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논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54344
1-1
(가)의 관점에서 (다)의 화자의 고발 행위는 인간의 악한 본성을 극복하고 위를 실천한 것이라고 설명된다. (가)에 따르면, 인간은 이기적이고 악한 본성을 내재한 존재이므로, 이러한 본성을 자유 의지로 억누르고 위를 실천할 것을 강조한다. (다)의 화자 역시 인간으로서 악한 본성을 가진 존재이다. 그러나 화자는 명예 훼손으로 고발당할 것을 두려워하면서도, 이를 감수하고 고발하는 행위는 (가)의 관점에서 자신의 의지로 본성을 억누르고 선을 실천한 것이다. 반대로 비요 장군의 침묵 행위는 위를 실천하지 못한 것이다. 비요 장군은 자신의 양심과 군의 이익 사이에서 고민하였다는 점에서 (가)에서 말하는 ’려‘에는 도달하였으나, 결국 불의에 침묵하였다는 점에서 본성을 극복하고 위를 실천하지는 못한 것이다.
(나)의 관점에서 (다) 화자의 고발 행위는 권위적 국가 내에서 극단적으로 명령을 거부하는 사례라고 설명된다. (나)는 프랑스와 같이 권력거리가 큰 국가에서는 부하의 행동 양상이 양극화될 수 있다고 말한다. (다)의 배경이 프랑스라는 점에서, 권력거리가 큰 국가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화자의 고발행위는, 불의에 극적으로 거부감을 드러내는 사례라고 설명된다. 반대로 불의에 침묵하는 비요 장군의 행동은 (다)의 관점에서는 극적으로 복종하는, 또 다른 양극화의 사례라고 보여진다.
1-2
(나)의 관점에서 <지문A>의 주장은 공포 통치의 순기능에 대해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타당하다. <지문 A>는 인간은 악한 본성을 가진 존재이므로, 공포 통치만이 존경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이는 (나)에서 권력거리가 큰 프랑스의 경우, 권위적 통치를 통해 정치를 잘 한 사례와 상통한다. 그러나 <지문A>는 공포 통치의 역기능에 대해 간과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지문 A>는 공포 통치를 통해 사회적 갈등을 해소할 수 있다고 말하는데, 이는 권력거리가 큰 국가에서는 양극화 현상이 발생하여 오히려 사회적 갈등이 확산될 수 있다고 보는 (나)와 배치된다. (나)는 <지문 A>의 저자가 공포통치를 과대평가하고 있다고 볼 것이다.
한편, <지문A>는 적합한 리더십의 형태가 사회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한다는 점에서도 한계가 있다. (나)에 따르면 스웨덴에서는 수평적 통치가, 프랑스에서는 수직적 통치가 적합한 것처럼 통치 방식은 사회적 맥락에 따라 정해져야 함을 강조한다. 그러나 <지문 A>는 이러한 사실을 간과한 채 공포통치만을 획일적으로 강조한다는 점에서도 비판의 대상이 된다.
2-1
<표>에 따르면 A,B국은 모두 개인의 윤리성이 높은 국가라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국가의 권력구조는 다르다. A국은 권위적인 국가이고 B국은 비교적 수평적인 국가이다. 이러한 차이에 의해 국민의 행동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는 개인의 행동에 사회 구조가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된다. A국은 불의한 지시에 적극적으로 거부한 비율이 높았고, B국은 소극적인 대응에 그쳤다. 이는 (나)의 관점으로 설명된다. (나)는 권위적 국가에서는 국민들이 절대 복종하거나, 적극적으로 거부할 수 있다고 말한다. 권력거리가 큰 A국가에서 적극적 거부 비율이 높은 것은 (나)의 양극화 사례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B국은 수평적 권력 구조라는 특성상 문제제기에 좀 더 적극적인 자세를 보인 것이라 추론된다.
한편, B,C국은 모두 수평적 국가이나, 개인의 윤리성이 다르다. 이러한 차이에 의해 개인의 행동 양상이 달리 나타난다. 이는 개인의 행동에 개인의 윤리의식 정도가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윤리의식이 높은 B국과 윤리의식이 낮은 C국 모두 불의한 지시를 따랐지만, B국은 문제제기의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이는 높은 윤리의식이 불의한 지시에 대해 재고하게 만들었다고 분석된다. 그러나 결국 양국 모두 불의한 지시를 이행했는데, 이는 (가)로 설명된다. 양 국 모두 불의한 지시를 결국 이행했다는 점은, (가)의 관점에서는 위를 실천하지 못한 것이다.
종합하면, 인간의 행동은 윤리의식이라는 개인적 요소와 사회구조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2-2
X1 - 1/5, y1 - 16/5
X2 - 1 , y2 - 2
X3 - 1/3 ( m< 1/3) y3 - f(1/3)
X3 - m ( m >1/3) y3 - f(m)
A부서의 경우, 비교적 수평적 조직 문화에서 성과가 가장 높았다. 이는 A부서 사람들이 토의나 협의를 선호하는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반면, B부서의 경우, 수직적 조직 문화에서 성과가 가장 높았다. 이는 B부서 가람들이 복종을 선호하는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기 때문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이를 종합하여, 회사 사장은 회사 전체의 조직문화 성향을 결정한다. 이 때 회사 사장이 수평적 조직문화에 대한 거부감이 비교적 작은 경우,(m<_1/3) 성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회사 사장이 수평적 조직문화에 대한 거부감이 비교적 큰 경우, (m>1/3) 회사 전체의 성과를 최대화하지 못한다. 이는 사장이 수평적 조직문화에 대한 거부감을 낮추는 것이 회사 성과를 최대화하기에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로, 회사 전체의 성과의 최대치는 부서A,B 성과의 최대치를 각각 합친 것보다 작다. 이는 사장이 두 부서의 성향을 모두 고려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비효율성을 초래한 결과로 해석된다. 따라서 사장은 회사 전체의 성과를 장기적으로 더 높이기 위해서는, 회사 내의 조직문화를 통일시키는 것이 아니라, 각 부서마다 다른 조직 문화를 도입해야 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만큼 28번 파워가 셌음 작수 28번은 걍 애들 장난이고
-
우선 오이카와님이 만들어주셔서 믿음이 1.12배! 잘풀었어요 71분 걸렸고 아쉽게...
