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수학 실모 사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38152
팔로우 후 읽기 국룰
안녕하세요 반수고트입니다.
오늘은 수학 실전 모의고사를 어떤 태도로 대하여야 하고, 어떠한 학습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
1. 풀기 이전
실전 모의고사 또한 N제와 마찬가지로 본인의 실력과 비슷하거나 약간 더 어려운 난이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 체감에 따른 실전 모의고사별 평균 난이도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세부적으로 더 나눌 수도 있었지만, 대부분 25학년도에 푼 것이라 기억이 희미해 러프하게만 작성합니다.
上 난이도: 스피드러너, 킬링캠프, 강철중 모의고사, 샤인미 모의고사, 강대모의고사K
下 난이도: 히든카이스, 더프리미엄, JMT 모의고사, 이해원 모의고사, 설맞이 모의고사
그렇다고 해서 무작정 上 난이도 혹은 下 난이도만 푸는 것이 도움이 되지는 않습니다.
수능 당일 시험지가 어느 쪽 난이도로 나올지 모르기 때문이죠. 따라서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며 실모를 선택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성적대별 추천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정 1등급: 上 난이도 7 : 下 난이도 3
1~2등급: 上 난이도 4 : 下 난이도 6
2등급: 上 난이도 2 : 下 난이도 8
3등급 이하: 下 난이도 10
또한 “실모를 일주일에 몇 번, 한 달에 몇 번 푸는 게 좋을까?” 하는 질문도 자주 받습니다.
이 역시 성적대별로 기준을 제시드리겠습니다.
고정 1등급: 1일 1~2
1~2등급: 1~2일에 1회
2등급: 1주일에 2~3회
3등급 이하: 1주일에 1~2회
2. 실전 모의고사를 풀어내며
실전 모의고사를 풀 때 가장 중점을 둬야 할 부분은 무엇일까요?
많은 학생들이 “준킬러 연습”이나 “2~3점 완벽히 맞히기”를 떠올리지만, 저는 시간 관리 및 운용 능력에 가장 큰 비중을 둡니다.
평소에는 잘 풀리던 3점 문제에서 막힌다면, 미련 없이 다음 문제로 넘어가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또한 준킬러를 풀다가 풀이 방향이 잘못되었음을 깨달았다면, 그 문제를 과감히 넘기는 연습도 필요합니다.
이런 훈련은 N제에서는 할 수 없고 오직 실모에서만 가능한 연습입니다.
이제 문제를 넘기는 연습이 어느 정도 익숙해졌다면, 시험 전체 운용 연습을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최근 평가원은 난이도 순으로 문제를 배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내가 풀 수 있는 문제”부터 푸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그게 9번, 10번 문제라 하더라도 풀 수 없는 문제는 과감히 버리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3. 응시 이후
우선 채점을 해야겠죠.
단, 못 푼 문제는 바로 채점하지 말고, 먼저 다시 풀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람 심리가 그렇습니다. “찍맞도 맞”이라 생각하며 오답을 대충 넘기기 쉽습니다.
한 문제당 5분 정도 고민해도 답이 안 보인다면, 그때 답지를 봐도 늦지 않습니다.
또한 맞은 문제도 반드시 답지를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대부분의 수험생은 수학을 100%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풀이를 하거나 숏컷을 놓치기도 합니다.
따라서 “아, 이런 풀이도 있구나” 하는 식으로 풀이 효율을 배우는 학습을 하시길 바랍니다.
틀린 문제를 오답할 때 풀이 자체를 외우는 학습법을 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1~2월이라면 그런 방식도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수능까지 39일 남은 지금 시점에서는 비효율적입니다.
지금 필요한 건 “어떤 풀이를 떠올리지 못했는가”, “어디서 실수했는가”를 찾는 공부입니다.
즉, 막힌 부분만 답지를 확인하고 그 이후는 직접 다시 풀어보는 연습이 더 효과적입니다.
수학 실전 모의고사는 국어 실모보다 현 위치를 보여주는 지표적 성격이 강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평가원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실모 점수에 일희일비하기보단, 틀린 문제가 나왔으면
“내가 모르는 걸 미리 찾아냈다”는 생각으로 기뻐하시고,
점수가 잘 나왔다면 “내 실력이 올랐다”는 점에 만족하셨으면 합니다.
우울함에 잡아먹히기엔, 우리에게 남은 시간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칼럼 주제는 댓글로 추천 받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ㅇㅇㅇㅇ
-
현대시나 고전시 산문같은거 풀때는 원래 심찬우 선생님이나 범작가선생님처럼 약간 감상...
