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일이 이해시키기 게임하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88016
기울기 그래프 개념에서 변곡점을 지나는 지점의 기울기 그래프는 똑같이 변곡점을 갖게되고, 그 지점에서 미분 계수가 0이잖아요,,, 이걸 그냥 외워야되는건가요 뭔가 느낌으로는 알겠는데, 설명을 못하겠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7모 노베25 -> 9모 45점 굿 물리 했으면 1등급은 꾸도 못 꿨을듯 자랑할때가...
-
무휴반 생각보다 힘들다..
-
근데난이도 정시>>>>>>>>>>수시 이거맞는거같은데 2
다만, 머리좋은데 걍 날먹하고싶은사람에게는 수시>>>>>>>>>>>정시
-
있냐
-
나도 친목질좀 해보자
-
. 11
-
자야겠다 7
가능
-
잡니다람쥐 5
9시 기상 해야됨 진짜
-
닉변 너무 많다 11
누군지 모르겠엉
-
알면 좀 알려주라
-
심장마비로 죽은 거니까 추모해라
-
우와아아악 범람한다!!! 그의 딜도힐도!!!!!
-
보고싶다 6
무척이나
-
뭔 야동 질문이랑 딸치는 댓들이 달리노 이 근본없는 커뮤
-
유전공학 기술 개발해서 좋은 유전자만 태어나게 해주면 안되냐 왜 나한테 고통을...
-
있을까 대부분 받으려나
-
굿밤 5
ㅇ
-
그러함
-
대구 여기는 자국민도 노예로 부리는 그들만의 세계이기 때문에 외부 세계와 10년정도...
-
나만 삽입으로 봄?
최대 최소 느낌으로 받아들여보세요 이런느낌은 있는데 명확하지 않다는건가
극대 극소로 그려지는 기울기 함수는 딱 알겟는데 변곡접선이 있는 기울기 그래프는.. 그 지점에서 미분 계수가 0이 된다는게 아 왜지 접하니까 그런 것 같긴한데 근데 왜지 ㅠ 싶어요 ㅜ…
기울기 그래프의 변곡점이 아니라
극점 아닌가요
이렇게요…
앗힝 죄송합니다
에이 뭐가 죄송해요 ㅋㅋㅋㅋㅋㅋㅋ 이것때매 ㅈㄴ 진도를 못 나가고잇어요 시발 하하! 스트레스 좆된다
기울기랑 원래 그래프가 접하면
기울기 그래프가 극대 또는 극소인데
(기울기가 증가하다가 감소하거나
감소하거나 증가함)
원래 함수가 변곡점을 가지는 경우
기울기랑 원래 그래프가 접하더라도...
기울기가 쭉 증가하거나 쭉 감소하니
1. 극대또는 극소를 가지지않아야하는데
2. 미분계수가 0인 지점을 거쳐야하니
변곡점을 가지게된다.
라고 이해하는게 좋을거같아요
1. 0,0과 x,fx를 이은 직선이 fx와 접하는경우
그 지점에서 기울기 그래프는 극대 또는 극소를 갖는다
= 여기서 직선과 함수가 접할때 기울기 그래프의 미분계수가 0이 된다는걸 확인 가능
2. 근데 변곡점을 가지는 함수에서는 기울기 그래프가 증감이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기울기 그래프는 미분계수 0인 지점을 가지지만 증감은 유지해야하므로 변곡점을 가진다.
근데 내용을 암기하거나 이해하려하기 보다 그냥 문제에서 0,0과 x,fx를 이은 직선의 기울기를 함수로 줄때 기울기 그래프를 스스로 그려볼수 있겠는가에ㅠ초점을 맞춰서 공부하면 좋을듯

오!!!!!!!!!!헉 이해됐어요 진짜로 이해됐어요 감사합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