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921(나형)-'마찬가지로'의 사용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24445
**우선 이 기출에 대해 논하기로 앞서, 다항방정식이 x=a의 중근을 가질 때, 이 다항식이 (x-a)^2을 인수로 가지고, 이 역도 성립함은 매우 쉽게 증명할 수 있다. 대우를 활용하여, 다항방정식이 x=a라는 '중근이 아닌 근'을 가질 때, 이 다항식에서 인수 (x-a)의 개수는 오직 1개라는 사실도 증명할 수 있다. 역도 마찬가지.
연속함수 f(x)의 x=a에서의 좌미분계수(이하 좌미)를 lim x->a- f(x)-f(a)/(x-a)로 정의하며, 우미분계수(이하 우미)를 a- 대신 a+를 사용하여 정의하겠다. 미분가능의 정의에 의해, 연속함수가 좌미=우미일 때 미분가능하다.
일단 아주 간단히만 말하면, 노가다성이 좀 있긴 하지만 요즘 나올때 킬러까진 못 간다. 그 이유 중 하나가 "마찬가지로"의 사용으로, 노가다의 양을 많이 줄여주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는 수능에서도 가끔씩 쓰지만, 논술에서도 (특히 확통) 간간히 쓰는 말인데, 유사한 과정을 반복할 때 쓴다. 밑은 임의의 상황을 가정하여 예시를 들어본 것이다.
----------------------------------------
(~~과정~~)
따라서 p=3일 때 경우의 수는 253이다.
마찬가지로,(또는 동일한 방법으로,) p=4일 때 경우의 수는 72이다.
~~~
----------------------------------------
170921에서도 "마찬가지로"를 활용하여 노가다량을 꽤나 줄여줄 수 있다. kx^2(x-2)(x-3)일 때와 kx(x-2)(x-3)^2일 때 중 하나만 우선 봐주고, 나머지 하나는 똑같은 과정으로 증명할 수 있다. [0,2], [2,3] 둘 중 하나에서만 봐주면 되기 때문이다. 심지어, f=kx(x-2)^2(x-3)일 때도 대부분의 과정을 단축시켜줄 수 있다. '안되는 경우만' 모두 제거하였기 때문에 나머지 경우는 당연히 '되는 경우'일 것이며, k의 범위를 구할 때는 사실 편법을 써도 무방하다.
애초에 g(x)를 f(x)와 lx(x-2)(x-3)l의 대소 비교를 통하여 정의했기 때문에, f(x)의 실근이 0, 2, 3뿐인 상황에서 나머지 한 근이 허수일 수가 없다. 따라서, f(x)식은 kx^2(x-2)(x-3)일 때와 mx(x-2)(x-3)^2, nx(x-2)^2(x-3) 중 하나여야만 한다. (단, k, m, n은 음의 상수이다.)
f=kx^2(x-2)(x-3)라고 하자. 명백히 lx(x-2)(x-3)l>=0이므로, (-inf,2], [3, inf)일 때는 무조건 g=f임을 알 수 있다. 다항함수는 항상 미분가능하므로, g가 미분가능하기 위해 [2,3]에서 미분가능함이 밝혀지면 g는 전구간 미분가능하다. 이때 항상 (좌미)-(우미)=0임을 이용하겠다. 2<=x<=3라고 한정하고, f-lx(x-2)(x-3)l=x(x-2)(x-3)(kx+1)이다.
f의 미분계수를 관찰하면, -1/2와 -1/3를 경계로 k의 범위를 나눠 확인해야 함을 생각해 볼 수 있다. k<=-1/2일 때, [2,3]에서 언제나 g=-x(x-2)(x-3)이다. x=3에서 g(x)의 좌,우미를 통해 미분가능성을 확인하면, -3과 9k는 절대로 같아질 수 없으므로, 무조건 x=3에서 미분 불가능하다.
-1/2<k<-1/3일 때는 방정식 kx+1=0이 2<=x<=3에서 근을 '오직 하나' 갖고, 이 근은 0도 2도 3도 아니다. 따라서, f(x)와 절댓값함수가 2와 3 사이의 어떤 점에서 무조건 만나며, 접하지 않는다. g(x)의 정의상 x=-1/k에서 좌미와 우미가 같지 않으므로, 이 점에서 미분 불가능하다.
k>=-1/3일 때는, 항상 f<=절댓값함수이므로 g=f이다. 따라서 g는 다항함수이므로 전구간 미분가능하다.
f(1)=2k이므로, f(1)의 범위를 구할 수 있다.
f=mx(x-2)(x-3)^2일 때는 x의 범위를 [2,3] 대신 [0,2]라고 한정하여 m의 범위를 구하면 k>=-1/3이다. f(1)=-4m이므로, f(1)의 최댓값은 4/3이다.
f=nx(x-2)^2(x-3)일 때도 동일한 이유로 f=(절댓값함수)의 근이 (0,2), (2,3)에 존재할 수 없음을 알아낼 수 있다. 0<=x<=2일 때 f-(절댓값함수)=x(x-2)(x-3)(kx-2k-1)이고, 2<=x<=3일 때는 f-(절댓값함수)=x(x-2)(x-3)(kx-2k+1)이다.
처음 경우와 매우 비슷하게 n의 범위를 구하면, n의 범위는 n>=-1/2이고 f(1)=-2n이므로, f(1)의 최댓값은 1이다.
따라서 f(1)의 최댓값은 4/3이다.
설마 누구?마냥 인수분해가 완벽하게 된 꼴의 삼차부등식을 못 풀진 않겠지... 나보다도 수학 더 잘할 것 같다고 했는데 설마 x(x-2)(x-3)<=0의 해를 못 구할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앵커] Q. 정치부 남영주 기자와 여랑야랑 함께 합니다. 첫 번째 주제...
-
투과목 공부해보고싶자너
-
" 오르비 글쓰기 " 뭐야 왜 해외인데 됨
-
학교 틀린 문제 다시 풀어보면서 검토하는중에.. 이상하다고 느낀 문제가 있습니다....
-
9모가 화학을 조져서 서울대 표점 기준 390 초반인데 하위과라도 갈 수...
-
대체 어째서 그 누구도 이의 제기를 하지 않았던 거지 6
https://orbi.kr/00074917338
-
수완 연계 만약 그러한 가능세계에서 내가 출제자라면 EBS는 CBDC 제도적...
-
모래주머니 체감 지림 적중예감은 어디서 또 낚을까 이건 또 부정형일까 내가 경우 다...
-
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발제...
-
평가원 기출분석 끝나서 다른 컨텐츠도 한 번 풀어보고 싶은데 국어 비문학 퀄리티는...
-
작수보다 확통이 더 쉽게 나오면 20분컷 가능? 불가능?
-
그리고 지금도 무너지는중..
-
수학 고정 2등급은 진짜 본적이 없는듯 1등급보다 2등급이 3배는 더 많은데도 수학...
-
팩트)다
-
때는 바야흐로 2년전 고1오뿡이는 나름 행복한 생활을 보내고 잇엇음 연락하던 선배도...
-
오늘의 실모 3
한수 9차:97 한수 파이널 괨찮넹 수학 서바16:96 이명학 파이널...
-
전 20년 넘게살면서 공항 근처도 안가봄... 진짜 비행기타고 구름위 한번...
-
미적에 사탐 두개해서 갈수잇어요? 성적 어느정도여야댐
-
수학 68~72(높4~3컷) 나오는데 12번까지는 풀고 나머지 다 찍고..20 21...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