-
내 약혼자???히힣
-
두가위 세가위 네가위도 보내시지요 옯하하하
-
수학을 얼마나 잘하는거임? 난 누가 깔끔하게 만든거도 못푸는데..
-
대충대충 풀긴 힘드네요 확실히 잘 만들었다 싶어요
-
그러나 ENTP는 믿습니다
-
초밥을시켰던거였어
-
레어 4
샀다..
-
우웅... 9
우웅..
-
우산들고 내려가서 씻기까지는 귀찮아서 걍 냉수마찰 조지고왔음 연휴때 이게 무슨 일이냐... 하
-
kya 11
-
치킨왓다 7
드디어
-
가끔씩 부정적인 감정에 빠지고 그 감정을 해소하는것조차 싫어질 때가 있을거에요...
-
아직도 나를 그렇게 몰라~
-
수핟에 시간 뺏겪네
-
이사람이 댓글 달면 무슨 의도로 다는건지 보이는데 괜히 돌려서 기만 소리 들으려고...
-
근데 걔는 수능 닷지함
-
아무나 가조건 확인좀 ㅠㅠ
-
앞으로 살 실모 0
설맞이 즌2, 이해원 파이널, 오지 s4, 사만다 final ㅁㅌㅊ?
-
시대적인 반영 싹 빼고 봐보죠. 그렇게 보면 갠적으로 전 260928이라 생각함뇨.
-
일단나부터
-
올해는 강엑스가 더 어렵다는 평이많던데 맞나요?
-
이거 상황 해석을 어떻게 해야되나요 ㅜㅜ
-
나의 외적이상형 7
김기현 한동훈같이 안경쓰고 똑똑한사람 칙한사람
-
배고파
-
조건 A를 만족시키는 모든 실수 x값의 범위가 닫힌구간 2,3이면 2,3 바깥의...
-
학고반수는 1학기 학사경고 2학기 휴학을 말하믄건가요? 반수는 1학기 학교 다니고...
-
이제 공부해야지 0
풀휴식 때리고 이제 앉았다.. ㅎㅎ
-
저메추 부탁 6
집단지성이 필요해요
-
그냥 모의고사 중간에 쓰레기통에 버려버리고 내가 그모의고사를 푼 기억을 없앰 멘탈...
-
국어 5, 수학 15,사문 앞으로20회분정도 풀거같은데 어떰요
-
굿아이디어~^^
-
국밥 실모 몇개만 추천부탁드립니다 작년에 수학은 강x 설맞이 이해원 맛있었던거 같고...
-
많고 많지만
-
공부하겠슴
-
휴 4
오늘 똥머리로 묶었는데 너무 높게 했는지 머리 빠지는줄 알앗다 푸니까 좀 낫넹
-
놀랍게도 1999년 뉴스임
-
6월달부터 교대반수 이후 서성한에서 연고대 정도로 성적이 많이 올랐어요 근데 갑자기...
-
이정도면 쉬운편임? 나만 어려운건가
-
추석 애비가 온다라니 어떻게 애비라는 말을 쓰죠 수준 떨어지는 듯 ㄹㅇ 옯하하하하
-
난이도 어떠신가요?? 풀때마다 다른 모고보다 상대적으로 점수가 높게 나와서 그냥...
-
비교해주세요
-
얘는 걍 상대안해야할듯 62
가오는 한마디에 긁혀서 분노의 타이핑 ㄷㄷㄷ 차단이요 수고링 빠빠
-
투표는 수정이 안되길래 다시 올려봅니다
-
확정 1등급만 뜨면 최저 개날먹인데 절평주제 맨날 88~90 이따구로 떠서...
-
후기들이 ㅎㄷㄷ하네요
-
우리집이 큰집이라서 옆집에서 친척들이 인사드리러옴 방금 예쁘장하고 인싸느낌 나는...
선팔후감
캬
필력 증말 좋노
개추
9모 확통 4등급인데 9152122하고 선택282930 틀렸습니다..그냥 기출만 시간재고 풀면 되겠죠..?
굳이굳이 다른 걸 볼 필요는 없을 거 같기는 합니다
확통을 우선적으로 학습하셔요
확통 일단 기출 나온 282930만 주루룩 풀면 될까요? 아니면 개념도 같이한번더 봐야할까요
여건 되면 둘 다 하시면 좋죠
답변 감사합니다! 공통은 저도 실모병행이 필요하다고 보시나요?
