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bodpbo [1227343] · MS 2023 · 쪽지

2025-09-27 21:45:07
조회수 741

과탐 과목 평가(과탐 8과목 다 해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32720

요약: 

꿀과목 순위(1등급~만점 기준)

지2>>>>물1=물2=지1>>>화2?화1>생1>>>>>>>>생2


물1

시간압박: 중상

표본: ㅂㅅ

주요 변별 포인트: 추론 x, 주어진 조건에 따라서 상황 이해 및 적절한 식 사용을 통한 계산

추론이 거의 없다는 게 엄청 큰 장점인듯. 따라서 귀류법, 케이스분류 등등을 할 일이 거의 없고 한 번 고인물이 되면 고정1 쉬움

->수학 잘하고 과탐 처음이라면 스탠다드로 추천할 과목


화1

시간압박: 상

표본: ㄱㅂㅅ

주요 변별 포인트: 추론 적당히(최근 기출 기준) 들어있음. 대신 한 조건에 대해 귀류칠때 케이스가 거의 X냐 Y냐 2개뿐이라, 압박도는 적은 편

->물1에서 계산보다 추론 비중을 조금 더 늘린 느낌인데.. 이새끼를 추천할 일은 없을듯


생1

시간압박: 하(3등급목표)~상

표본: 보통

주요 변별 포인트: 추론 상당히 많음, 자료와 조건을 통한 해석

귀류를 치지 않고, 최대한 자료와 조건을 통해 필연적으로 정해지는 케이스를 찾아가며 풀어나가는 게 중요함

다만, 문제 구성이 보통 개념형13 + 추론형7문항이라서 2등급 이하 목표면 할만함

->이새끼는 폼에 따라 달라서, 안정적 1이 물화에 비해 쉽지많은 않음. 진짜 안맞을 때는 신경전도 5분박고 안 풀려서 손발이 막 덜덜 떨림 ㅋㅋㅋ..


 지1

시간압박: 중하~중(최근)

표본: 허수 상당히 많음, 애매한 상위권도 가끔 떨어짐

주요 변별 포인트: 얘는 물화생과 아예 궤를 달리함. 계산과 추론을 기준으로 물화생이 나뉜다면, 지1은 아예 자료해석이라는 새로운 파트임.

실제 관측 자료 또는 표로 나타낸 자료를 통해, "개념"을 끌어내고, 적용해서 적당한 연산 및 판단하는 과목

->추론이 없기에 부담이 상당히 덜해서 물1과 함께 보통 추천하는 과목


물2

시간압박: 중

표본: 상위권도 많지만 하위권도 많다. 점점 상위권화되는 추세

주요 변별 포인트: 물1이랑 같지만, 벡터가 들어간 만큼 기하적 관점(피타고라스 등)이 조금 중요해짐. 풀이도 상당히 다양한 편.

다만 본질적으로 정석대로만 풀이파면 물1과 완전히 같기는 함

->물1할만하고 표점/설대목표면 추천함. 물1에서 건너간다면 개념량이 사실상 트랜지스터+축전기, 파동과 빛의 굴절밖에 없음.


화2

시간압박: 중상~상(문제마다 편차가 큼)

표본: 극상위권이 많고 하위권은 물2랑 비슷

주요 변별 포인트: 얘가 화1이랑 다른 점은, 추론이 조금 더 적다는거? 

화1은 막 원소도 섞고, 분자량도 섞고, 심지어 분자를 XnYm과 같이 미지수로도 나타내지만,

화2는 주로 원소 섞기가 전부인 편, 때에 따라서 실린더 개방 정도

->설명하긴 했지만, 진짜 그 누구에도 추천하지 않을 과목임.. 진짜

추천할 대상이 없다


생2

*저는 특정 과목--코돈추론, 하디바인베르크--만 풀어봤습니다.


시간압박: 최상

표본: 상당히 좋음. 하지만 본인도 그 표본 깔개가 될 수 있음..

주요 변별 포인트: 추론-

자료를 던져주고, 내가 뭔가를 했어! 결과는 대충 이런데 개씨발 종이가 물에 젖어서 일부 결과는 지워졌네 ㅎㅎ.. 자 이제 내가 뭘 했는지 맞춰봐!-

ㅆㅂ

->2등급 이하 목표라면 생1보다 사실 생2를 조금 더 추천하기는 함. 얘는 추론형이 보통 6문항이고, 등급컷도 낮은 편이라.. 추가로 이새끼 시험장에서 정확히 다 풀어내는 사람 1명도 없으니 본인이 운이 좋은 편이라면 추천


지2

시간압박: 중하(22수능제외)

표본: 매우 좋은 편(백분위로 추론했을 때 상위권 유입이 적은듯)

주요 변별 포인트: 이새끼 진짜 개념문제밖에 안 나옴.. 추론은 당연히 없고, 주어진 상황에 맞춰 개념만 붙이면 진짜 존나 쉬움

개념량이 많다는 것도 다 편견임.. 저는 지1 고2때 마지막으로 하고, 재수때 지2로 바꾸고 나서, 개념 2주만에 끝내고, 사설을 제외한 교육청, 평가원 고정1나옴

제가 잘해서 그런게 아니고, 진짜 이새끼 개꿀 맞다니까요? 심지어 백분위랑 만표 둘다 다른 2과목에 비해 압도적으로 유리한 것 같음.. 

->내신때 지1 했다면 1순위로 추천

다만 현역이면 잘 모르겠음.. 현역때 한번 도전했었는데, 체감상 타과목, 내신에 밀리다 보면 개념도 제대로 끝내기 전에 드랍 마려워짐. 본올해 겨울방학부터 공부할 사람이면 추천

 



제가 생각했을 때는, 다수의 선택이 좋은 선택임을 보장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나아가, 오히려 다수의 선택이 좋지 않은 케이스도 여럿 있는 것 같습니다.. 당장 지2만을 보더라도, 표본수가 꼴등이고, 생1생2를 보면 3등급 지망이 그렇게도 많은건지 (1, 2과목 내에서)압도적 표본수를 가집니다. 진짜 저 믿고 지2 선택하신다면 절대로 후회하지 않을 거라고 장담드립니다.


또한, 과목 선택에 대한 매몰비용을 제발, 버려 주세요. 추론이 있고 없고는 생각보다 체감이 매우 큽니다. 진짜 어지간하면 물지 12 하시길 바랍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