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체는 영어 칼럼] 귀멸의 AI 칼날과 클래스 강의의 칼럼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73712
...칼럼을 쓸 수 없어요...!
...
*(갑자기 분위기 영어 칼럼)
수험생을 위한 문해력 해부도감: 독해의 경중을 가려 핵심을 꿰뚫는 법
복잡하고 긴 수능 영어 지문을 읽을 때, 모든 문장에 동일한 힘을 주어 읽는다면 정보량이 너무 많아져 내용을 가져가기 힘듭니다.
효율적인 독해를 위해서는 가볍게 봐야 할 부분(세부 정보)과 무겁게 봐야 할 부분(핵심 정보)을 명확히 나누는 '경중을 가리는' 태도가 필수적입니다. 다음은 수험생 여러분이 독해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전략들입니다.
1. 문장 구조를 재해석하여 핵심을 바로 잡자
단순히 영어를 한국어로 옮기는 직역에서 멈추지 않고, 문장이 실제로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째, 수동태를 능동태로 바꿔보세요
영어의 수동태를 한국어로 직역하면 표현이 어색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동태 문장을 접했을 때, 주격 조사(은/는/이/가)를 목적격 조사(을/를)로 바꾸고, 수동 표현을 능동 표현으로 바꾸어 해석하면 의미가 훨씬 자연스러워집니다. 예를 들어, "카레는 먹어질 수 있다"는 문장보다 "카레를 먹을 수 있다"는 문장이 핵심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합니다.
둘째, 보어와 목적격 보어에 집중하세요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로 쓰는 문장(주어+동사+ 목적어+목적보어 to부정사) 구조에서
핵심 정보는 '주어가 동사했다'는 사실보다는 '목적어가 to부정사 하도록 해 준 이후의 내용'에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문장에서 목적어를 주격(은/는/이/가)으로 처리하여 이 부분이 핵심 정보라고 생각하고 읽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가주어(It)나 가목적어(it) 구문이 나오면 앞부분은 중요하지 않으며, 보어 부분이 강조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보어는 주로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므로, 필자가 자신의 견해(좋다/나쁘다 등)를 드러내는 코멘트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2. 세부 정보와 잡음(Noise)을 걸러내는 기준
모든 텍스트를 무겁게 읽으려는 태도를 버리고, 어떤 정보에 힘을 빼야 할지 명확한 근거를 마련해야 합니다.
첫째, 강조를 위한 장치에 힘을 빼세요.
복합관계사(Whatever, No matter how 등)는 내용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현이므로, 이 부분은 안 읽어도 되는 정보에 해당합니다. 이와 유사하게, 자신의 말에 권위를 부여하기 위한 인용이나 권위자의 이름(예: 존 아담스에 따르면~) 역시 별로 중요하지 않으므로 털어내도 괜찮습니다.
둘째, 도입부의 구조적 잡음을 제거하세요.
"It is true that", "I have found that", "Experiments have shown that" 등의
주어+동사(잡음)+that절 구조(S V that)는 대개 뒷 내용(S' V')을 소개하는 역할을 하므로,
앞부분 주어와 동사는 지워도 되는 정보입니다.
셋째, 나열된 구체적인 정보보다 상위 개념에 집중하세요.
나열된 정보를 하나하나 흡수하려고 하지 말고, 나열된 정보의 상위 개념(일반 정보)을 파악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구체적인 명사나 전문 용어가 나열될 경우, 이것들은 내가 잡아가야 할 핵심 정보가 아니라고 생각하고 크게 보셔야 합니다.
넷째, 비교 대상이나 대명사를 털어내세요.
비교급 문장에서 '무엇만큼'(as 뒤, 혹은 than 뒤)이라고 제시하는 비교 대상은 주체가 강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될 뿐입니다. 뒤의 비교 대상은 자세히 볼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해석의 매끄러움을 위해 한국어로 옮길 때 대명사 (특히 주격 대명사)는 털어버리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다섯째, 분사 구문(ing / p.p)은 부사의 역할을 하는 덩어리이므로 중요하지 않은 선택적 정보일 때가 있습니다.
분사 구문이 나오기 전의 주절에서 정보의 '완전성'(소재, 정보, 긍정/부정 측면)이 이미 확보되었다면, 분사 구문의 내용을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3. 글의 흐름을 읽는 구조적 시그널에 반응하세요
필자가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 즉 글의 구조를 이해하면 핵심 정보를 빠르게 포착할 수 있습니다.
3-1. 양보절과 세미콜론은 흐름 전환의 신호
양보 구문(Even though, Although, Though, If)은 비록 A일지라도 B라는 구조를 가지며,
필자가 진짜 하고 싶은 말은 B 정보(주절)에 있습니다.
양보절(A)은 단순히 소재를 다루거나 B와 대비되는 배경 정보일 뿐입니다.
