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가 '바래'가 되기까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70652
사실 ㅏ로 끝나는 용언이 ㅐ가 되는 경우가 종종 보임
오라다>오래다
보차다>보채다
보타다>보태다
ᄂᆞᆯ나다>날래다
'바라다'를 '바래다'로, '놀라다'를 '놀래다'로, '나무라다'를 '나무래다'로 쓰는 것 역시 이와 같은 변화로 보이지만, 문제는 이러한 변화의 기제를 명확히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임. '오라다'는 '오래'라는 부사의 영향으로 볼 수 있겠지만, 나머지가 좀 곤란함. '하다'의 활용형에 유추된 것이라는 설이 있지만 위들 예들은 '하다'가 '해'로 쓰이기 전부터 나타나서 그렇게 보기 어려움. 그래서 그냥 아직 명확히 설명하기 어려운 ㅣ 첨가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하곤 함.
'바라다'의 '라'가 '래'로 쓰이는 건 초기 문헌에서는 <念佛普勸文(1704)>에만 집중적으로 보이는데, 다른 문헌에서는 주로 '라'로 쓰인다는 점에서 경상방언이 시작으로 보임. 20세기 기록을 보면 '바래다'가 없는 건 아닌데(방언 자료일수록 '바래/바ᄅᆡ'가 많음), 중앙어 즉 서울 자료는 주로 '바라'형이 많음. 조선어사전(1920)이나 Underwood(1890), Alévêque(1901) 등의 사전류와 독립신문 등의 신문에서도 '바라'가 압도적임. 1950년대부터 '바래'가 좀 보이기 시작하더니, 1988년 한글맞춤법이 제정될 때는 기어이 '바램'이 비표준어라는 주석을 달아줘야 할 만큼 서울에서도 '바램'이 꽤 쓰였다는 걸 알 수 있음.
아마 '바래'형이 남부 방언에서 시작되었기에 이런 개신형들이 서울까지 침투하기 오래 걸렸기 때문이겠지. 서울말의 내적 변화라기보 이미 다른 지역 방언에서 진행되던 변화가 서울로 유입되고 확산된 것 즉 방언 차용이라 볼 수 있음. 대중 화자들에게 친숙한 구어체에선 방언을 흔히 접할 수 있으니. 뒤늦게야 'ㅣ 첨가'형이 서울에 들어온 거지
마냥 근본 없는 음운 변화라고 보기는 어려워서 언젠가는 표준어가 될지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2 답글 달기 신고
-
수능 36개월 남앗네 7 0
머하지..
-
민지 보고 싶다 6 1
아
-
첸소보러 가는중 8 0
기대되는구만
-
필리핀이랑 베트남중에 2 0
어느 곳 여행가는게 더 좋을까용?
-
독서 어떻게 올려요 제발 4 0
이번 9모에서도 독서만 3개틀리고 지금 사설 풀때도 문학은 1틀 or 다맞인데...
-
이제 진짜 수능 얼마 안남았네 6 2
큰일인데
-
영어 문제 풀이 순서 1 0
단어 외우고 수특, 수완, 기출만 하려고 하는데요 어떤거부터 풀까요?
-
탄핵이 다비다~ 이러다간~ 나라 망한다~~~~ (다같이!!) 윤석열 꺼져줘야 메리...
-
추천좀뇨
-
침대에 누웠을 때 잠이 잘 오지 않는 분 계신가요? 1 1
계속 휴대폰 보게 되고 잘려고 생각하면 계속 잡생각 드시는 분 계신가요? 수면...
-
미적 자작 1문제 1 0
차수논리랑 9평28번 보고 만들었습니다.
-
민지야 추석 잘 보냈니 2 2
그러길 바라
-
아 자꾸 김길태거리니까 떠오르는 게 2가지임 철길태랑 본인 중1 수학학원 김길태...
-
1. 원하는 이모티콘의 위치 2. 오르비 이모티콘 캐릭터의 이름 3. 오르비 메타...
-
시간상 다 하는 건 어렵고 고전문학에 다른 장르 하나 더 껴서 준비하려고요 뭐가 정배인가요
-
현시점 개씹쓰캠인 과들 3 2
의대, 연고서성한 계약학과
-
정말 아름다운 날이야... 0 1
새들은 지저귀고, 꽃들은 피어나고... 이런 날엔, 너희 같은 옯창들은 지옥에서 불타야 해
-
현강생들때매 줄수가 없다는데 뭔개쌉소리야 현강생들이 해설지 베껴서 omr 가라로...
-
나처럼 레전드 정신병자도 2 0
많지않을듯 생각해보면 초딩때부터 정병있었네 외모정병 키 정병 비율정병 돈정병...
-
맞팔하자 7 1
ㄱ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