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 검증] 9평 이후 3주, 당신의 국어 공부는 왜 실패했는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43827
수험생 여러분, 그리고 이 시장의 모든 전문가 여러분.
저희는 이름 없는 신생 국어 연구소 'KAOS'입니다.
9월 모의평가가 끝난 지 3주,
많은 수험생들이 여전히 같은 방식으로 틀리고, 같은 자리에서 헤매고 있습니다.
저희는 그 이유가, 시장에 만연한 '감(感)'에 의존하는 낡은 접근법 때문이라고 진단합니다.
이에, 저희는 기존에 모든 통념에 도전하는 하나의 '가설'과 그 '핵심 증거'를 이 자리에 제출하며, 그 진실성에 대한 '대중 검개 검증'을 공식적으로 요청합니다. 아래는 저희가 제출하는 검증 자료입니다.
[핵심 증거 1. 2026학년도 6월 모의고사 16번 문항]
2026학년도 6월 모의고사 공통 영역에서 오답률 1위를 기록한 문항입니다.
KAOS는 다음과 같이 이 문항을 해결합니다.
공식 5: 인문/예술 관점 감상 및 평가 문제
핵심 원리:'나는 지문의 관점 제공자다'라는 생각으로 글쓴이나 특정 학자의 시선에서 대상을 평가합니다.
단계:
지문 속 특정 인물이나 이론의 관점과 핵심 평가 기준을 추출합니다.
선택지나 <보기>에 제시된 새로운 적용 대상의 특징을 파악합니다.
추출한 관점과 기준을 적용해 대상을 평가하고, 가장 일관된 선택지를 찾습니다.
KAOS™: 출제자 의도 역공학 분석 (16번)
[1] PROFILING: 문제 신상 명세서
출전:2026학년도 6월 모의평가 16번
영역 및 제재:인문 (철학)
문제 유형:다중 관점 비교
KAOS 진단:'핵심 개념의 한정어/수식어' 정밀 독해.
[2] RE-FRAMING: 출제자의 진짜 질문
표면적인 질문:ㄱ~ㅁ에 대한 판단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숨겨진 질문(의도):"제가 2문단에서 플로리디의 권리 개념을 설명할 때 슬쩍 넣어둔 '동일한 권리는 아니지만'이라는 결정적인 한정어를 봤나요?대부분의 학생들은 '플로리디는 인공물에게도 권리를 준다'는 큰 줄기만 기억할 거예요.제가 만든 진술 ㄱ은 바로 그 한정어를 무시하고 '동일한 권리'라고 주장하고 있죠.이 미세하지만 결정적인 뉘앙스의 차이를 간파해서,진술 ㄱ이 플로리디의 입장과 '상충한다'는 것을 밝혀낼 수 있나요?"
[3] THE HOW: KAOS 알고리즘 실행
STEP 1. 타겟 설정:'적절하지 않은' 판단을 찾아요.
STEP 2. 핵심 코드 추출:플로리디의 권리에 대한 설명을 찾아요 → **"동일한 권리는 아니지만"**이라는 한정어를 발견해요.
STEP 3. KAOS 필터링:진술 ㄱ("동일한 권리")과 비교해서 '상충함'을 확인해요.그 후 선택지 ①의 평가("상충하지 않는다")가 틀렸음을 최종적으로 판단해요.
STEP 4. 정답 확정:①번이 정답임을 확정합니다.
[4] THE WHY: 출제자 의도 역공학
함정 설계도 분석:이 문제의 함정은 '개념의 핵심'과 '개념의 한계/조건'을 구분하는 능력에 있어요.플로리디 철학의 핵심은 '권리의 확장'이지만,그 권리가 '동일하지는 않다'는 것이 중요한 조건이죠.출제자는 이 조건을 무시한 진술을 제시함으로써,개념을 피상적으로 이해한 학생과 정밀하게 이해한 학생을 변별하고자 했어요.또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라는 부정 발문과 선택지 자체의 부정 서술('상충하지 않는다')을 결합해서 인지적 혼란을 가중시켰어요.
평가 목표 분석:이 문제는 수험생이 철학 지문을 읽을 때,핵심 주장뿐만 아니라 그 주장을 정교하게 만드는 미묘한 한정어나 조건까지 정확하게 독해하는 '정밀 독해 능력'을 평가하고자 해요.
