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란 누구인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96704
안녕하세요. 소테리아의 길 입니다.
천재란 누구일까요. 연휴 동안 잠시의 여유가 생겨 문득 이 질문을 떠올려 보았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천재는 학습된 지식이나 개념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사고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할 수 있는 사람입니다. 이미 누군가 만들어 놓은 공식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1+1=2’라는 사실을 배우지 않아도 왜 2가 되는지를 스스로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람, 저는 그런 사람을 천재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즉, 단순한 모방이 아닌 ‘생성’을 할 수 있는 사람입니다.
반면 저는 그 ‘생성’이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끊임없이 지식에 매달립니다. 아무리 논술 지문을 읽고 분석해도, 답안을 쓸 때마다 나만의 입장을 새롭게 만들어내는 일은 여전히 어렵습니다. 결국 저는 수많은 철학자들의 사유를 배우고, 그 개념들을 반복적으로 익히며 저만의 언어로 만드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여기서 암기란 단순한 외움이 아니라, 지독한 반복을 통해 제 사고의 일부로 흡수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그렇게 익힌 지식들을 바탕으로 지문을 읽을 때마다 머릿속에서 여러 철학자의 생각이 연결되고, 그 조합 속에서 하나의 답안이 만들어집니다.
하지만 여전히 저는 질문합니다. 과연 저는 타인의 생각에 의존하지 않고 나만의 사유를 완전히 ‘생성’할 수 있을까요. 흥미롭게도 제가 첨삭을 하며 만나는 학생들 중에는 철학자의 이름도 개념도 모르지만, 스스로 그러한 생각을 만들어내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학생은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 개념을 전혀 배우지 않았는데도 그와 비슷한 논리를 스스로 전개합니다. 제가 물어보면 그 철학자나 개념을 정말 모른다고 말합니다. 그럴 때마다 저는 놀라고, 동시에 확신합니다. 이런 사고의 가능성을 가진 학생이야말로 진짜 천재라고. 그들은 제시문을 보고 단순히 배운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을 ‘생성’합니다.
결국 천재란 모방하는 사람이 아니라 생성하는 사람입니다.
아래는 “지식을 암기한 사람”과 “사유를 통해 생성할 수 있는 사람(즉, 천재형 사고자)”을 구분할 수 있는 사고 실험형 연습 문제 입니다.
천재를 구분하는 사고 연습 문제
문제:
인간은 왜 "거울 속의 자기 자신"을 인식할 수 있을까?
‘뇌의 기능’이나 ‘심리학적 이론’, ‘철학자의 견해(예: 라캉의 거울 단계)’ 등을 사용하지 말고, 오직 자신의 생각만으로, “왜 인간만이 거울 속 자신을 알아볼 수 있는가”를 설명해보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다신 안가야겠다
-
집 앞 공원 사람 개 많네 ㅅㅂ
-
명절에 성형외과 찾는 2030… “추석 직전 병의원 매출 7% 증가” 3
30대 직장인 A 씨는 추석을 앞두고 눈처짐 스트레스를 해소하고자 쌍꺼풀 수술을...
-
A국사람들은 독수리가~ 이거 왜 전체성임? 변동성은 절대아니라 걍 전체성으로 놓고...
-
9회 30틀 96으로 커하 ㅅㅅ 그냥 준킬러 도배에다가 국밥유형이 많은듯
-
생명 몰라도 뭔가 어떤 의미에서 말씀하신지는 알겠는데 멘트 자체가 너무 폭력적이네 ㅋㅋㅋㅋㅋㅋ
-
쫑모 7회 4
96점 끼얏호 (15번 찍맞...)
-
현역 10섶 0
언미화2생2 100 93 2 45 42 사설국어 다맞은거 첨이네요
-
할거는존나많은데 3
내몸은한개
-
역대급으로 틀림 비문학 5개 틀리고 처절하게 망함… 아니 마지막 지문 15분인가...
-
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이전글 잡기술 1편 예시...
