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체는 영어 칼럼] 귀멸의 AI 칼날과 클래스 강의의 칼럼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73712
...칼럼을 쓸 수 없어요...!
...
*(갑자기 분위기 영어 칼럼)
수험생을 위한 문해력 해부도감: 독해의 경중을 가려 핵심을 꿰뚫는 법
복잡하고 긴 수능 영어 지문을 읽을 때, 모든 문장에 동일한 힘을 주어 읽는다면 정보량이 너무 많아져 내용을 가져가기 힘듭니다.
효율적인 독해를 위해서는 가볍게 봐야 할 부분(세부 정보)과 무겁게 봐야 할 부분(핵심 정보)을 명확히 나누는 '경중을 가리는' 태도가 필수적입니다. 다음은 수험생 여러분이 독해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전략들입니다.
1. 문장 구조를 재해석하여 핵심을 바로 잡자
단순히 영어를 한국어로 옮기는 직역에서 멈추지 않고, 문장이 실제로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째, 수동태를 능동태로 바꿔보세요
영어의 수동태를 한국어로 직역하면 표현이 어색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동태 문장을 접했을 때, 주격 조사(은/는/이/가)를 목적격 조사(을/를)로 바꾸고, 수동 표현을 능동 표현으로 바꾸어 해석하면 의미가 훨씬 자연스러워집니다. 예를 들어, "카레는 먹어질 수 있다"는 문장보다 "카레를 먹을 수 있다"는 문장이 핵심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합니다.
둘째, 보어와 목적격 보어에 집중하세요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로 쓰는 문장(주어+동사+ 목적어+목적보어 to부정사) 구조에서
핵심 정보는 '주어가 동사했다'는 사실보다는 '목적어가 to부정사 하도록 해 준 이후의 내용'에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문장에서 목적어를 주격(은/는/이/가)으로 처리하여 이 부분이 핵심 정보라고 생각하고 읽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가주어(It)나 가목적어(it) 구문이 나오면 앞부분은 중요하지 않으며, 보어 부분이 강조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보어는 주로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므로, 필자가 자신의 견해(좋다/나쁘다 등)를 드러내는 코멘트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2. 세부 정보와 잡음(Noise)을 걸러내는 기준
모든 텍스트를 무겁게 읽으려는 태도를 버리고, 어떤 정보에 힘을 빼야 할지 명확한 근거를 마련해야 합니다.
첫째, 강조를 위한 장치에 힘을 빼세요.
복합관계사(Whatever, No matter how 등)는 내용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현이므로, 이 부분은 안 읽어도 되는 정보에 해당합니다. 이와 유사하게, 자신의 말에 권위를 부여하기 위한 인용이나 권위자의 이름(예: 존 아담스에 따르면~) 역시 별로 중요하지 않으므로 털어내도 괜찮습니다.
둘째, 도입부의 구조적 잡음을 제거하세요.
"It is true that", "I have found that", "Experiments have shown that" 등의
주어+동사(잡음)+that절 구조(S V that)는 대개 뒷 내용(S' V')을 소개하는 역할을 하므로,
앞부분 주어와 동사는 지워도 되는 정보입니다.
셋째, 나열된 구체적인 정보보다 상위 개념에 집중하세요.
나열된 정보를 하나하나 흡수하려고 하지 말고, 나열된 정보의 상위 개념(일반 정보)을 파악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구체적인 명사나 전문 용어가 나열될 경우, 이것들은 내가 잡아가야 할 핵심 정보가 아니라고 생각하고 크게 보셔야 합니다.
넷째, 비교 대상이나 대명사를 털어내세요.
비교급 문장에서 '무엇만큼'(as 뒤, 혹은 than 뒤)이라고 제시하는 비교 대상은 주체가 강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될 뿐입니다. 뒤의 비교 대상은 자세히 볼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해석의 매끄러움을 위해 한국어로 옮길 때 대명사 (특히 주격 대명사)는 털어버리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다섯째, 분사 구문(ing / p.p)은 부사의 역할을 하는 덩어리이므로 중요하지 않은 선택적 정보일 때가 있습니다.
분사 구문이 나오기 전의 주절에서 정보의 '완전성'(소재, 정보, 긍정/부정 측면)이 이미 확보되었다면, 분사 구문의 내용을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3. 글의 흐름을 읽는 구조적 시그널에 반응하세요
필자가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 즉 글의 구조를 이해하면 핵심 정보를 빠르게 포착할 수 있습니다.
3-1. 양보절과 세미콜론은 흐름 전환의 신호
양보 구문(Even though, Although, Though, If)은 비록 A일지라도 B라는 구조를 가지며,
필자가 진짜 하고 싶은 말은 B 정보(주절)에 있습니다.
