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도 이해 가능한 복소수와 회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46513
일단 우리가 물2를 배울때 가장 처음에 배우는 실전기술이 "축을 자유롭게 잡을수 있다" 인데, 이는 2차원 기준으로 어떤 축을 잡아도, 어떤 점에 대해서 상대적인 좌표는 다르게 표현되도, 그 절대적인 좌표는 같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음.
그리고 이미 실수가 수직선위에 나타낼수 있듯이, 복소수 a+bi는 숫자의 종류가 2개로 늘어났으니까 수직선대신 수지선 2개를 크로스해서 만드는 평면위에 나타내어야 함.
이렇게 복소수를 평면위에 나타내는것을 복소평면이라고 부르는데, 당연히 a+bi는 (a,b)로 나타남.
그렇다면 여기서 저 검은축을 적당하게 회전시키면 빨간축이 된다고 볼수 있음, 이때 검은축 기준으로 (1,1) 인 점을 회전시킨 점은 빨간축 기준으로는 (1,1)에 위치해 있지만, 검은축 기준으로는 어디에 위치해 있는가? 라는 질문이 생김.
이질문에 대한 답은 복소수의 곱셈이 해결해 줌.
저 검은축은 결국 1(앞)과 i(위) 라는 것을 "기준"으로 앞으로 1번, 위로 한번 이동한 점이라고 볼수 있는데,
마찬가지로 저 빨간점도 회전당한 무언가(앞), 회전당한 다른무언가(위)를 기준으로 앞으로 1번, 위로 한번
이동한 점이라고 생각할수 있음, 결국 "회전당한 무언가들"을 1과 i로 표현해야함, 하지만 이는 너무 간단하게
해결할수 있는데, 애초에 우리가 회전한 각만 알면 바로 기준이 되는 축이 어디인지를 알수있음,
이렇게 기준이 되는 1과 i를 단위원을 이용해 표현하면 직관적으로 알수있음.
여기서 조금만 생각을 해보면,
임을 알수있는데 결국 (a,b)를 각 θ 만큼 회전시키려면,
를 해주면 된다는걸 알수있음!(회전된 점의 좌표는 ((acos(θ)−bsin(θ)),(asin(θ)+bcos(θ)) 임.)
여기서 추가적으로 알수있는 사실은
이니까.
의 모든 근을 찾으라는 문제는 결국, "n번 회전해서 0도로 돌아오는 각은 얼마인가"로 볼수 있기에,
(이때 k= 0,1,2...n-1)
라고 일반화가 가능함.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직도 비오네 3
그래도 나갔다와야지
-
아
-
눈나,,,
-
아수라 독서 3
총정리과제 계속 풀면서 독서 개털리고 있는데 나만 그런건가ㅜ 어케 해도해도...
-
내가 돌아왔다 2
카러플 하다 돌아왔다 으하하
-
가계도를 살짝 알게된 것 같다...!! 내일도 화이팅
-
심심해서 수2 합성함수 추론 문제를 만들었는데 제 친구들 중에서 푼 친구들은...
-
그럼 수능이 며칠 연기되지 않을까
-
뭐가 더 윗급인지
-
6모 9모를 안 보면 됨
-
ㅅㅂㅋㅋㅋㅋ
-
그것은 바로 라봉이
-
사설과 평가원을 골고루 풀며 생각해서 내린 결론이다. 사설이 간과하고 있는 평가원...
-
(다)에서 몰농도비 과조건임? 내가 뭔가 놓친건가 해설쓰다가 (다)에 몰농도비...
-
이거 맞나… 맞겠지..?
-
이륙했어요! 4
덕코수금이짭짤해요!
-
미루고미루다 2
12시에 추석 할인 끝나는데 이제야 에이블리 들어가서 옷 주섬주섬 발굴 중임다...
-
새해복많이받으세요
-
이상해요! 3
컴퓨터에서 오르비를 들어오면 팔로우 알림을 눌렀을 때 제 프로필이 나오는데...
-
지1 파이널 2
엄기은 vs 이훈식 누가 더 좋음? 나는 지금까지는 이훈식들었암
저거 고1때 썼었는데
복소평면
어둠의 스킬로 쓰이는 소재긴함 여기서는 회전이 왜 곱샘인지 생각해보는거가 포커스
여기서 실수배까지 하면 나선변환
많은 좌표계중에 복소평면에서 기하학을 할 때 압도적인 장점 , 회전이라는 연산이 그저 곱셈
캬
“물2를 배울때” 보고 바로 내렸습니다
국어강사.추천.당장.
가사는 사미인곡이죠
ㅅㅂ나만 머리에 든거 없지
고수) 아 수학에뻐진컴싸는 글을 못쓰는구나!
이제 봣는데 왜 뻐진임요
오타임뇨
님이 올린 것 중에 처음으로 이해함

기존의 형식으로부터 자유롭게 해주는 애들이 뭔가 좋음흠..생윤이나 해야지
어허
와! 드 무아브르!
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