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모 22번을 통해 평가원이 말하려던게 아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06934
지금까지는 많은 수험생들이 '문제에 주어진 식이나 함수를 있는 그대로 해석하려는 태도'로 접근했다면 이제는 '주어진 값들만을 보고 그 값들이 만족할 수 있는 식이나 함수를 떠올리려는 태도'를 요구하겠다는 경고 아닐까요
단순히 지수함수를 어렵게 내겠다는 의미가 아닌 것 같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공명 나오는거 이거 씨발 어려운거 맞음요?
-
어 어라 서.. 서창?
-
아
-
오천덕을드립니다.
-
물2만 있어서 괘씸했거든요에마침 2과목 운지한김에 노무현모의고사=수학모의고사로 만들어놔야지
-
남친생기고싶다 6
뭘 해야하지
-
기만하고싶은디 4
떠오르는거없댜
-
오르비 왜 이럼
-
기지개 핌
-
아 옷 젖는 거 좆같은데
-
무휴학 반수 중인 아이가 지난 번 6모에 이어 9모를 봤는데, 오늘에서야 성적을...
-
근데 궁금한 게 15개정 때 수능에 문법 제외하려니까 국문학계에서 지랄했는데 6
미적분 제외하는 거는 왜 수학교육계에서 별 반응이 없는 거 같지...
-
그런 가능세계
-
저 살면서 고백받은 적 한 번도 없음 ㄷㄷ
-
평점 작살나네
-
귀환날짜 ㅈㄴ 비싸게 목요일로 잡아놨더니 갑자기 금요일날 휴강한다네 오늘 내가...
-
ㅅㅂ.. ㅋㅋ..현타오네
-
비 맞늕ㅇ
-
냥대 ㄱㄴ? 화확경제사문임뇨
9모 21번도 그렇게 해석해서 풀잖아여
9모 21번이 그런 해석이 있나요? 제가 아는건 그냥 미정계수 두고 대입한 후 그래프분리해서 개형추론하는 방법뿐인데요..어떤 값들만을 보고 그 값들이 만족하는 함수나 식을 떠올리는 풀이는 아니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