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에서 소소한데 시험 운영을 어쩌면 크게? 바꿀 수 있는 꿀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86672
국어
1. 시험 땡! 하는 순간 페이지 넘기지 않기
시험 시작하면 주변서 바로 후다닥 페이지 넘기는 소리 들리죠? 이때 한 10초 정도 명상을 하고 시작해주세요.
시험은 속도에 비례해서 점수 잘 나오는 게 아니라, 집중력에 비례해서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남들보다 뒤처진다는 생각을 갖지 않도록 아예 몇 초 늦게 시작하는 게 생각보다 몰입력에 좋아요.
2. 지문 시작 전 3~5초 텀두기
1번과 내용은 유사한데, 이유는 좀 다릅니다.
지문, 특히 독서 지문의 경우 몰입력 있게 지문을 읽고 세트를 다 끝내면 이전 지문의 잔상이 남을 확률이 높아요. 동시에 머리를 잠깐도 쉬지 않고 계속 몰두한다는 건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저도 몇 번 겪었는데, 여러분도 가끔 국어 실모든 시험이든 칠 때 가끔씩 머리가 팅! 하는 소리와 함께 지문 흡입력이 갑자기 훅 떨어진 적 없으신가요?
보통 그런 경우가 오면 실전에서 다시 집중혁을 회복하기가 어렵습니다. 게임으로 치면 hp가 다 닳기 전에 보스를 쓰러트리든 hp물약을 마시든 해야하는데 둘 다 못하고 죽은 느낌이랄까요.
자, 여기서 시간이 아깝지 않냐는 질문을 위해 시간을 재보죠.
1번과 2번을 최대로 다 쓴다 가정해봅시다.
15+5×8(독서, 문학 8세트)=55초네요. 물론! 국어에서 1분이란 게 굉장히 귀중한 시간임은 맞습니다.
그러나 수능장 변수를 고려해보면? 우연찮게 시계가 2분 잘못 돌아갔을 경우, 예전에 벌어졌던 1분 전에 시험종이 쳐서 1분을 추가로 준 경우, 감독관의 신분증 확인 등이 길어지는 경우.
다시 말해서 실모칠 때처럼 80분 꽉 채워서 푼다는 건 불가능하며, 다 풀든 그렇지 못하든 항상 '5분 정도의 잔여 시간을 남긴다'는 마인드가 필수입니다. 그렇기에 그런 변수들을 위해 남겨놓은 1분을 이걸로 채운다고 생각하면, 글쎄요. 위의 습관들이 시간낭비라고 보기도 어렵죠.
1번과 2번 모두 제가 6모 잘보고 9모 국어를 박았기 때문에 믿거나 말거나이긴 합니다만...
갠적으로 상당히 도움이 되었고 도움이 되고있는 습관들이라 여기 올려봅니당.
2. 수학
예전에 야무지게 쓴 글이 하나 있어서 이걸로 대체합니다.
3. 영어
전 영어를 못해요.
하지만 한 가지 확답할 수 있는 건 있습니다.
국어랑 다르게 영어는 평소 시간 부족하신 분들은 시험지 넘기라는 소리 듣는 순간 명상이고 뭐고 걍 18번부터 빠르게 푸는 게 가장 베스트였습니다.
4. 한국사
이 시간이 은근 중요합니다.
뭐 물론 매국노 탈출이라는 점에서도 중요한데, 오르비 분들은 다들 3등급 넘으실테니(...믿어도 되죠?)
점수보다 중요한 건 딱 하나.
'멘탈회복'
안타깝게도 모든 수험생들이 국수영을 잘 보고 온다는 가정은 불가능합니다. 다시 말해서 망할 확률도 대비해야죠.
국수영을 잘 본 상황에서는 그냥 평소대로, 주무실 거면 주무시되 5분 종에는 일어나서 다시 뇌를 리마인드해두면 됩니다. 편하게 하세요.
그러나 못 본 상황에서는 이 시간에 무조건 탐구를 잘 봐서 나는 탐구로 대학 간다! 라는 마인드를 탑재하셔야 합니다.
국수영의 피로가 몰려온다면 제일 좋은데, 좌절감 때문에 피로가 몰려오지 않는다면 일단 엎드리세요. 자라는 게 아니라 엎드려서 다양하게 생각하세요.
국수영을 왜 못 봤을까부터, 재수 어떡하지, 아 놀지말걸... 등등.
그리고 적당한 시간 즈음에 무조건 일어나서 다음 탐구 시간에 전력을 다한다는 생각으로 임하셔야 합니다.
일례로 제가 현역 6모 때 국어는 체감적으로는 ㄱㅊ게 본 것 같은데, 수학은 난생 처음보는 점수와 등급이 뜰 각이 나와서 상당히 멘탈이 날아갈 것 같았습니다.
애들 답 맞힐 때 혼자 수학 문제 다시 보고, '아...' 한숨 푹푹 쉬고. 긍정 마인드란 게 그 순간 꺼진 것 같았어요.
하지만 평가원이니까 나머지라도 잘 보자라는 마인드 + 결정적으로 한국사 때 반성일기, 성찰일기(물론 6모니까 썼지, 수능장에서는 굳이 쓸 필요 없습니다) 등 최대한 멘탈 잡고 탐구 어떻게 잘 비비니까
국 아쉽, 수 망, 영 낫 배드, 탐구 무난 ~ 잘
이렇게 떠서 수학을 망친 거 치고 나름 괜찮은 성적이 떴었습니다.