하프 모고라도 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히카 더프 이해원 설맞이 풀거 개많네~~~
범모 강게이는 나중에 보자...

기하 3~4등급 진동인데 기하 개념이 숙지가 덜 된 상태입니다.. 공통에서 보통 14 15 20 21 22 틀리고 기하에서는 빵꾸난 부분 4개정도 중구 난방으로 틀리는데 현 시점에서는 그냥 기하 3점 다 맞기 공통 4개틀리기 해서 72만드는게 최선이겠죠?ㅜㅜ아무래도 그럴 거 같습니다
72점 계획은 가능성 있을까요?
쉬4를 다 맞히는 실력을 기르는 정도까지는 아직 시간이 남아있다고 생각합니다.
9모 공통 13,15,21,22틀인데 난이도 하 실모 풀어도 되나요? 기출은 계속 돌리면서 병행할려고요

그 정도면 풀어봄직 한 것 같습니다칼럼 정말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혹시 강x나 김범준 모의고사 난이도는 어느정도로 보시는 지 여쭤볼 수 있을까요?
강x는 올해 꽤 어렵다고 들었고 김범준 모의고사는 제가 풀어본 적이 없어서 말씀 못 드릴 것 같아요
답변 감사합니다!
수학실모는 그렇다치고 ㅇㅈ다봤어요. 양치하고 잘게요
실모 엔제 비중 어떻게 보시나요? 최근 1일1실모만 하면서 수학 공부량을 줄여왔는데 실력 유지만 되지 상승은 느껴지지 않아서 1주일 중 3~4일 실모 치고 남은 날은 고난도 엔제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바, 평가원 백분위 97~98 나오는 편입니다
6:4 ~ 4:6 사이 비중 추천드립니다
미적기준 쉬운 실모는 96 100 나오는데 어려운 실모는 88정도 나옴 뭐 풀어야함? 평가원은 미적기준 88~92 나오는거 같은데 확통으로 틀었음
스러너 낫배드에요 한 번 드셔보삼
작년인가 제작년에 푼거 같은데 좀 빡셌던거 같음 ㅠㅠ
근데 형님 정도 실력이면 그정도 모래주머니는 괜찮지 않나 싶은데...
여기 하로 분류돼도 기본적으로 평가원보단 대부분 빡빡할듯
사설기준 하 : 1컷 84~88
사설기준 상 : 1컷 77 언더
보통은 81~84 정도가 제일 흔한듯 미적기준
애초에 평가원보다 모든 실모가 다 어렵죠
그래서 사설기준으론 상,하 지만 수학실모 세트로선 상상 vs 상 인듯.. 상상 이상 난도 시험지는 솔직히 실모로서 효용이 좀 떨어진다고 생각해요
저도 꽤 논란이 있었던 모 모의고사처럼 극상의 난이도는 실모로서의 가치가 높나 싶긴 한데... 최상 정도 난이도 실모는 수능장에서 운용이 꼬였을 때 감정 느끼기엔 좋을 거 같다고 생각해요
미적 높3인데 강대 써킷 풀면서 기출 복습은 어떨까요 선생밈
굳이굳이 써킷...
써킷 굳이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하프는 이미 진작에 했어야하고 지금은 늦었다고 보시는걸가요?
그렇다기보다 높3에 준킬러만 있는 모의고사를 푸는 것이 맞나? 라는 생각입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실모 풀 때 최저 점수 확인을 위해 시험시간 끝날 때까지 최종적으로 못 푼 문제는 그냥 체크를 안 하면서 공부하고 있는데 이건 괜찮은 방법인가요?
실제 시험에서는 당연히 찍어야겠지만요
멘탈이 받혀준다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실모가 전반적으로 평가원보다 어렵다는 말씀에 동감하는 입장으로서 봤을 때 그건 문제 없습니다! 감삼다

이해원 난이도 하???? 1컷 70점대던데요...아 시즌3는 좀 논외긴한데 시즌별로 나누기엔 제가 능력이 안 돼서... 시즌3는 상 맞다고 생각합니다
미적 사설 풀면 보통 92-100나오는데 지금 풀고있는 것들이 하 난이도가 대부분이네요.(jmt 해모 등)
상 난이도 모의고사 비중을 늘리는 것이 좋을까요? 어떤 게 좋을지도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조와 좀 안 맞긴 해도 스러너 꽤 난이도 있고 해모 시즌3나 킬캠 시즌1도 어려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