[5] TAKEAWAY: 최종 행동 강령
One-Line Lesson:"평가원은 '같지는 않지만' 같은 미세한 한정어로 최고난도 함정을 만들어요."
KAOS™ 행동 강령:"철학/이론 지문에서 개념을 설명할 때,'다만', '그러나', '~는 아니지만', '오직 ~인 경우에만'과 같은 한정어, 조건어, 예외 조항이 나오면 반드시 주목하세요. 그 부분이 최고난도 문제의 핵심 함정이 될 확률이 90% 이상이에요."
[핵심 증거 2. 2026학년도 9월 모의고사 30번 문항]
2026학년도 9월 모의고사 공통 영역에서 오답률 1위를 기록한 문항입니다.
KAOS는 다음과 같이 이 문항을 해결합니다.
공식 1: <보기> 적용 문제
핵심 원리:<보기>는 출제자가 제공한 '작품 해석의 설명서'입니다.
단계:
<보기>를 먼저 분석하여 작품 해석의 기준을 추출합니다.
추출한 기준이라는 '렌즈'를 끼고 작품을 감상합니다.
선택지가 '작품 속 근거'와 '<보기>의 기준'을 타당하게 연결하는지 검증합니다.
KAOS™: 출제자 의도 역공학 분석 (30번)
[1. PROFILING]: 문제 신상 명세서
출전: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 30번
영역 및 제재: 고전 시가 복합 (화전가, 작자 미상 시조, 석문가)
문제 유형: <보기>를 활용한 비교 감상
KAOS 진단: 행위의 의미 왜곡(Distortion of Action's Meaning) 함정. 서로 다른 시간적 맥락(일시적 vs. 영속적)에서 일어난 행위를 동일한 의미('자연에 머물고자 함')로 잘못 묶어 해석했어요.
[2. RE-FRAMING]: 출제자의 진짜 질문
표면적인 질문: <보기>를 참고하여 (가)~(다)를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숨겨진 질문(의도): "제가 <보기>를 통해 사대부가라는 공통점과 남녀라는 차이점을 비교하라는 틀을 제시했어요. 이 틀을 가지고 작품 속 구체적인 '행위'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나요? ①번 선택지를 보세요. (가)의 여성들이 '정관'을 걸어둔 행위는 '하루짜리 해방'의 상징이고, (나)의 남성이 고기잡이하는 행위는 '평생의 삶'의 일부예요. 저는 이 둘의 맥락적 차이를 무시하고 '자연을 생활 공간으로 삼으려는 모습'이라는 하나의 해석으로 교묘하게 묶어 놓았어요. 이처럼 행위의 '표면'이 아닌 '맥락적 의미'까지 파고들어 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나요?"
[3. THE HOW]: KAOS 알고리즘 실행
STEP 1. 타겟 설정: '적절하지 않은' 감상을 찾아요.
STEP 2. 핵심 코드 추출: 선택지 ①은 (가)의 '정관 걸어 놓기'와 (나)의 '고기 낚고 약 캐기'가 모두 '자연을 일상적 생활 공간으로 삼으려는' 모습이라고 주장해요.
STEP 3. KAOS 필터링: (가)의 화자는 "백만 년을 다 버리고 하루 놀음 하려 하고"라고 명시하며 놀이의 일시성을 분명히 했어요. 따라서 '정관 걸어 놓기'는 일시적 해방의 표현이지, 자연을 생활 공간으로 삼으려는 의도가 아니에요. (나)의 행위는 그 해석이 맞지만, (가)의 해석이 명백히 틀렸으므로 이 감상은 적절하지 않아요. 거짓이에요.
STEP 4. 정답 확정: ①번이 정답임을 확정합니다.
[4. THE WHY]: 출제자 의도 역공학
함정 설계도 분석: 출제자는 '자연 속에서의 행위'라는 피상적인 공통점을 가진 두 구절을 제시했어요. 하지만 두 행위는 '일회성 행사'와 '영속적 귀향'이라는 결정적으로 다른 맥락에 놓여 있어요. 수험생이 이 맥락의 차이를 간과하고 표면적인 유사성에만 집중하면, 두 행위를 동일한 의미로 해석하는 ①번 선택지의 함정에 쉽게 빠지게 돼요.
