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연세대 인문논술 복기 답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54026
1-1) 먼저 화자는 사건의 정의를 위해서 권력자인 대통령에게 편지를 쓰는 사람이고, 비요 장군은 갈등은 했지만 결국 진실을 은폐하는 데 동조하는 사람임.
(가)의 관점에서 화자는 려를 넘어서 위까지 실천적 의지를 발휘한 것임에 비해, 비요 장군은 려까지만 실행하고 위까지 나아가지 못함.
그리고 (나) 제시문에 프랑스의 예시가 나옴: PDI 지수가 68로 스웨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은 편.
이걸 끌어다 써서 높은 PDI, 즉 권력거리가 먼 사회라는 점 언급. 화자는 역복종을 함. 대통령에게 진실을 규명헤달라고 하는 것 자체가 거대권력이나 대다수 국민들의 법감정에 대항하니까 역복종.
그러나 비요 장군은 심리적으로 갈등하다가 침묵했으니까 그냥 권력에 과의존하는 양극화(나에 언급된 양극화)가 나타난 상황.
1-2) A가 상벌 엄청 엄격하게 해서 조져야 한다는 내용, 국민들로 하여금 두려움 유발하는 엄격한 통치방식이 사회갈등 최소화할 수 있다고 주장.
(나) 입장에서 양면적 평가 가능. 다양한 문화권으로 이루어진 군대나 사회를 통합하고 통솔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점 언급(피지배 관계는 지배하는 계급이 있어야 존재할 수 있다는 나 입장 반영).
부정적인 평가는 그렇게 하면 A에서는 사회적인 분열이나 갈등이 최소화될 수 있다고 했는데, 그게 아니라 오히려 (나)에서는 양극화를 말하니까 사회적 분열이 점진적으로 확대될 위험성이 크다는 점에서 부정적 평가 가능.
2-1)
나는 이 문제를 개인의 윤리성 vs 권력거리 중에서 어떤 변인이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지 가려내는 게 핵심이라고 생각했음.
개인적인 윤리성은 (가)에서 '의'를 실천하려는 개인의 실천적 의지에 대응되고, 권력거리는 (나)의 PDI에 대응된다고 언급함.
A국은 60%가 끝까지 거부함.
근데 이게 특이한 게 개인의 윤리성과 PDI가 둘 다 높음. 그러니까 PDI가 높으면 아예 말을 듣든지 안 듣듣든지 양극화가 되어야 하는데 60%가 거부를 하는 주체성을 발휘함.
B국은 중간이 가장 높았음. 개인 윤리성이 높고 PDI가 낮음. 그래서 상담 등을 통해서 의견을 조정하고 결국 이행하는 쪽으로 많이 기우는 건 맞다고 언급함. 그런데도 이행하지 않는, 30%라는 인구 비율이 있으니까 주체성을 발휘하는 유의미한 인구 비율도 있다고 봄.
C국은 무비판적으로 이행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음. 개인의 윤리성도 제일 낮고 PDI도 최하위권이니까 예측을 하면 싹 다 거부해야 맞음. (답안 쓸 때 이론상으로는 100% 그냥 다 따라야 하는데? 상담하고 거부한 인구는 뭐지? 라고 생각했음)
거부한 10%를 언급하면서 개인의 윤리성, 즉 정당한 지시를 따르려는 개인의 윤리성이 권력거리에 비해 더 센 영향력을 보인다고 종합함.
2-2) x1=1/5 x2=1 x3=1/3 구함, x1<x3<x2니까 사장 입장에서는 수평적 조직문화와 수직적 조직문화 가운데 절충해서 선택해야 함.
그리고 특이한 점은 부서A도 x=0, 그러니까 완전히 수평적일 때보다 약간의 통제가 들어간 1/5일때 생산수준이 극대화됨.
그러나 그것도 과도해서는 안되고 (나)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적당한 권력관계의 필요성을 엮어서 써줌. 적절한 수준에서 결정되어야 해서 그냥 m=1/3 수준이어야 한다... 고 썼는데 m 범위를 나누는 건 생각을 못 해서 망한 듯
조금 더 깔끔하게 다듬어서 올립니다. 2-1은 잘 작성한 것 같은데
2-2에서 사회적 함의점만 잘 쓰고 x3과 m의 관계를 잘 다루지 못한 것 같아서, 어떤 결과가 나오더라도 수긍할 듯합니다
모두 수고 많으셨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국어 언매는 좀 내리고 문학 그대로 독서 좀 올릴듯 1컷 80후반 정도 수학 딱...