-
난 이렇게 개칭할거임 10
경기도=> 양광북도와 양광남도 (고려시대때는 양평 +광주합쳐서 양광도로 불렀다함)...
-
언미영정사 91 73 1 45 50 국어랑 정법 1 가능할까요?
-
원희님 도와주세요 12
머 껴야되여? 한달모드고 캐릭은 최면술사임
-
의대생붐들아 0
러닝하는 중에 안업 어케됨? 안압메커니즘아시는분
-
그냥 가지고 있는 실모로 풀실모 충분히 만들어지는데 굳이 안봐도 될료나요?
-
운세 커하 뭔데
-
9모 88이고 1회차 100(어법찍긴함)인데 이거맞음?
-
85 88 3 50 50 언확경사
-
수학실모 2
2주 전에 푼 서바가 88인데 오늘 푼 서프가 66이라고? 아오 실모 점수...
-
실모 오답 방법 0
다들 어떻게 하시나욤 오늘 서프봤는데 기분이가 아주 죽었네요 ㅠㅠ
-
백분위 이거면 고대 공대~자연 가능함? 사탐일때
-
ㅈㄴ 푸앵푸앵거릴것같이생겻음
-
언매 90 미적 72 (ㄹㅈㄷ 커로 초면인 점수 ㅠㅠ) 영어 2 사문 44 생1...
-
아마 과탐은 어떤 모의고사든 1 못 받을 것 같은데 사탐은 사설 1도 되네..
-
언매 88 확통 76 영어 2 생윤 34 사문 44 어제 하루종일 생윤 평가원 기출...
-
생1 기말 범위가 돌연변이~끝인데 돌연변이는 걍 기출만 풀고, 뒤 생태계는 N제...
-
탐구 선택 뭐 할거임? 전 계속 사문 지구 할거같긴 한데
-
수능이엿음 1컷 47정도일까요?
-
95 92 86 33 47 서바 45 하방이다가 화학에서 이정도 망한건 처음인데...
-
고2때 평가원 문제 아끼라는 말 개소리 같음 이 말이 진짜라면 현역때 국어가 가장...
-
국바뜻이 6
국어서바이벌임요? 무슨뜻임뇨
-
요즘 미적사탐황한테 서울대 가겠네 하면 욕하는 거네 20
메디컬 뚫리니까 ㄹㅇ....
-
서프후기... 1
화작89 독서 다맞 문학 짜라투스트라인지 레반도프스키인지 이새키 뭐임? -9점 화작...
-
슈발
-
둘다 정시라는 가정하에 뭐가 더 힘듬??
-
서프 경제 4번에 건보려도 신용평가아님? 건보료 안내면 통장 압류당함 이러면 당연히...
-
35일의 전사 1
가보자
-
수특 수완 풀어야하나요? 귀찮은데.
-
언매 92 확통 66 영어 95 정법 50 사문 50 수학 ㅅㅂ
-
팔베개를 꼬고 누웠다 아픈 만큼 담담해지길 잠에 들던 나는 잊었다 달콤한 외면은...
-
지1 50 지2 44 지2 개념빵꾸있는거같음..
-
10서프 후기 1
언 미 영 정법 사문 100 92 92 48 50 국어 운이 좋았다 역대급 고점 ㅋㅋㅋ
-
더 해야하려나 뭐 할까용
-
언매 94 미적 88 영어 95 사문 50 지학 45 입니다
-
항상성 여기가 너무 헷갈리고 시간도 많이 잡아먹는데 기출 4번은 돌림요…. 후루룩...
-
서프 점수 올리러 왔다 28
개힘드네 수학풀때 정신나가는줄 언매 97 미적 88 (88점의저주에섭ㅓㅅ아나고싶어)...
-
ㅈㄴ비정상적이다 7
이 나라 사람들은 다 정신나간게 분명함 11,875.9㎢에 2천6백만명 전체면적...