평가 목표 분석: 이 문제는 <보기>라는 기준을 활용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작품 속 특정 행위나 시어의 의미를 그것이 놓인 구체적인 시간적, 공간적 맥락 속에서 정확하게 해석하는 능력을 평가하고자 해요. 피상적 이해를 넘어선 심층적 감상 능력을 요구하는 문항이에요.
[5. TAKEAWAY]: 최종 행동 강령
One-Line Lesson: "평가원은 서로 다른 맥락의 행위를 하나의 그럴듯한 해석으로 묶어 함정을 만들어요."
KAOS™ 행동 강령: "작품 속 특정 행위의 의미를 판단할 때는, 그 행위가 일어나는 '시간적, 공간적 맥락(일시적인가, 영구적인가)'을 반드시 고려하여 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세요."
[핵심 증거 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8번 문항]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공통 영역에서 오답률 1위를 기록한 문항입니다.
KAOS는 다음과 같이 이 문항을 해결합니다.
공식 2: <보기> 적용 문제
핵심 원리:<보기>는 지문의 원리가 적용되는 '실험실'입니다.
단계:
지문, 문제, <보기>의 관계를 설정합니다.
<보기>를 분석해 '새로운 정보'나 '구체적 사례'의 핵심 요소를 뽑아냅니다.
지문의 원리와 <보기>의 정보를 '연결고리'로 삼아 선택지를 판별합니다.
KAOS™: 출제자 의도 역공학 분석 (8번)
[1. PROFILING]: 문제 신상 명세서
출전: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8번
영역 및 제재: 독서 (인문 복합: 한국 근대사상, 중국 근대사상)
문제 유형: <보기> 적용 및 비판적 추론
KAOS 진단: 맥락적 차이 무시(Ignoring Contextual Differences) 함정. 겉보기에는 유사한 행위('정부의 홍보')지만, 행위가 일어난 구체적인 맥락(대상, 목적)의 차이를 무시하고 '부합한다'고 성급하게 일반화하도록 유도했어요.
[2. RE-FRAMING]: 출제자의 진짜 질문
표면적인 질문: (가), (나)를 이해한 학생이 <보기>에 대해 보인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숨겨진 질문(의도): "여러 이론을 <보기> 사례에 적용해야 하는 복잡한 문제예요. 대부분의 선택지는 이론과 사례가 잘 맞아떨어지죠. 하지만 ①번은 함정이에요. 『한성순보』의 목적과 <보기> 정부의 홍보 목적 둘 다 '서양 문물 도입을 위한 설득'이라는 점에서 비슷해 보이죠. 하지만 대상을 보세요. 『한성순보』는 '반(反)서양 정서'를 가진 적대적 대상을 '교정'하려는 것이고, <보기> 정부는 정책에 '공감'은 하지만 확신이 없는 소극적 대상을 '독려'하려는 거예요. 이처럼 대상의 태도와 설득의 구체적 목표가 다른, 미묘한 '맥락적 차이'를 무시하고 두 목적이 '부합한다'고 판단하면 함정에 빠지게 됩니다. 이 차이를 간파할 수 있나요?"
[3. THE HOW]: KAOS 알고리즘 실행
STEP 1. 타겟 설정: '적절하지 않은' 반응을 찾아요.
STEP 2. 핵심 코드 추출: 선택지 ①은 『한성순보』 간행 취지와 <보기> 속 정부의 홍보 취지가 '부합한다'고 주장해요.
STEP 3. KAOS 필터링: (가)의 취지는 적대적인 '반서양 정서의 교정'이에요. <보기>의 취지는 소극적인 마을 사람들을 '독려'하는 것이에요. '교정'과 '독려'는 대상의 태도와 목적 면에서 명백한 차이가 있으므로 '부합한다'는 진술은 적절하지 않아요. 거짓이에요.
STEP 4. 정답 확정: ①번이 정답임을 확정합니다.
[4. THE WHY]: 출제자 의도 역공학
함정 설계도 분석: 출제자는 '정부 주도의 정책 홍보'라는 피상적인 공통점을 이용해 함정을 설계했어요. 수험생이 '왜' 홍보를 했는지(목적), '누구에게' 했는지(대상)라는 구체적인 맥락을 따지지 않고 겉모습만으로 유사하다고 판단하면 ①번 선택지를 옳다고 착각하기 쉬워요. 나머지 선택지들은 이론과 사례의 핵심이 비교적 명확하게 연결되어, 이 미묘한 함정을 더욱 돋보이게 만들어요.