수능은 여러 요소가 있고, 어떤 순간이든 망했다라는 생각이 들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다만, 망했다고 생각하고 거기서 포기한 순간은 뭐 슈뢰딩거의 고양이조차 없어요. 이미 관측되어버럈습니다.
시험이 끝나기 전까지 여러분 점수는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스스로의 뇌피셜에 빠지지만 않는다면, 진짜 망했어도 나머지로 커버쳐서 평이하게라도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립니다. 끝까지 포기하지 마십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수능 같이 팟팅입니다!
0 XDK (+500)
-
500
-
교양번따마렵 2
내가 잘생겼더라몈
-
대충 어느정도라고 생각하면 될까용.. 제가 시작한지 이제 한 달 째라... 영 감이...
-
입문 n제 3
최근 기출 풀면 76~80정도 나오는데 입문 n제 해봐도 괜찮을까요? 공통에서...
-
내 기준 국어 평가원이 제일 양아치로 문학 출제한게 12
2106때 관동별곡 "비연계"출제<<<<<이 새끼가 제일 원탑인듯 거기에 이때는...
-
혹시 오프기준 시즌6 몇회에 출시되는지 아시는분..?
-
읽어도 남는게 없더라 R을 찾아야하는데 감정,정서가 안보여
-
암기력과 관련이없음? 모든 내용을 다 기억할 필요가없나 그냥 문제풀때 지문으로...
-
알려줘요 123컷좀
-
최저 0
수학 6모 2였는데 제가 아파서 공부를 잠깐 쉬었었어서 수학 9모 기준 4등급에...
-
아닌가..?
-
아직도 먹을거 많음
-
언확세지정법 23223 어디갈수잇나여,,
-
나만 거슬림? 하..
-
졸려.... 1
자도자도졸려.......
-
최원태사랑해 1
우리 꾀련님 사랑해
-
수학고수님들 2
미적입니다만 평가원 6,9모는 워낙 공통이 쉽기도 했어서 1등급은 나오는데 실모가...
-
Hey, Guys and Gals, This is Ryan from Busan. Enjoy!
-
저거 탈릅한거냐 탈릅당한거냐
-
초임계 유체 지문 12번 보기 문제 -> 지문에서 초임계 유체가 온도나 압력이...
-
인서울(국숭이상) 10
가려면 어느 과목에 투자하는게 젤 효율적일까요 지금 제 성적에서요
-
여친 내놔 4
-
옛날기출보면 옛날한글 시같은거 나오는데 통합형부터 수능에 고어 안나와도 푸는 게...
-
찰칵
-
좀 맞아야겠노
-
그냥 이럴거면 한완수 n회독이나 제대로 할걸
-
나는 왤케 저능한가…
-
원래 최전방 가기싫었는데 백골 특급전사마크 보니까 심장이 뛰기 시작함 ㅋㅋㅋ
-
2~3 왔다갔다 하고있고 안정2가 목표입니다 엔티켓 풀고 있는데 이 책만 여러번...
-
수능 볼 때도 귀마개 끼는 게 낫겠죠?ㅠㅠ 맥스 슬림핏 살까 싶은데 그거 괜찮나요?
-
서울 경기도 시민 저혈압 치료제 아니고서야 이런걸 쳐만들이유가 없다
-
오래 못갈 삘인데
-
셀레스트 2회차 클리어 다크소울2 클리어 카우보이 비밥 정주행 에반게리온 시청...
-
킬캠 s1 1회 2
2등급 중반~1등급 초 나오는데 개처박아서 76 ..존나 멘붕오네ㅜ
-
고1인데 이렇게 바꿀려고 하는데 생기부 영향 어느정도 미칠까? 비슷한 계열이긴 한데
-
28수능부터 정시에 내신반영 근데 당연한 수순아님? 14
수능 범위를 보면 어쩔수없음 ㅋㅋ 수학범위가 수1수2확통에 탐구 통합사회,통합과학...
-
와 시발... 0
30번 붙잡느라 검토 못했는데 15 19 20 계산실수 했네 시발거
-
ㅁㄹㅎㅇ 7
-
넌 초등학교 다시가라 ㅇㅇ..
-
작년 입결 싹 낮아졌던데 이번에 다시 올라오겠죠? 높2 중간2 1 1 1 이면 붙으려나요?
-
올해꺼 품
-
여름인가.. 8
분명히 가을인데
-
이렇게 지엽적인데 컷이 말이안더ㅣㅁ ㅜㅠㅠ
-
뭐야 진짜
-
현재 고3인 현역 학생입니다 선택과목 미적분으로 현재 수학 공부는 수능특강 수능완성...
-
두개 200분재고 풀고 한번에 오답복기하기 VS 한개 풀때마다 오답복기하기 뭐가나음?
-
총정리과제 1
전통목조건축? 이런건안나오겠지..?
-
지금부터는 1
-
대동아제국
-
싸인 받았지롱 흐흐
-
하원 3
갑작스런 일정이 생겼네용 오노추 Gloomy Star - 공기남
감사합니다
헐 항상 초반 페이지 넘기는 소리 신경쓰여서 집중력이 흩어졋엇는데 ㅠㅠ 참고할게요 좋은 칼럼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샸다면 그게 제일 뿌듯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