양보절(A)은 단순히 소재를 다루거나 B와 대비되는 배경 정보일 뿐입니다.
세미콜론(;)은 앞 문장 내용을 강조하거나, 내용의 흐름을 전환(반전)하는 기능을 합니다.
문맥을 통해 전환인지 강조인지를 파악하여 핵심 정보를 찾아야 합니다.
3-2. 부정어가 나오면 천천히 읽으세요
영어는 국어와 달리 흑백 논리가 강하여, 부정어를 사용하는 것은 필자가 강조하고 싶은 바를 나타내기 위함이거나 대비되는 상황을 제시하기 위함입니다.
부정어가 나온 코멘트는 천천히 읽어야 하며, 대체로 정답과 관련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 - 부정어 이동: 문두에 부정어가 나오면 본동사로 이동시켜 해석해야 자연스럽습니다.
- - 이중 부정: 'Not A unless B'처럼 부정어 2개를 쓰는 이중 부정은 강조를 위해 사용되며, Not과 Unless를 지우고 'A if B' 구조로 바꾸면 해석이 명확해집니다.
- - No 비교급 than: 'No different from'이나 'No less than'처럼 'No + 비교급 + than'이 나오면 뒤의 대상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뜻으로, 동등함(비슷하다)을 나타냅니다.
3-3. 관계사(수식)는 흐름을 끊지 말고 순차적으로 읽으세요
관계대명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과정이 아니라 새로운 정보로 받아들이고,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읽어나가야 합니다.
선행사가 동사와 함께 이미 정보의 완전성을 갖추었다면 뒤따르는 관계사는 선택적 정보가 됩니다.
반면에 선행사만으로는 정보가 부족하여 설명이 필요한 경우, 관계사는 반드시 읽어야 하는 필수 정보가 됩니다.
결론: 문해력은 읽고 생각하는 인지의 영역입니다.
제시된 구문 독해 도구들은 단순히 구문 해석 능력을 넘어, 필자의 핵심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글의 구조적 흐름을 인지하는 문해력 자체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도구들을 활용할 때 얻을 수 있는 주요 이점은 세 가지입니다.
첫째, 정보 과부하를 줄여줍니다. '경중을 가리는' 기준(복합 관계사, 인용, 나열된 세부 항목 등)을 통해 불필요한 세부 정보는 털어내고, 인지적 에너지를 가져가야 할 핵심 정보에 집중할 수 있게 합니다.
둘째, 필자의 의도를 명확히 파악하게 합니다. 수동태의 능동적 재해석, 보어의 강조 기능 인지, 그리고 부정어의 강조 기능 인식을 통해, 필자가 강조하거나 자신의 견해를 드러내는 부분에 정확히 반응할 수 있습니다.
셋째, 글의 흐름과 정보를 예측할 수 있게 합니다. 양보절에서는 주절(B)에 집중하고, 분사 구문에서는 앞선 정보의 완전성을 판단하며, 병렬 구조에서는 정보가 같은 결임을 인지함으로써, 텍스트를 읽을 때 정보를 흡수하는 양을 조절하고 다음 내용을 예측하며 읽게 됩니다.
독해는 단순히 구문 해석 능력이 아니라, 글을 읽고 생각하는(인지하는) 능력, 즉 필자와 의사소통하는 과정입니다.
여러분은 텍스트를 읽은 후 반드시 "그래서 필자가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거지?"라는 질문을 던지고 핵심 메시지를 추출하는 연습을 반복해야 합니다.
이러한 태도와 전략적 도구들은 이해의 영역이 아니라 인지의 영역에 속하므로, 꾸준한 연습을 통해 습관화한다면, 시험장에서 복잡한 문장을 만났을 때 흔들리지 않고 본질을 꿰뚫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이상,
클래스 김지훈 선생님의 문해력 해부도감(클릭시 이동)을 학습한 AI 에이전트가 초안을 작성한 칼럼이었습니다.
문해력 해부도감은 무료 강좌이니 칼럼을 보고 상세한 내용이 더 궁금한 사람은 수강해보세요!
---아 존댓말 어색해!! 이제 반모!---
어때어때?!?!
나도 많은 썜들의 캐스트를 보고
너히들한테 도움되는 컨텐츠를 주고 싶어서 나름대로 고민해봤졍!!
클래스 ip로 칼럼을 만드는 건 꽤 좋은 아이디어지?!
이번 칼럼 어땠는지 좋댓팔(?)(좋아요댓글팔로우)로 의견 부탁하공
어떤 강좌(과목)를 칼럼으로 보고싶은지 추천해줘잉!
마지막으로 클래스 ip를 활용해서 캐스트(칼럼)말고도
학습의 효율을 올려주는 컨텐츠 제작을 시도하고 있오!
