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無)란 무엇인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69858
꼭 이성적 또는 감각적으로 느껴져야만 존재하는 것인가?
예를 들어 벌거벗은 임금님의 줄거리를 보면, 임금님이 실제로 아무것도 입지 않았음에도 사람들은 처벌이 두려워 마치 그가 옷을 입은 사람인 것처럼 대답했다. 이 때 만약, 사회적 구속력에 구애받지 않는 한 아이가 진실을 외치지 않았더라면,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그것을 인정한다면, 과연 임금님이 옷을 입지 않았다고 할 수 있을까?
더 나아가서, 임금님이 옷을 입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그게 사실이라고 여기는 사람에게 막대한 보상을 준다면, 그래서 마침내 모든 국민들이 보상을 얻기 위해 자발적으로 그걸 인정하고,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며, 자식에게 그것이 사실이라고 가르치기까지 한다면, 그리고 그걸 부정하는 사람들을 한심하게 여긴다면, 그렇다면 그건 과연 정말 사실이 아닐까?
보상을 얻기 위해 모든 사람들이 자기 스스로를 세뇌하고, 마침내 그 내용에 대한 의심을 전혀 하지 않게 된다면, 그것은 정말 존재하지 않는가?
물론 누군가는 감각적인 장비를 총동원해서 과학적으로 그것이 틀렸음을 밝혀낼 수도 있겠지만, 정말 그것으로 '존재'를 부정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사실 이 문제의 요점은, 존재라는 것이 정말로 인간이 인식 가능한 것이냐는 것이다.
무언가가 존재하느냐 아니냐 하는 것도 결국 인간이 정한 것일 뿐, 어떠한 객관적인 사실 그 자체를 직접적인 근거로 삼아서 무언가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이다.
수학에서의 '수'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음에도, 그리고 역학의 '힘'과 '에너지' 또한 실제로 존재한다는 확실한 근거가 없음에도 그것으로 실제 물리적 현상을 잘 설명할 수 있기에 우리는 그것이 당연히 존재하는 것처럼 납득할 뿐이다.
이렇게 보면 우리는 역사상 최고 천재인 뉴턴의 관점에 자발적으로 세뇌당한 것이나 다름 없다. 뉴턴의 역학이 모든 사람들 가운데에서 가장 설득력이 있었기에 받아들여진 것일 뿐, 뉴턴의 가정을 믿었기 때문일 뿐인 것이다.
여기서 만약 퀘일이라는 한 멍청이가 '힘이란건 존재하지 않으며, 물체가 움직이는건 신창섭이 염력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염력의 크기는 쌀값의 질량과 가격에 비례한다' 라고 주장했다 치자. 그렇다면, 비록 퀘일의 주장이 과학적으로 전혀 합당하지 않더라도, 과연 그 주장이 틀렸다고 할 수 있는가?
어떤 것의 존재를 주장하는 진술이 과학적으로는 타당하지 않다고 할 지라도 과연 '논리적'으로 타당할 수 없는가?
그렇지 않다. 무언가의 존재 여부는 과학이 직접적으로 판별할 수 없으며, 오직 순수하게 논리적으로 본다면 '존재'라는 것은 합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울은 서울임 3
서울은 보통명사(수도)로도 고유명사(지명)로도 쓰인다. 그래서 京은 '서울...
-
세종대왕이 환생해서 지도자가 되었다면 어땠을까? 킹갓 세종.. 세종대왕은 파면 팔...
-
단어와 글의 전반적인 이해를 같이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
-
문제 분리하고 선지들 다 따로 떼서 OX 퀴즈 시키고 싶다
-
3지문 다 너무 빡빡했음.. 이번 주 컨셉 확실하네
-
이미 다 지원했지만 괜히 불안함...
-
현재 실력가늠을 위한 지표? 를 보면 강k 초반회차를 푸는중인데 3회차같은 단과평균...
-
뭔가 기출은 아슬아슬하게 1나오는데 실모치면 자존감 떨어짐 4
갑자기 11번을 못풀겟고 13번 막힘 ㄹㅈㄷ인건 24번 못푼적잇음 ㅋㅋ.... 살다살다
-
각종 스노우볼이 굴러가서 노년에 쓸쓸하게 길가에서 동사하는것까지 생각이 굴러감
-
걍어찌저지하다가풀림
-
35일의기적 3
사탐 35일만에 할수잇겟죠?? 9모 22 백분위 90 ㅠㅠ
-
...떠납니다 3
저 오늘 떠나요~ 공항으로~ 핸드폰 꺼놔요~ 제발 날 찾지 말아줘~
-
본과 선생님,,, 왜 아직도 오릅이에 계세요....?
-
에타에다가 난 서성한 버리고 이대갔는데를 시전한다는 말임? 보니깐...
-
돈버는 방법 0
브레턴우즈 지문 5회독을 한다 업비트를 깐다 케이뱅크 계좌를 만든다 비트코인을 산다...
-
생윤하지말자 6
생윤은 안하는게맞는거같아요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면 생윤안함
-
사실 그럴만한 용기가 없음 나같은사람얼마나되려나.
-
앞머리를 반만 내림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 읽어보셔요...비슷한 얘기 많이 나옴뇨
그거 읽어보신 분이 계시군요
읽다가 던짐
저도 도전해봤는데 앞부분만 대충 이해함요
근데 존재는 본질에 앞선다는 선언이 제가 쓴 글이랑 일치하긴 해요 본질의 규정이 존재로 대체될 수 없다는..
’이렇게 의심하는 나’는 존재한다 (방법적 회의론)
-르네 데카르트-
저도 철학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