평가 목표 분석: 이 문제는 여러 이론을 특정 사례에 기계적으로 대입하는 능력을 넘어, 각 이론과 사례가 놓인 구체적인 맥락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비교하는 비판적 사고력을 평가하고자 해요.
[5. TAKEAWAY]: 최종 행동 강령
One-Line Lesson: "평가원은 '목적'이나 '의도'를 비교하는 문제에서, 겉보기엔 비슷하지만 대상이나 상황의 '맥락'이 다른 경우를 이용해 함정을 만들어요."
KAOS™ 행동 강령: "<보기> 적용 문제에서 두 상황의 '목적'이 부합하는지 판단할 때는, 행위의 대상이 누구이며 그 대상의 초기 태도가 어떠했는지 등 구체적인 '맥락'까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정밀하게 검증하세요."
[가설: 최소율의 법칙]
수학 1등급을 위해 몇 개의 공식을 외워야 합니까?
함수의 극한부터 미분과 적분, 공간벡터와 통계적 추정까지. 우리는 수백 개의 크고 작은 공식과 정리를 암기하고 체화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겨왔습니다. 왜냐하면 수학은 '논리'의 학문이며, 그 방대한 체계가 합당한 결과로 이어진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국어 1등급은 어떻습니까?
우리는 수학만큼이나 많은 시간을 국어에 쏟아붓습니다.
하지만 왜 우리의 결과는 수학처럼 안정적이지 못할까요?
왜 우리는 '감(感)'이라는, 누구도 증명할 수 없는 모호한 유령에 의지해야만 했을까요?
만약 제가, '지금의 수능', 즉 작년과 올해 평가원이 출제한 시험의 모든 핵심 문항을 관통하는 법칙이 단 14개뿐이라면 믿으시겠습니까?
이것은 비유나 과장이 아닙니다.
안개처럼 모호했던 '감'의 영역을 걷어내고, 출제자의 행동 패턴과 문제 설계의 원리를 수학적 논리로 분석했을 때 드러나는 '제1원칙'의 증거입니다.
KAOS의 제1원칙은, 모든 수능 국어 문제를 '문학 작품'이나 '학술 지문'이 아닌, 출제자의 의도가 담긴 하나의 거대한 '논리적 설계도'로 바라보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찾아낸 '14개의 법칙'은, 이 설계도를 역공학하기 위해 가장 정교하게 만들어진 14개의 '해독 도구'입니다.
'감'에 의존하는 공부가, 안갯속에서 목적지 없이 헤매는 불안정한 도박이라면,
'14개의 법칙'을 사용하는 공부는, 명확한 나침반을 들고 정답이라는 목적지를 향해 한 걸음의 오차도 없이 나아가는 정밀한 항해입니다.
이것이 저희가 제시하는 가설과 증거입니다.
저희는 이 글의 논리에 동의하지 않는 모든 전문가와 학생들의 비판을 환영합니다. 이 게시물의 댓글 창을 '공개 검증의 장'으로 삼아, 모든 질문과 반박에 대해 저희의 '제1원칙'에 입각하여 투명하게 답변하겠습니다.
저희의 논리를 이 자리에서 완벽하게 꺾을 수 있다면, 저희는 기꺼이 패배를 인정하고 물러나겠습니다.
하지만 만약 그렇지 않다면, 여러분은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목격하게 될 것입니다.
검증을 시작해주십시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한테도이미있는데? 내가그걸봐야할이유를설명해봐
-
다만 지금 들리는 얘기로는 왠만해선 84 이상은 아닌거같다함.. 짜피 난 3 만...
-
잘자!! 24
난 좀 이따 출근해
-
풀어보신분 퀄리티 어땠는지 알려주실수 있나요ㅠㅜ 국어, 수학, 지구..
-
참고로 고1 181 고2 183임
-
수학 0
수학 학원&과외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ㅠㅠ중 3 현시점 공수 1돌리고 2 한바퀴...
-
9-11 20번급 25제 내외 5000원 파이널아라 테마별 14, 22단백하게...
-
좋나요
-
"중1때" 11
네.... 정확힌 중1 2월 즈음?