-
ㅈㄱㄴ
-
불수학 확정이네 3
그래 자꾸 오독유발같은걸로 변별하지말고 싹 다 태워봐라
-
걍 대충보고 대학만 바꿀수 있어도 감지덕지임 짜피 뭐 어느대학 가든 문제만 잘만들면...
-
먼저 국어입니다. 6모때 예측을 크게 틀려서 이번엔 꽤 신중하게 예측했는데 크게...
-
97점 일단 확보해놓은 상태에서 38번 << 얘까지 뚫은 사람이 '80명이나' 된다고?
-
다른 문제들에 비해 유독 못푸는거같음 시험 뿐만이 아니라 그녕 독서실에서 기출...
-
80점인데 2컷 가능할까요?
-
공통 쉬워서 1-20까지 풀어도 시간이 차고 넘친다는게 심리적으로 존나 안정이 듦
-
수능날에 수학은 1
14 20 강화 정도 미적은 30번 강화 그리고 1컷은 84 이정도 예상
-
한 방에 5인 독립석이 있는데요 얼마전에 들어오신 분이 있는데 ㄹㅈㄷ 빌런이심...
-
표본수준 차이도 있겠지만 미적 난이도가 많이 내려간게 제일 크게 작용한 거 같음…...
-
Team07 표본이 생각만큼 그렇게 박지는 않앗다는거지?
-
이상적인 공통 시험지 19
이럼 1컷 선택미적 난이도 상관없이 70가능할듯
-
97은 아니겠죠
-
둘다 1 가능핱가여ㅓㅠㅠㅠㅜㅜㅜㅜㅜ
-
2023 수능 14번 출제하신 분이 내신거같은데.. 그거 상위호환 문제가 나왔음..ㄷㄷㄷㄷㄷ
-
아니면 낙인이론이려나 본인이 ㅂㅅ인걸 자각하고 ㅂㅅ소굴로 들어가는거?
-
올해 표본이랑 작년 표본 비교하면 어떤가요
-
현재 영어 5등급인데 남은 기간동안 리스닝 + 영어 단어 외우고 모의고사 몇 번...
-
흠
-
3합5 맞춰야하는데 2등급 하나가 더 필요해서요 미적 vs 생윤인데 수학 공부를...
-
약간의 어그로성 글 죄송합니다 고3 현역이고 화작러 6,9모 백분위 96,94로...
-
백분위93정도보면되나요?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https://cafe.naver.com/dokhoe/424097
-
과탐은 살아야한다
-
2시간 16분임
-
정병호t 강의 0
프메도 교재보니 다 기출이던데요 원솔은 프메람 많이 다른얘기 많이 하시나요???
-
유튜브 알고리즘 영상에 하마 1마리가 사자 3마리 내쫓아버리는거 보고 놀래서...
-
스탠모 6회 0
얘도 69평 난이도패치당함? 공통 왜이래;;
-
국어 백99 복귀 영어 1등급
-
생각해보니 5개년 공통 4점이 150문제네
-
말이 안되는데
-
2406 2409 2411 수학 체감난이도는 어땠음? 8
난이도 비슷했음? 아니면 수능때 지랄낸거임?
-
언매만 38번같은 뇌절 좀 쳐내고 문학 어렵게 독서 스무스하게 1컷 언매89 화작...
-
어 수능때 보여줄게
-
그 중요한 걸 백업도 안해놓는다고?ㅋㅋ ㅈㅁ님아…..ㅜㅜ난 중국이싫어요
-
생각보다 변별이 잘 안된거 같은데 뭔가 느낌이 싸함
-
변표가 하나 있다면 '통합변표' 인데 지금 상태에서 통변쓰면 같이 평균나서 과탐은...
-
공통 불 미적 불 << 그나마 가까운게 24수능? 공통 불 미적 물 << 23수능...
-
언매 87 미적 88 영어 1등급인데 생1 2등급 지1 3등급 떴어요 공부시간...
-
정치학 법학 경제학 지리학 등 이런 학문을 보면 딱봐도 근본이 있어보이는데 사회학...
-
분사구문으로 When ->시간임 강조 he -주어 들어냄 being -추가...
-
이게 1컷 42가 뜬다고..? 말이되나 사탐런 한 보람이 있다 ㄹㅇ
-
근데이러면서 지금 마작치러가는중
-
85점은 백분위 몇일까요
-
상식적으론 확통을 어렵게 내야할 거 같지만 확통을 버그급으로 쉽게 내면 오히려 간극...
-
무서운 이야기1 1
생1 찍기 저격안햇으면 1컷48까지 갔다 ㄹㅇ
-
84 2등급된 미적이들 개추ㅋㅋ 시발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