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66680
내신 기출을 풀다가 '더 높은 수준의 쾌락을 위해 고통을 감수할 수도 있다' 라는 선지가 벤담이 동의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선지로 나왔는데요..
근데 더 높은 수준의 쾌락이라는게, 질적인 측면 말고 양적인 측면으로도 해석될 수 있는거 아닌가 해서요..
더 높은 수준의 성적
처럼 수치를 표현할 때느 양적인 측면도 되
는거 같기도 해서
알려주실 고수분들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는사람이 고1수학 처음으로 시험문제냈는데 5등급제 기준으로 예상 1컷...
-
맞팔 ㄱㄱ 2
ㅈㄱㄴ
-
ㅈㅈ하게수학은그게더가망있을지도멀라
-
갈까말까
-
풀만함?
-
닉넴투표좀 3
뭐하지
-
스크랩 0
-
이론상 가능 5
그게 뭐든
-
10시간 안에 빡빡 욱여넣었더니 물리적으로 부족함
-
늙었군
-
커플이랑 여자애들끼리 있는 사이에 들어가서 헤비랑 인생네컷 찍고왓음 손하트도 했어
-
2409는 15 22 둘 다 수2였는데 반대는 왜 안 됨...
-
씨발!! 재수 각이다
-
과제할겸 0
과목 하나 통으로 공부했는데 6시간 지났네 오늘 과제만 할까?
-
대체복무가 좋은것 같기도 하고 3년은 에바같기도 하고 흠
-
킬캠 해모 샤인미
-
수는 뭐 괜찮고 국영만 올리면되는데
수준: 사물의 가치나 질 따위의 기준이 되는 일정한 표준이나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