-
정보, 한문 같은 과목들 학종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나요? 6
1학기 때 정보를 거의 버리다싶이 해서 9등급제로 6~7등급 정도 나왔는데 정보,...
-
내일부터갓생살게요 10
네
-
입대 D-15 3
연휴덕에 미뤄졋네요 10/2 871기 무사 수료하면 다음은 내차례군아
-
으흐흐 3
이감 6-6 89점 1등급( 5 7 29 32 36 틀) 국어 3연속 1등급임미다...
-
나말너무한남처럼하나 19
뭐어쩌라고씨발쎆쓰요~
-
이씨
-
뚱카롱 사주실분 있나요
-
76 물론 현재는 아님
-
키빼몸 2
고3되고 120 -> 110 가까이 왔음
-
25수능의 의반 표본이 떠나고 26수능 27수능때는 청정해지기를 바랍니다 수학 1컷...
-
틱톡안해서못봄
-
아 국밥먹고싶다 2
체해서 못 먹은게 아쉽다정말
-
진심 샤대붙고싶은데 교육내용 없이 사대써서 불안하고 약대 연대 고대 다 점공...
-
화작 확통 사문 생윤 하면 올6도 올3은 찍겠다
-
키빼몸 95인데 6
ㄹㅇ 어카냐 참고로 183 88임
-
공부하기 싫다 3
국어 유기하기 수학 유기하기 영어 유기하기 과탐 유기하기 싹다 유기해버리고 400일...
-
Max 중2:101 min 중1:76 현재:약 93
-
15 21 22 틀리고 미적 28 29 30 다 틀렸을때 76인데 이래도 2인거잖아...
-
[칼럼] 조지훈-『낙화(落花)』 (현대시 감상하기 1) 0
낙화(落花) 조지훈 꽃이 지기로서니 바람을 탓하랴. 주렴 밖에 성긴 별이 하나 둘...
-
현대카드 슈퍼콘서트 관련으로 1주일 전에 기사가 하나 나왔었네요. 0
https://www.g-enews.com/article/Finance/2025/09...
-
빌런보존의법칙 ㄹㅇ과학인가 이제 빌런없어져도 좀무서울듯 내가 빌런인거자나
-
킬캠 2-3 오늘 풀어봤는데 3점부터 쉬운 4점정도 문제가 나오더니 12번 13번은...
-
종로에 떡집에서 사와서 먹었는데 아주 고소한게 맛있음 무슨 떡인지 모를까봐 사진...
-
공부안해도 76점 보장된 시험이었는데 1컷이 어케 81 수능도 이렇게 나왔으면...
-
서강반 언확사로 3
96 99 2 98 98이 애매함? 생각보다 높네
-
뽀얀피부 검은 긴생머리 교복셔츠 ㄴㄹㅇ진짜씨발볼때마다꼬추커짐
-
골넓에 살쪄서 생긴 바스트 말고 원래 있던애가 살쪄서 커진건 괜찮은데 문제는 사회적...
-
키빼몸 100까지 13
그 이하부턴 힘드러.. 105정도가 딱 귀엽고 110부턴 좀 말랐고 100이...
-
내가 끌고다니면서 운동하면 같이해야됨..
-
ㅈㄴ 여리여리한 저체중 여친 vs 뱃살 좀 있는 정상체중 여친 8
전 닥후 아이돌 같은 마른 몸 별로 뱃살 조금 있어야 좋음
-
출처도 없이 8181거리면 다 줘팬다내가
-
저는 연구직이랑 회사쪽에 관심이 있고 개업은 그냥 좀 늙어서 하고싶은데요,,...
-
현돌 블로그에 가면 무료로 신청하는법 있음 개인적으로 선지 내용만 설명하고 끝내는게...
-
메카와 메디나 그리고 예루살렘까지는 알아둬도, 예루살렘의 '바위의 돔'이라고는 잘...
-
88~89같은데 원래같으면 올해는 머릿수가 많아서 85로 내려갈거같음 현역이 못하고...
-
다들 좋은 밤 되세요!
-
본인은 십이귀월 아니고 10
십이한남임 ㅇㅇ 상현2정도 됨 ㅇㅇ
-
고2 9모 3등급 기준으로 아이디어랑 킥오프 병행이 나은가요? 고2 자이스토리가...
-
기균 정시 9
94/70/3/96/100 화작 확통 세지 사문 기균 기준 어디까지 가능함?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