다른 컨텐츠들도 제작하는대로 달려와서
제일 먼저 너히한테(?컨관지마보다 먼저?) 의견 물어볼겡!!
많관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스나이퍼는 똑똑한 사람들만 하는건가보네요 상위대학만..ㅜㅜ 전 어디까지 갈 수 있나용
-
정법사문인데 사문 커트라인이랑 ㅈㄴ비교되네 ㅋㅋ
-
(다처먹음)
-
ㅈㄱㄴ
-
3합5만 하면되고 못맞춘적은 없음 지구 아직까지도 노베같은데 걍 수학올인이 맞죠
-
가능한가
-
고2 수학 모고 2~3나오는 고2 학생입니다(확통선택) 최근에 정시로 대학가기로...
-
재수각인가요?
-
탐구 하기 싫다 0
오늘 탐구 진짜 하기 싫어서 국어,수학만 ㅈㄴ 하는 중 내일 탐구 열심히 해야될듯 ㅋㅋ
-
가능은 하겠죠 뭘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전 n제나 실모를 푼 적도 없고 사실 기출도...
-
빨간색이 센츄인가요? 학교랑 주소 다 쓰라고하길래 뭔가 쓰기싫어서 신청 못하고있는중
-
왤케 햇갈리지,, 거꾸로 봐서 틀리고 거꾸로 생각해서 틀리고….
-
백호 섬개완 다듣고 복습할때마다 양이 너무 많아서 시험에 나오는 필수개념만 들어있는...
-
결국 수능은 상대평가다 너희들이 있기에 그 표점과 백분위가 가능했던 거다 누군가는...
-
이런거 확인안하는게 낫나
-
이제 기하 88 (공통 1/기하 2)가 2가 나오는 #~# 같은 이슈가 있어서ㅋㅋ...
-
못일어나면 할복함
-
저는 이비에스에 나오는 것만 읽엇는데 부족한가
-
와 돌이어서 그런지 10
1000수를 하네 ㄷㄷ 천번 수능보면 무슨 느낌일까
-
달달한게 6
땡기는데....
-
수분감 스텝2 0
옛날기출 나형 21 30 꾸역꾸역강의들어가면서 이해중인데 의미있을까요 그냥 최근꺼만할까 ..
-
천수석같은건 안나옴(아마도)
-
그래도 조금이나마 자신감 생기는 느낌 거의 처음으로 80넘겨보기도 함
-
서울대가 가지고 있던 신반포 2차 매물이 낙찰이 됐군요. 0
최종 낙찰 금액이 44억 2천만원이라 의외로 제 기준보다는 좀 낮게 나왔네요.(저는...
-
승환이햄.. 4
전성기 활약을 직접 본 건 아니지만 좋아했는데 타팀팬이어도 아쉽네요
-
자리가 없어서 강제로 옆에 사람이 앉게 되는데 급식을 혼자 먹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법이 나와야함
-
지구과학 어렵다 12
-
객관식 15개중에 2개는 무조건 못푸네,, 그나마 강x가 쉬운축에 속하는 실모 아님뇨?
-
요즘 너무 추움 1
으슬으슬해
-
머리가 찌뿌둥하고 몸살기가 약간
-
궁금
-
학교를 옮기기 애매한 성적이군요 더 노력해보겠습니다
-
다들 우ㅐㄹ케 잘하는거야....
-
스나이퍼 ㅇㅈ 1
ㅠ
-
원래는 1컷 90 초반이면 불국어임... 21 수능이 1컷 88이었으니까 사람이...
-
이대로만 갑시다
-
올해 천수석 나오면 12
그냥 틀릴게 KBS봐도 이해 못하겠음
-
내신 수2가 2등급 뜨게 생긴 wwwww ㄱ,ㄴ,ㄷ 유형은 참으로 애미가 없습니다
-
윤사 ㅇㅈ 4
고맙다 진짜....... 너 아니면 한강 온도 체크하러 갔어
-
염상섭이라서
-
정말 그만 알아보도록 하자
-
6모땐 27,28,30 9모땐 25,28,29,30틀렸는데(근데 29에...
-
이 문제에서라는 판단을그냥 어휘력을 늘리기 위해서 다양한 어휘를 접하는 것처럼 어떤...
-
밑글 경희치 보고 의아해서 저도 묻습니다 영어2에 숙취와 방광이슈로 국어 탐구...
-
하...ㅠ
-
과연내국어표점은~~~~?!
-
미적 90분 100 9평경향성에다가 공통살짝 준킬러 추가된느낌입니다 공통에서 시간...
-
그러나 이게 수능날 유지될지는…
-
지2 개꿀인가 0
48인데 1컷일줄 알았음

원희예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