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황분들 질문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35853
그가 그녀를 생각했을 법하다
여기서 ‘법하다’는 의존명사 ‘법’에 접미사 ‘하다’가 붙어서 만들어진 용언이고,
이때 앞에 있는 ’생각했을‘은 관형어로서 뒤에 있는 ’법하다‘라는 용언을 꾸며주는 것인가요?
원래 관형어는 용언 못꾸며주는데
갑자기 개념이 흔들리는 느낌이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큰 문제가 안 되는 경우를 많이 봤는데… 이렇게 생겼는데 이런 여자랑 만난다고?...
-
사실 지금 똥글싸는건 우주에 둥둥 떠다니는 뇌의 망상이였던거임
-
전 4리터 정도 마심
-
난 씨 디만 먹는데 효과가있는지모르겠어
-
내가 당하는쪽으로
-
ㅇㅈ 3
탕
-
본인이 수시0장 9
순혈정시파이터면 개추ㅋㅋ
-
서울대 재수생 5
서울대는 재수생을 싫어한다는말이 정시도 포함인건가요ㅠㅠ?
-
실력은 올랐는데 수능날 미끄러지면 진짜 개눈물 나는거 아닌가 최상위권 n수생들한테는...
-
실모풀고왓음 7
개념 2틀 45 하지만 빨랐죠?
-
라면추천! 2
농심인가 미역국라면이라고 있는데 맛있음
-
37000원이나하냐
-
나랑친구해줘 2
나온라인친구가없서
-
현실적인 게 맞음? 4시간 수면 연속 5일 하니까 돌아버리겠던데 진짜 체력이 조온나...
-
2주만에 건드니까 37 31 ㅇㅈㄹ 전두엽 갈린줄
-
아
-
마왕님
-
궁금..
-
16-21학번 정시보면 12311이 건대가고 31113이 외대 갔다던데 컷이 왜케 높아?
원칙적으로 못 꾸미는 게 맞아요. 그래서 예외적인 경우입니다
'법하다', '듯하다', '성싶다' 등이 보조용언이라서 그래요. 의존명사+하다/싶다 구성이 어원인 것은 본래
할 법 하다
하는 듯 하다
이렇게 쓰였는데 국립국어원에서 '법하다', '듯하다' 등을 한 단어 즉 보조용언으로 취급하면서 관형사형과 어울린다는 즉 용언의 특성과는 어긋나는 경우가 생긴 겁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역시 예외였군요
아 참고로 국립국어원에서는 관형어가 아니라 본용언+보조용언이라 괜찮다고 설명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관형어가 안긴 문장이 아니라 본+보의 홑문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