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언매 TMI: 중세국어의 성조는 성조가 아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45867
중세국어의 성조가 중국어의 성조와 같다고 보는 학자도 있고 그게 아니라 일본어의 악센트와 같다고 보는 학자도 있음
그러니까 전자로 보면 중세 한국어는 현대 중국어처럼 성조 언어((true) tone language)가 되는 거고 후자로 보면 현대 일본어처럼 고저 악센트 언어(pitch accent language)가 되는 거지
즉 성조가 성조가 아닐 수도 있다 이 말이야. 그렇지만 어떻게 보든 간에 소리의 높낮이로 변별되었다는 것은 동의하는 바라서 방점이 높낮이를 나타냈다고 보는 것은 동일함
어떤 용어를 쓰느냐의 차이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옛날 기출은 개형을 추론하고 거기서 조건을 더 구해야하는 느낌이라면 6,9모는...
-
다그런가
-
작년 노엘콘서트 2
정말 만족도 높았던 공연. Dont look back in anger 라이브로 듣고...
-
수린식 인증 4
-
작년 표본이면 이거 1컷 88 가지않냐?
-
훠훠훠
-
98점<뭐하는새끼지?
-
그래그래 그건 사실이야
-
한의대 제외하고
-
블편해 하는거 보면 조을듯 ㅋㅋ
-
1. ‘청년의 정당 가입 경험이 내재적 정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
취미로 커스텀도 했었음 전매특허 디자인임 외주도 한두번 받았는데 재밋음
-
나오면 좋겠다 ㅎㅎ
-
저거는 컷이 몇점이란 뜻인지 모르겠음..
-
채널추천 4
이 사람 별명이 유벨스임
-
지구 할거 많네잉 ㅈㄴㅈㄴ 빡세게 해도 2컷인데ㅔ 사문은 설렁설렁해도 1임 겨울로...
-
재수때 부산대 개낮과 걸려서 갔다가 자퇴하고 삼수 시작했는데 혹시나 이번에도 안...
-
야미~~~~
-
유튜브 볼시간에 4
클래시로얄이나하샘
-
할게 누워서 폰질밖에없다
셰셰
헉 지금 리짜이명 각하 저격하신 건가요?
무슨뜻이죠?!
그런데 현대 경상도 사투리에 나타나는건 성조인가요 악센트인가요
얼마나 변별 정도가 세냐? 정도로 봐도 무방합니다
고저악센트로 유명한 언어로 대표적인 게 현대 일본어인데 고저 악센트는 특정한 음절 하나만 고저 차이를 통해 의미가 변별됩니다. 특히 악센트가 정해지면, 그 다음 음절들의 고저 패턴은 자동적으로(예측 가능하게) 정해집니다. 그에 반해 성조는 모든 음절에 성조가 부여되고 하나라도 잘못 발음되면 의미가 달라집니다. 즉 성조는 예측 가능하게 정해지면 안 됩니다
이때 중세국어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게 율동규칙이라는 건데 특정 방점이 찍힌 단어는 이후의 방점의 패턴이 규칙적으로 예측돼 이걸 고저 악센트 또는 어휘(단어) 악센트의 관점에서 보는 것입니다. 특히 단일어에서 첫 거성 또는 상성 이후의 거성은 무의미한데 이 역시 악센트의 관점에서 다룰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율동규칙 같은 경우에는 예외가 있기도 해서 성조언어로 보기도 합니다.
https://orbi.kr/00074514651/
예전에 AI로 쓴 장지문인데 율동규칙은 이런 걸 말합니다
근데 설명 보시면 좀 애매하다고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언어학계에서는 아예 성조-고저악센트의 이분법적 구분을 부정하고 굳이 나누지 말자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현대 방언도 좀 애매합니다. 얘도 성조로 보기도 하고 악센트로 보기도 해요...
일단 아직 위세가 센 건 악센트 이론으로 보시면 되는데 성조로 보는 견해도 상당하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