-
제가 내년 수능을 준비하는데 생명과학 인강 감이 잘 안 와서 질문드려요. 제가...
-
올해 9모가 더 쉬웠음뇨 통통이임
-
ㄸㅁ 8
또맥
-
새내기들 다 나한테 뺐길까봐 질투하는 고딩들을 보는구나 ㅠㅠ
-
어좃모 1회 리뷰이벤트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참여 방법 1. 어좃모 1회를 푼다....
-
ㄷㄷㄷㄷ…
-
원점수 85 100 1 48 50-> 예상 백분위 93 100 1 98 100
-
근데 역대 수능 등급컷에서 수능장요소만 딱 빼면 몇점 오를까 1
수능 표본 수준에 범위도 수능이고 그런데 6평이나 9평이어서 딱 수능 긴장감만 배제된 등급컷
-
(45min)
-
인서울 의대가 되나여? 전 그럴 일이 없겠지만 올해는 나올법도 한듯
-
거의 모든문제에서 더 쉽거나 비슷함 공통11-15 거기서 거기 20 작수 압도 21...
-
15나 22 하나는 꼭 맞춰야 1컷ㅋㅋ 08정시인데 ㅈ됏다
-
맨날 8시간정도 햇는데 컷보니까 위기가 느껴짐… 늘려야겠음 ㅜㅜ
-
작수 21번 잘못 읽어가지고 20분 갈아먹고 다푸니 90분 21번 제대로 읽었으면...
-
합리화 0
합리화 사람은 뇌는 기본적으로 힘든 길을 선택하지 않으려 한다. 내가 선택한 길이...
-
십수생 질문받음 5
9모 서울대 갈 각임
-
앞으로도 잘 부탁해 구독과 좋아요 알림 설정 부탁합니다~
-
대견. 기특. 귀여움. 멋짐. 존경
-
1~11, 16~19, 23~27 20분컷내고 12, 13, 14, 15, 20,...
-
정말 햄듭니다…,
-
둘 다 92점 백분위 96점이긴 한데요 9모는 그래도 15번 푸는데 몇분 걸리는데...
-
나 왜 잘함? 7
대치에서 21등이라고?
-
푸는 친구가 있는데.. 안친한데... 말해주고싶은데... 하..... 도대체 왜..
-
영화도 보고 피시방도 갈거에요!
-
미적 1 88이면 15or21 28 30만 나간 사람이 4퍼 이상이란건가 6
솔직히 그럴만한 시험지긴했어
-
‘990원 소금빵’ 유튜버 슈카월드, 노무현 비하 로고 사용 18
구독자 361만명을 보유한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가 노무현 전 대통령 비하를...
-
나도 화작이지만 수험생활내내 순공시간 3시간도 안박아놓고 바라는게 많다 ㄹㅇ 시간은...
-
다만 백분위 96 88일 듯
-
뭔놈의9평등급컷임
-
대체적으로 화작대비 언매의 공통파트 정답률이 10~20퍼는 높고 그게 어려운...
-
저메추 받아요 22
오네가이
-
어림없지 28 29 30 다 틀렸네 ㅋㅋ
-
이쁜거 추천좀요 ㅎㅎ 이해원에서 나온것도 ㄱㅊ던데 따로 구매는 못하는거라..ㅠㅠ
-
아마 35 36 38을 풀 생각을 안해서 그런듯 싶음
-
안녕하세요, 성재T입니다. 수능이 다가오는 여러분을 위해 수특 독서 본문 핵심...
-
현역때 수학이 4등급이었기 때문에 언매 할 시간이 없었음… 고2때까지 놀기만...
-
아개졸리다 0
응앙
-
학원에서 봤는데 전날(오늘) 성적표 달라해도 안주겠지? 1
빨리 받고싶은디
-
난 10분컷 가능한 발췌독이 가능해서 시간적 여유땜에 놓을수가 없음
-
대체이게왜틀림 0
왜 음수가나오지
-
으흐흐
-
이새기 현장에서 안풀길 잘했다 생각밖에 안들었음 걍 개 노가다 시간만 줄창 잡아먹는...
-
이거 맞음.?? 미적 공1 미2 88이 백분위 98 뜨는데..?
-
13~15번에 사설 기준으로 어려운 15번을 배치해두고 21 22도 어렵고...
-
담배 너무 싫다 0
최소한 걸어다니면서 피지는 말라고 제발
어느과 쓰셨어요?
2-2의 논지가 저랑 일치하네요. 그런데 ×값을 부서마다 달리할수 없다고 발문에 써져있었다고 하더군요. 저도 그래서 좀 걱정됩니다.
저 부분은 발문에 따른것이 아니라, 추가로 논의한 부분이라 크게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정답은 첨언한 부분 전까지가 정답이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