-
서프 국어 ㅈㅂ 2
언매 78은 2 가망없냐..? ㅠㅜ 고전소설 다 틀림 시발
다만, 이 글은 어디까지나 한 작은 강사의 사적인 생각일 뿐입니다. 저는 천재와 그렇지 않은 사람을 구분할 능력도, 천재를 알아볼 눈도 없습니다. 다만 사고의 ‘형태’가 다를 뿐, 그 차이를 함께 성찰해보고 싶었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누가 천재인가가 아니라, 누가 스스로 생각하려 하는가일 것입니다.
목동천재
처음에는 거울 속의 인물이 자기 자신이라고 확신할 수 없을 것이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거울 속 인물의 정체를 알아내기 위해 특정 행동을 취할 것이고, 거울 속의 인물은 이를 정확히 복제해낼 것이다. 이것을 반복하면, 인간은 아래와 같은 가설을 세울 수 있다.
거울은 그것 앞에 놓여 있는 풍경을 정확히 복제할 수 있다.
인간은 위 가설을 두 가지 추론으로 증명할 수 있다.
1. 거울 속 인물이 자신의 행동을 완벽히 복제한다.
2. 거울 속 주변 환경은 내 눈으로 보는 것과 정확히 일치한다.
결국 인간은, 귀납 추론으로 거울 속 인물이 자기 자신이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의심, 가설 설정, 귀납 추론 세 단계 중 어느 한 단계라도 이향할 수 없는 동물이라면 거울 속 자기자신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다. 실제로 거울을 인지하지 못하는 동물은 거울 속 상대를 공격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의심 단계를 이행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거울이 그 앞에 위치한 무언가를 비추는 물건이다'를 알고 있다는 전제 하에 내가 취하는 행동과 거울 속 상의 움직임이 일치한다는 걸 알아서 그 상을 자기 자신이라고 알아볼 수 있는 거 아닐까요
물론 거울이 뭔지도 모른다면 내가 아닌데 나를 따라하는 다른 이상한 무언가라고 생각하겠지만요
거울속의 나는 지연이나 버벅임 없이 있는 그대로의 나를 담으니까요..? 잘 모르겟네요ㅜ
현대의 사람들이 거울 속 자신을 인식할 수 있는 이유는 알기 쉽습니다만 그러한 질문이 아니겠죠?
그렇다면 애초에 왜 처음 인간이 거울속 존재하는 것이 자신임을 알았으며 그것이 왜 인간만이 가능한 것이냐
라는 질문일 것 같습니다
우선 이에 대답하기 위해서 인간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해야합니다. 왜 오직 인간만이 가능한지를 알아야하니까요 저는 그 구분기준을 대개 이성의 유무로 잡습니다. 실제로 그렇게 생각하기도 하고 가장 보편적으로 잘 적용되는 기준이니까요. 따라서 저는 그 기준을 이성으로 잡겠습니다. 여기서 이성만이 인간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는 기준이라면 이성이 있기에 가능한 것은 무엇일까요? 저는 논리적사고, 추론, 고찰과같은 것이라 생각합니다.
위의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거울속 나와 내 행동이 일치하는 것을 ‘인지‘하기 때문에 같은 것들을 몇몇 댓글에서 들었습니다만 제 생각은 다릅니다. 단순히 내 행동과 거울 속 나의 행동이 일치한다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만으로는 질문에 대한 충분한 답이 되지 못합니다.
’인지능력‘은 인간만이 가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우리 인간이 동물과 다른 이유는 이성이며 그로인한 논리적 사고가 가능하다는 것 입니다. 따라서 인간은 단순 자신 행위가 거울에 비춰지는 상과 일치한다는 것을 ’인지‘하기 때문이 아닌 그것을 인지하고 그 이유를, 원인을, 추론하려는 욕망과 그것을 가능케하는 이성의 능력이 있기 때문에 인간만이 동물과 달리 거울 속 자신이 본인이라는 걸 인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내용에는 담지 못했지만 무언가에 대한 호기심 또한 작용할만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