세미콜론(;)은 앞 문장 내용을 강조하거나, 내용의 흐름을 전환(반전)하는 기능을 합니다.
문맥을 통해 전환인지 강조인지를 파악하여 핵심 정보를 찾아야 합니다.
3-2. 부정어가 나오면 천천히 읽으세요
영어는 국어와 달리 흑백 논리가 강하여, 부정어를 사용하는 것은 필자가 강조하고 싶은 바를 나타내기 위함이거나 대비되는 상황을 제시하기 위함입니다.
부정어가 나온 코멘트는 천천히 읽어야 하며, 대체로 정답과 관련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 - 부정어 이동: 문두에 부정어가 나오면 본동사로 이동시켜 해석해야 자연스럽습니다.
- - 이중 부정: 'Not A unless B'처럼 부정어 2개를 쓰는 이중 부정은 강조를 위해 사용되며, Not과 Unless를 지우고 'A if B' 구조로 바꾸면 해석이 명확해집니다.
- - No 비교급 than: 'No different from'이나 'No less than'처럼 'No + 비교급 + than'이 나오면 뒤의 대상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뜻으로, 동등함(비슷하다)을 나타냅니다.
3-3. 관계사(수식)는 흐름을 끊지 말고 순차적으로 읽으세요
관계대명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과정이 아니라 새로운 정보로 받아들이고,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읽어나가야 합니다.
선행사가 동사와 함께 이미 정보의 완전성을 갖추었다면 뒤따르는 관계사는 선택적 정보가 됩니다.
반면에 선행사만으로는 정보가 부족하여 설명이 필요한 경우, 관계사는 반드시 읽어야 하는 필수 정보가 됩니다.
결론: 문해력은 읽고 생각하는 인지의 영역입니다.
제시된 구문 독해 도구들은 단순히 구문 해석 능력을 넘어, 필자의 핵심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글의 구조적 흐름을 인지하는 문해력 자체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도구들을 활용할 때 얻을 수 있는 주요 이점은 세 가지입니다.
첫째, 정보 과부하를 줄여줍니다. '경중을 가리는' 기준(복합 관계사, 인용, 나열된 세부 항목 등)을 통해 불필요한 세부 정보는 털어내고, 인지적 에너지를 가져가야 할 핵심 정보에 집중할 수 있게 합니다.
둘째, 필자의 의도를 명확히 파악하게 합니다. 수동태의 능동적 재해석, 보어의 강조 기능 인지, 그리고 부정어의 강조 기능 인식을 통해, 필자가 강조하거나 자신의 견해를 드러내는 부분에 정확히 반응할 수 있습니다.
셋째, 글의 흐름과 정보를 예측할 수 있게 합니다. 양보절에서는 주절(B)에 집중하고, 분사 구문에서는 앞선 정보의 완전성을 판단하며, 병렬 구조에서는 정보가 같은 결임을 인지함으로써, 텍스트를 읽을 때 정보를 흡수하는 양을 조절하고 다음 내용을 예측하며 읽게 됩니다.
독해는 단순히 구문 해석 능력이 아니라, 글을 읽고 생각하는(인지하는) 능력, 즉 필자와 의사소통하는 과정입니다.
여러분은 텍스트를 읽은 후 반드시 "그래서 필자가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거지?"라는 질문을 던지고 핵심 메시지를 추출하는 연습을 반복해야 합니다.
이러한 태도와 전략적 도구들은 이해의 영역이 아니라 인지의 영역에 속하므로, 꾸준한 연습을 통해 습관화한다면, 시험장에서 복잡한 문장을 만났을 때 흔들리지 않고 본질을 꿰뚫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이상,
클래스 김지훈 선생님의 문해력 해부도감(클릭시 이동)을 학습한 AI 에이전트가 초안을 작성한 칼럼이었습니다.
문해력 해부도감은 무료 강좌이니 칼럼을 보고 상세한 내용이 더 궁금한 사람은 수강해보세요!
---아 존댓말 어색해!! 이제 반모!---
어때어때?!?!
나도 많은 썜들의 캐스트를 보고
너히들한테 도움되는 컨텐츠를 주고 싶어서 나름대로 고민해봤졍!!
클래스 ip로 칼럼을 만드는 건 꽤 좋은 아이디어지?!
이번 칼럼 어땠는지 좋댓팔(?)(좋아요댓글팔로우)로 의견 부탁하공
어떤 강좌(과목)를 칼럼으로 보고싶은지 추천해줘잉!
마지막으로 클래스 ip를 활용해서 캐스트(칼럼)말고도
학습의 효율을 올려주는 컨텐츠 제작을 시도하고 있오!
다른 컨텐츠들도 제작하는대로 달려와서
제일 먼저 너히한테(?컨관지마보다 먼저?) 의견 물어볼겡!!
많관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6모 9모 비교 0
6모 96 96 3 99 98 9모 99 97 2 100 95 재수하면서 사회성이...
