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수능 영어 21번 이상한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06680
과학자들이 최근들어 농부,어부 같은 비전문가들의 의견도 종합한다하고 그래서 우리의 믿음은 제한되어야 한다고 말한 다음에 맹목적 믿음은 좋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믿어라라고 한 뒤 (밑줄)을 알지 못하면 우리는 마비될 것이다라고 했는데 이게 어떻게 4번이 아니라 2번이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목표에 달성 못할 거 같다는 생각이 드니 저런 생각이 자꾸 드네요..
-
어좃모 언매 출제 담당이었는데 확실히 뭔갈 많이 아는 거랑 문제를 만드는 거는...
-
고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는 11시간짜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동영상 ㅋㅋ
-
ㅅㅂ ㅋㅋㅋㅋㅋ 1
-
엉엉
-
FUCK
-
한화 불펜 뭐임 3
쓱전 콱전 둘 다 왜저럼 ㅋㅋㅋㅋㅋ
-
맨날 술이나 쳐먹는 노숙자는 안내는 것은?
-
마크나 io게임하고나면 항상 어지러움
-
신기하다
-
좀 알려주새요ㅠㅠㅠ
-
나중에 다시 올려야지
-
1339063 3
1339063
-
퀘쳄 데스메치 마렵네...
-
ㄱ 보기가 왜 틀렸지? 일에너지 정리에 따라 40N x 1m = 40 이 만큼...
-
승리쌤 미안해요 3
유튜브를 지우려해도 밥먹을때 유튜브는 포기할 수 없어요
-
넹…
하지만 어느정도의 신뢰가 없다면 마비될 것이다.
이때 어느정도의 신뢰는 전문가를 향한 것이라서, 4번 선지의 lay people이 틀림
최근 들어서는, 전문가들도 비전문가들의 경험을 정보로 수용한다. 즉 한정된, 특정한, 구체적인 정보에 한해 믿어야 한다. But 그렇지만 전문가들에 대해 기본적으로 어느 정도는 믿음을 가져줘야 우리의 일상이 마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당장 오늘 학교가도 되는지 말이다.
아 전문가들마저 우리를 믿어주니까 우리도 믿어주라는 말인가요?
서로 믿어주라는 맥락이 아니에요
But 나오기 전으로는 이러저러하니 맹목적으로 믿는 건 안좋다는 말,
But 나오고부터는 그래도 전문가들이 그 분야에 헌신하여 얻은 지식들이고, 아예 안믿으면 일상생활이 마비되니 믿긴 해야 한다는 말
그럼 But 전에 이제는 전문가들도 비전문가들의 말을 종합해서 평가하니 맹목적으로 믿지말고 부분적으로 믿어야 한다는 말은 왜 한거죠? 글에서..
출제자의 입장에서는 역접으로 된 글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려고 했을 겁니다.
글쓴이의 입장에서는 비전문가들의 경험도 자료로 활용하게 된 현상황에서 전문가들에 대한 신뢰가 떨어질 것을 우려해 '전문가들은 믿을만하다'는걸 주장하고 싶어 독자들을 납득시키려고 역접을 활용했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