할만할 것 같습니다.
내가 아닌 타자를 보고 모방할려고 했지만,
그 모방물과 나와의 동일성이 완벽하기에 결국은 거울 속의 타자는 나 자신이고, 내가 그와 동치가 된다고 인지했기에
결론은 거울 속의 타자는 사실은 나 ‘자신’이구나 라는 결론을 내려버렸기 때문이리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