-
사실 리트에서도 자꾸 이상한 소재로 몸비틀며 내는 이유가 5
배경지식유무로 유불리갈리는걸 출제자들이 원하지 않아서라고 생각해요 25리트...
-
졸려라 0
에휴...폐급인생
-
20회까진 웬만하면 30분컷 했는데 30~40회는 50분 써도 틀리는게 있네
-
논술문제지이름 0
논술 정답지에는 이름을 썻는데 문제지에는 이름을 안썼는데... 괜찮을까요?
-
지금 집가서 책 좀 읽고 자서 내일 아침 일찍 일어나기
-
관독에서 앞자리 고3임 8시부터 계속자는데 코를 ㅈㄴ 골고 쌤이 흔들어서 깨워서...
-
한지50점 캬캬 0
근데 한지빼고 다망함 (전반적으로 백분위 메가보다 떨어짐뇨....) 수능도 한지50을쟁취하자
-
ㅋㅋ
-
어케 하는거죠? 수능성적밖에 안나오는데
-
윽… 옆학교로 전학가기 위해 정진해보겠습니다ㅜ
-
머지 분명 우리 꼴두기랑 같이 밑에서 놀고 있지 않았나 언제 올라갔지
-
오ㅑ 언매81점 난 3이냐고ㅠㅠㅠ 언매에서 10점 깎여서겠죠..?
-
화작 2컷 2
몇인가요..?? 가채점 86인데 3떠서요
-
풀어보신 분들 추천해주실 수 있나여? 6,9모 반영 잘 되어있으면 좋겠구 2등급...
-
공부해말어..
-
08인 제가 내년에 원트로 가야합니다
-
점심 저녁을 어떻게 해결하시나요 스카 근처 음식점들 이젠 보기만해도 몸이...
-
강준호모의고사 0
찢어서 씹어먹고싶다
-
걍 사탐 몰빵할까
-
물리 공부하는데 1시간 동안 간 거리 문제에서 100m 코스 3개 갔던데 속력이...
-
진짜 가고 싶은데 수능 몇 등급 정도가 커트라인일까요??
-
비교하면 작수가 넘사로 쉬운거 맞나요 둘다 4개까지 2컷인데 작수 15 20 21...
-
ㅠㅠ
-
역시 양산되는 데에는 이유가 있구나
-
생윤 44였는데 6
왜1컷45됨??ㅅㅂㅅㅂㅅㅂㅅㅂㅅㅂ
-
조금 쉬고싶다 힘드러
-
님들 잘자요 2
굿밤
-
아수라 질문 2
기츨공부를 올오카만 하고 따로 마더텅 같은건 안풀고 아수라 합류햇는데 기츨은...
-
지방러인데 동국대 너무 가고싶다.........
-
화2 드랍 선언 10
생각보다 과목이랑 맞지도 않고 설의라는 허망한 꿈때문에 꾸역꾸역 해보고 있었는데...
-
무료이용권이란 말을 듣고 개같이 달려온 혀녀기입니다. 9평 성적표를 보니 탄식이...
-
뭐임? 84부터2아니야?
-
글보니까 합격컷 75점 이런식으로 이야기하시던데.. 100점 만점에서 감점요소 다...
-
이번 중간고사 보면서 정시하려는데 2028학년도부터는 정시도 내신 반영한다는 말이 있던데 사실인가요
-
13,29틀 13본 처음보는 발문이라 15분썼는데 결국에는 틀림 걍 문항 자체가...
-
머구대구머구대구 3
젠장 난 그냥 너희가 좋다!!!
-
낮2인데....28,30대비 미적n제 추천부탁드려요. 미적은 입문n제 엔티켓,4규...
-
경제 무역 기출 문제는 난이도에 비해 정답률이 낮은 느낌이네 2
후반부에 있는 것도 영향이 크려나... 얼른 기출 끝내고 실모 돌리고 싶음!
-
지괴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했다고 했을 때와 그냥 지괴가 회전했다고 했을 때...
-
기프티콘줄게 천눤짜리라도
-
(스압) 현역의 어좃모(언매) 후기 (6모 80, 9모 5등급) 34
안녕하세요? 216 학파이자 기하러이자 쌍사러인 현역입니다. 3모 1등급을 받고...
-
시즌 12 후기여요..4규하고 고민되네요..
-
작년 6평
-
맥주 뭐가맛있음 23
아사히나 깔까
-
어차피 다 수험생에 입시 오래한 사람들 많고 어지간해선 무조건 질문에 대한 답변...
-
22개정나온줄 몰르고 15개정샀는데 인강은 개정시발점이 더 좋은거같아서.. 옛날...
-
확통만 삼 ㅇㅇ 추석에 이거 ㅈㄴ판다
-
안녕하세요, 저희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에듀테크 서비스를 준비중인...
-
요새 맨날 옛날기억때문에 괴로움

원희예뽀칼럼의 호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